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앞서 띄운 '나는 대학교를 왜 때려치웠는가' 다음으로 이 글을 읽어 주시면 고맙겠습니다. 대학생인 분, 또 대학교 마친 분, 또 대학교를 바라는 푸름이들, 모두한테 즐거운 글선물이 되기를 바라마지 않습니다 ..
[당신은 어른입니까 12] 대학교읽기
― 내가 꿈꾸는 사랑스러운 벗님
대학교를 나왔대서 대수롭지 않습니다. 대학교를 안 나왔대서 대단하지 않아요. 그런데, 도시에서 일자리 얻어 살아가려면, 대학교 졸업장이 있어야 하지요. 의사가 되고 싶든 판사가 되고 싶든 기자가 되고 싶든 작가가 되고 싶든, 으레 대학교 졸업장을 바랍니다. 출판사 편집자나 영업자로 일하고 싶어도 대학교 졸업장을 바랍니다. 다만, 도시에서도 막일 하는 공사판에서는 대학교 졸업장을 바라지 않아요. 편의점 알바생 뽑을 적에도 대학교 졸업장은 바라지 않아요. 공장에서는 외려 대학교 졸업장을 꺼릴 테지요. 머리만 굴리려 하는 사람들은 몸을 제대로 못 쓰니까요.
인천에서 아직 우리 식구들 살아갈 적, 골목동네를 거닐며 골목이웃을 가만히 헤아려 보곤 했습니다. 가난하다 하는 달동네 골목이웃은 으레 ‘대학교 안 다닌’ 사람이요, ‘학교 문턱조차 못 밟은’ 사람이 많아요. 이런 골목동네 찾아와 사진찍기 즐기는 이들은 으레 ‘대학교 다닌’ 사람이거나 ‘대학교 한창 다니는’ 사람이기 일쑤이고요. ‘대학교 다녔거나 다니는’ 사람들은 ‘대학교 안 다닌’ 사람들이 일군 달동네에서 무엇을 바라보고 무엇을 느끼며 무엇을 생각할까 궁금합니다. 요즈음, ‘골목길 해설사’라든지 ‘골목길 투어’라든지 쏠쏠히 생긴다 하는데, ‘골목해설’은 누가 하고, ‘골목투어’는 누가 꾀할까 궁금합니다.
먼먼 옛날부터 물려받아 흙을 일구는 분들은 대학교를 안 다녔습니다. 시골마을 할머니 할아버지네 아이들은 대학교를 다니며 몽땅 시골을 떠나 도시에서 살아가지만, 오늘날에도 시골을 지키는 어르신들은 거의 모두 대학교하고는 먼 삶자락을 꾸립니다. 할머니는 모두 다 대학교는커녕 고등학교조차 안 다녔다고 할 만해요. 따지고 보면, ‘대학교 다니는’ 사람들은 ‘대학교 안 다닌’ 사람들이 시골에서 일군 곡식과 열매를 먹고, ‘대학교 안 다닌’ 사람들이 도시 변두리 공장에서 만든 물건을 사다가 씁니다. ‘대학교 다니는’ 사람들은 ‘대학교 안 다닌’ 사람 앞에서 무슨 일을 하고, 무슨 이야기를 들려주며, 무슨 사랑을 베풀려나요.
대학교를 나왔거나 한창 다니는 사람들 말씨가 참 어렵습니다. 대학교를 다니고 싶어 입시공부에 푹 파묻힌 아이들 말투까 참 어렵습니다. 대학바라기를 하는 사람들은 어려운 말, 딱딱한 말, 게다가 일본 말투가 끼어든 슬픈 말, 영어범벅, 어설픈 번역투, 이러저러해서 한국말답지 않은 한국말로 말을 합니다. 그런데, 정작 이들 대학바라기 사람들은 이녁 스스로 어떤 한국말을 쓰는지 모릅니다.
대학교를 안 나왔거나 학교 문턱 안 밟은 사람들 말씨가 참 쉬워요. 수수하지요. 투박하고요. 시골 할머니 할아버지 말씨가 참 쉽습니다. 수수합니다. 투박합니다. 그러나, 같은 시골 하늘을 등지고 살더라도, 면사무소나 농협이나 이런저런 공무원과 회사원들 말씨는 도시사람하고 똑같이 어렵더군요.
