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삶에 한 줄, 춤추며 읽는 책

 


  백 권을 읽든 만 권을 읽든, 책읽기는 삶읽기로구나 하고 늘 깨닫습니다. 삶을 읽지 못한다면, 제아무리 많다 싶은 책을 읽는다 하더라도 ‘읽기’ 아닌 ‘훑기’를 한 셈이요, 삶을 읽을 수 있으면, 한 권이나 열 권을 읽었다 하더라도 사랑과 꿈을 가슴에 품을 수 있으리라 느낍니다.


  한 해에 백 권 읽기라든지 열 해에 천 권 읽기 같은 뜻을 세우는 일이 나쁘다고 느끼지 않아요. 다만, 몇 권을 읽자 하는 뜻은 좀 부질없어요. 나이 몇 살을 먹자는 뜻이 부질없고, 어떤 지위나 계급으로 오르자는 뜻이 부질없으며, 얼마쯤 되는 돈을 모으자는 뜻이 부질없어요. 삶을 누리려는 뜻을 품어야지요. 삶을 사랑하고, 삶을 아끼며, 삶을 나누려는 뜻으로 하루를 빛내야지요.


  비오는 소리를 들으며 비를 느낄 수 있으면 즐겁습니다. 안개 드리우는 소리를 들으며 안개를 느낄 수 있으면 즐겁습니다. 무지개 나타나는 소리를 들으며 무지개를 느낄 수 있으면 즐겁습니다. 해 뜨는 소리를 들으며 햇살을 느낄 수 있으면 즐겁습니다.


  이런 이야기가 생뚱맞다고 느낄 분이 있을까요. 아무래도 그럴 테지요. 오늘날 물질문명 사회에서는 ‘달 뜨는 소리’나 ‘구름 흐르는 소리’를 듣지 못하게 가로막는 자동차 소리와 기계 움직이는 소리와 손전화 떠드는 소리가 너무 커요. 송전탑에서 웅웅거리는 소리와 기차나 전철 지나가는 소리가 대단히 큽니다. 가만히 귀를 기울이고 마음을 움직여 바람결 느낄 겨를이 없다 할 만해요. 시골에서 흙을 만지는 사람 아니고서야 풀벌레 노랫소리 듣는 사람이 없어요. 시골에서 텔레비전 없이 아이들과 복닥이는 사람 아니고서야 개구리 노랫소리 즐기는 사람이 없어요.


  시골에서 살아간다면 숲을 걸어요. 도시에서 살아간다면 공원 풀밭을 걸어요. 내 눈과 마음을 살포시 쉬어요. 푸른 숨결 싱그러운 풀빛을 느끼며 살아요. 몸과 마음이 푸르게 거듭나도록 온힘을 기울여요. 사랑을 속삭이고 꿈을 노래해요. 사람으로 태어난 즐거움을 생각해요.


  《거인을 바라보다》(양철북,2011)라는 책 54쪽을 보면, “사람이 고래의 규모를 이해하는 것이 가능할까? 수백 킬로미터 거리를 마치 우리가 한 블록 거리를 걷듯 수월하게 이동할 수 있는 이 동물에게 세계는 과연 무엇으로 느껴질까?” 하는 이야기가 흐릅니다. 오늘날 사람들로서는 고래 움직임을 헤아릴 길이 막혔겠지요. 그러나, 내가 사람이라면, 내가 산 목숨이라면, 내가 푸른 숨결이라면, 고래 움직임이든 참수리 움직임이든 나비 움직임이든 거미 움직임이든, 또렷하게 느끼면서 가슴으로 받아들일 수 있으리라 생각합니다. 회사일과 입시공부에 쳇바퀴처럼 휘둘리면서 참마음을 잃고 참사랑을 잊기에, 소리도 느낌도 잃거나 잊지 싶어요.


  《애니미즘이라는 희망》(달팽이,2012)이라는 책 225쪽을 보면, “배운다고 하면 무슨 대단한 공부라도 하는 것처럼 들리지만, 그게 아니라 감동을 받는다는 말입니다.” 하는 이야기가 나옵니다. 그래요, 마음이 뭉클하게 움직이는 일이 배움이라 하겠지요. 즐거움을 느낄 때에 무언가 배워요. 기쁨을 느낄 때에 무언가 깨달아요. 슬프거나 괴로울 때에도 무언가 배웁니다. 고단하거나 아플 적에도 참말 무언가 알아채요.


  삶은 언제나 배움입니다. 삶은 날마다 새롭기에 날마다 새롭게 배웁니다. 하루하루 새삼스레 찾아오니, 하루하루 새삼스레 배웁니다. 아이는 어른한테서 배우고, 어른은 아이한테서 배웁니다. 우리는 풀잎 하나를 마주하면서 새 숨결을 배우고, 바람 한 닢 살결로 느끼며 새 넋을 배웁니다. 별빛을 바라보면서도 배우고, 도시를 가득 메운 전깃불빛을 바라보면서도 배워요.


  《십중팔구 한국에만 있는》(삼인,2008)이라는 책 60쪽을 보니, “일반 서민들은 아끼고 또 아끼고, 나아가 인생 자체를 소모하다시피 하며 아파트에 매달리지만, 그렇다고 모두가 원하는 결과를 얻는 것도 아니다.” 하는 이야기가 쏙 튀어나옵니다. 그런가, 하고 고개를 갸우뚱하다가, 그러네, 하고 무릎을 칩니다. 오늘날 한국 사회에서는 사람들 스스로 삶을 찾지 못하고 삶을 덧없이 흘리고 말아요. 삶을 어떻게 누려야 하는가 생각하지 못해요. 삶을 아름답게 즐기는 길을 걷지 못해요.


  대학교에 갈 까닭이 없어요. 자격증을 따야 할 까닭이 없어요. 학문을 하거나 책을 읽을 까닭조차 없어요. 왜냐하면, 삶을 누려야 하거든요. 아니, 삶을 누리려고 태어난 목숨이거든요. 사랑을 하려고 태어난 우리들입니다. 꿈을 키우며 환하게 빛내려고 얻은 목숨이에요.


  《도화동 사십계단》(청사,1990)이라는 시집에 실린 〈불타는 눈〉이라는 작품을 읽습니다. “신문팔이 새끼야아! / 신문팔이 새끼야! / 심술궂은 아이가 따라오며 놀렸다 / 때려주고 싶었지만 / 누가 들을까봐 도망치다가 / 목구멍이 뜨거워졌었다 / 신문팔이에겐 막 대해도 된다고 / 어디서 배웠을까 / 아이보다 세상이 더 무서웠던 / 그날부터 / 삼키는 눈물은 주먹처럼 굵어졌지만 / 눈이 눈물없이 불탔었다.” 삶을 배우지 못하는 아이들이 막말을 일삼고 맙니다. 사랑을 배우지 못하는 아이들이 이웃을 아끼지 못합니다. 꿈을 배우지 못하는 아이들이 도시에서 톱니바퀴 같은 노예가 되어 멍한 눈으로 바쁘게 구릅니다. 아이들 어깨가 너무 무겁습니다. 아이들 눈망울에 빛이 감돌지 못합니다. 아이들 얼굴에 환한 웃음이 없습니다. 아이들 목소리에 고운 노래가 감돌지 않습니다. 좋은 삶을 춤추도록 이끌 책 하나 어디에 있을까요. 4346.2.4.달.ㅎㄲㅅㄱ

 

(최종규 . 201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