옹글게 쓰는 우리 말
 (1562) 잘난척쟁이

 

아이들은 매번 일등 하는 아이를 ‘잘난척쟁이’로 몰아가는 식으로 이러한 제도를 거부하려 하지만
《에냐 리겔/송순재 옮김-꿈의 학교, 헬레네 랑에》(착한책가게,2012) 173쪽

 

  누구나 말을 지을 수 있습니다. 모든 사람은 새로운 말을 지을 수 있습니다. 꽃이름이나 풀이름, 벌레이름이나 나무이름은 수수한 여느 사람이 지었습니다. 임금님이나 지식인이나 학자가 지은 꽃이름이나 풀이름은 없습니다. 대통령이나 시장이나 군수가 지은 벌레이름이나 나무이름은 없습니다.


  사람을 사람 아닌 톱니바퀴 되도록 내모는 제도권교육에 얽혀들지 않는다면, 누구라도 마음을 트며 새로운 말을 짓습니다. 사람을 사람 아닌 쳇바퀴 되도록 몰아세우는 제도권사회에 길들지 않는다면, 누구나 생각을 열어 새로운 말을 짓습니다.


  틀에 갇히면 새로운 말이 태어나지 않습니다. 이를테면, 이 보기글에서는 ‘매번(每番)’과 “몰아가는 식(式)”으로”와 ‘거부(拒否)하려’가 틀에 가두는 말입니다. 사람들이 수수하게 쓰는 여느 말이라면, ‘늘’이요 ‘언제나’이며 ‘노상’입니다. ‘한결같이’나 ‘어김없이’를 쓸 수도 있어요. 때와 곳에 따라 새로운 말이 하나둘 태어납니다. “몰아가면서”나 “몰아가는 투로”나 “몰아가듯이”처럼 생각을 가다듬습니다. ‘거스르려’나 ‘손사래치려’나 ‘내치려’처럼 생각을 추스릅니다.


  쉽게 쓰는 말이 생각을 여는 말입니다. 가볍게 쓰는 말이 마음을 트는 말입니다. 어린이와 함께 나눌 수 있는 말이 생각을 사랑하는 말입니다. 시골 어르신하고 주고받을 수 있는 말이 마음을 아끼는 말입니다.


  잘난 척을 하니까 ‘잘난척쟁이’라 이름을 지을 만합니다. 잘난 척이란 자랑하고 한 갈래이니까 ‘자랑쟁이’라 이름을 지을 수 있습니다. 자랑하는 이들은 으레 거들먹거리니, ‘거들먹쟁이’라든지 ‘거들먹꾼’이라 이름을 지어도 돼요. ‘우쭐쟁이’라든지 ‘콧대쟁이’라 이름을 지어도 재미있습니다. ‘잘난척쟁이’에서 한 글자 줄여 ‘잘난척꾼’이라 할 수 있어요. 때로는 ‘잘난척바보’와 같이 이름을 지을 수 있겠지요. ‘잘난척이’라든지 ‘잘난척나무’라 불러도 잘 어울립니다. 4346.1.22.불.ㅎㄲㅅㄱ

 

(최종규 . 201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