시골에서 태어난 아이들은 왜 대학바라기를 하면서 시골을 떠나 도시로 가야 할까요. 대학교는 왜 시골에는 한 군데도 없이 도시에만 있을까요. 더러, 시골 외진 한켠에 선 대학교도 있지만, 시골자락 한 귀퉁이 차지한 대학교 가운데 ‘대학교 마친 아이들이 시골에서 살도록 북돋우거나 이끄는 곳’은 아직 한 군데조차 없어요. 그러니까, ‘시골 대학교’란 없다. 모두 ‘도시 대학교’일 뿐입니다.
모두 도시로 가고 시골은 할머니 할아버지한테 맡기면, 누가 흙을 일구지? 유기농이든 무농약이든 저농약이든 친환경이든, 누가 흙을 일구지? 필리핀이나 베트남이나 칠레에서 사다 먹으면 되나? 그러면, 필리핀이나 베트남이나 칠레 젊은이들은 대학교 안 가고 시골에서만 살아야 하나?
도시에서 태어나고 자랐대서 도시에서만 살아야 할까? 도시에서 살아가는 어버이한테서 태어난 목숨이기에, 그저 도시살이만 생각하고 도시내기로 지내서 도시붙박이가 되어야 할까?
시골 어린이집조차 숲마실을 안 합니다. 시골 초등학교조차 시골마을 들판이나 바다로 나들이를 다니지 않습니다. 시골 중학교조차 시골 어버이 봄일·여름일·가을일 거들도록 ‘일하는 방학’을 마련하지 않아요. 시골 고등학교조차 시골에서 스스로 삶을 짓고 꿈을 짓는 길을 보여주지 않습니다.
모두 도시바라기로 흐릅니다. 도시사람은 도시사람대로 도시바라기요, 시골사람은 시골사람대로 도시바라기가 됩니다. 왜 그런가 하면, 바로 대학교가 있기 때문입니다. 대학교를 나와야 도시에서 돈 잘 버는 일자리 거머쥘 수 있고, 대학교 졸업장을 따야 손에 흙이나 물 안 묻히면서 먹고 놀고 자고 입고 싸고 뒹굴 수 있기 때문입니다.
내가 좋아하는 전태일 님은 ‘대학생 동무 하나 있으면’ 하고 바라며 숨을 거두었어요. 그런데, 나는 고등학생 때에 전태일 님 이야기를 책으로 읽으며 ‘이건 아닌데’ 하고 느꼈어요. 아니, 어쩌면 전태일 님 이 서글픈 바람이 내 마음속에서 잠자던 생각 하나 깨웠는지 모릅니다. 무언가 하면, ‘대학생 아닌, 곧 고등학교만 마친, 또는 학교 문턱 밟은 적 없는 동무가 얼마나 사랑스러운가’ 하는 대목을 일깨웠구나 싶어요. 전태일 님은 곁에 아주 사랑스럽고 애틋한 동무들이 많았는데, 미처 이 동무들 너른 사랑을 못 껴안았다고 할까요. ‘무식쟁이(대학교 나온 사람들이 대학교 안 나온 사람을 깎아내리며 부르는 이름이지만)’끼리 어깨동무를 할 적에 얼마나 크고 너르며 깊은 힘이 솟는 줄 미처 헤아리지 못했다고 할까요.
나는 대학교를 그만두어 고졸 ‘신분’이기에 즐겁습니다. 내 옆지기는 고등학교를 그만두어 중졸 ‘신분’이기에 사랑스럽습니다. 꼭 학력 때문에 더 좋거나 싫거나 하지는 않습니다만, 제도권 입시교육이 사람을 얼마나 갉아먹고 사랑을 얼마나 깎아내리며 꿈을 얼마나 망가뜨리는가를 몸으로 느끼며 살아갈 수 있으니 나로서는 더할 나위 없이 좋아요. 우리 아이들한테 제도권 입시교육을 함부로 들이밀지 않을 수 있는 어버이로 살아가는 하루가 고맙습니다.
나는 꿈꿉니다. ‘대학교 졸업장 없는 시골 흙동무’를 꿈꿉니다. ‘대학교 졸업장 없는 도시 달동네 예쁜 동무’를 꿈꿉니다. 모두들 어딘가에서 아름다운 하루를 누리면서 아름다운 생각을 흩뿌리겠지요. 저마다 어딘가에서 고운 사랑을 나누면서 고운 이야기꽃을 피우겠지요. 4346.1.19.흙.ㅎㄲㅅㄱ
(최종규 .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