쇠스랑개비꽃 책읽기 (가락지나물, 양지꽃)

 


  볕 잘 드는 곳에서 무리지어 곱게 피어나는 꽃이라 한다며 ‘양지꽃’이라는 이름이 붙는다는 양지꽃을 바라보며 생각한다. 참말 옛날 시골사람도 이런 꽃이름으로 이 꽃을 바라보았을까? 시골사람이 한자말 ‘양지(陽地)’를 썼을까? 나는 어릴 적에 ‘양달’과 ‘응달’이라는 낱말을 썼다. 둘레 어른들도 이런 낱말을 썼다. 나중에 ‘볕받이’라는 낱말을 듣기도 했다. 볕이 잘 드는 곳이라 ‘볕받이’라 한단다.


  그러니까, 한겨레 옛사람이 노랗게 피어나는 꽃한테 붙인 이름이라 한다면 ‘양지꽃’ 아닌 ‘볕받이꽃’이라든지 ‘양달꽃’이라든지 ‘볕달꽃’이라야 맞다.


  그러나, 시골사람이 이런 이름으로 풀포기를 가리켰으리라고도 느끼지 못하겠다. 더 생각하고 찾아본다. 이리하여, ‘쇠스랑개비’라 하는 풀이름 알아낸다. 같은 풀을 가리켜 다른 이름으로 ‘가락지나물’이라고도 한단다. 그래, 바로 이런 이름이지. 손가락 다섯처럼 꽃잎 다섯이 벌어져서 가락지나물일까. 쇠스랑하고 어떻게 이어지는 실타래 있어 쇠스랑개비라는 이름 붙었을까. 이런 이름도 고장마다 다 다를 테지. 전라도와 경상도와 충청도와 강원도와 경기도, 또 함경도와 평안도와 황해도에서 저마다 다 다른 이름으로 이 들꽃 들풀 들나물 이름 가리키겠지. 권정생 할배는 ‘민들레’를 안동 고장말로 ‘말똥굴레’라고 이야기한다. 쇠스랑개비와 가락지나물은 고장마다 어떤 예쁘고 재미난 이름 있을까 궁금하다. 4346.4.9.불.ㅎㄲㅅㄱ

 

(최종규 . 201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