풀싹 글쓰기

 


  풀싹이 돋는다. 봄이 코앞으로 다가오면서 온 들에 풀싹이 돋는다. 뒷밭에도 앞밭에도 옆밭에도 풀싹이 돋는다. 흙으로 된 땅바닥 어디에나 풀싹이 돋는다. 풀싹은 따스한 바람과 햇살을 먹으면서 씩씩하게 돋는다.


  기지개를 켠다. 싱그러운 바람과 상큼한 햇살을 나도 냠냠 하고 받아먹는다. 바람결에는 어떤 기운이 서렸을까. 햇살자락에는 어떤 넋이 담겼을까. 풀싹은 빗물과 햇살과 바람이 있으면, 여기에 고운 흙이 있으면 고 조그마한 씨앗에서 아주 커다란 줄기와 잎사귀를 올리면서 자란다. 어쩌면, 먼먼 옛날 슬기로운 사람들은 바람과 햇살과 빗물과 흙, 이렇게 네 가지로 목숨 잇는 숨결을 얻지 않았을까.


  풀싹이 돋듯 글을 쓴다. 따스한 기운 받는 풀싹이 씩씩하게 돋듯, 나 또한 마음밭에 따스한 사랑을 담아 글을 쓴다. 마음이 따사로운 사랑으로 가득할 때에는 즐거운 이야기 담는 글이 태어난다. 마음이 차가움이나 메마름이나 매몰참이나 슬픔으로 넘실거릴 적에는 무겁거나 딱딱한 글이 태어난다. 슬픈 이야기도 글이요 기쁜 이야기도 글일 테지. 눈물 젖은 밥도 먹을 수 있을 테고, 웃음 피어나는 밥도 먹을 수 있을 테지. 그런데, 곰곰이 돌아보면, 밥을 먹는 까닭은 살고 싶기 때문이다. 살아도 아무렇게나 살고 싶어 먹는 밥이 아니라, 즐겁게 살고 싶어 먹는 밥이요, 기쁨과 웃음을 누리고 싶어 먹는 밥이다. 웃으려고 먹는 밥이고, 따뜻하게 살고 싶어 먹는 밥이며, 사랑을 꽃피우려는 넋으로 먹는 밥이다. 글을 쓴다고 한다면, 이런 글도 쓰고 저런 글도 쓸 수 있을 텐데, 아무래도 풀싹처럼 씩씩하게 살아가며 푸르게 빛나는 삶을 꽃피우려고 쓰는 글이지 싶다.


  싱그러운 바람을 들이켜면서 싱그러운 글을 쓰자고 생각한다. 상큼한 햇살을 받아먹으면서 상큼한 글을 쓰자고 다짐한다. 봄을 부르는 비가 찾아들며 별빛이 살짝 숨는다. 바람이 조용하다. 아침저녁으로 멧새 노랫소리가 짙다. 이제 두 달 뒤면 새봄 새날 맞이하는 씩씩한 제비들 우리 집 처마 밑에 들겠구나. 4346.2.18.달.ㅎㄲㅅㄱ

 

(최종규 . 201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