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 고흥에서 여러 뜻있는 사람이 모여 나눈

토종씨앗 이야기를 옮겨 본다.

인터넷 <고흥뉴스>에 올린 글이다.

 

http://www.gh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886

 

느리더라도 튼튼하고 임자답게

― 고흥여성농업인센터 ‘토종 종자 이야기’ 첫 자리

 

 

  고흥여성농업인센터에서는 ‘토종 종자 이야기’를 나누는 자리를 2012년 12월 19일 저녁 일곱 시부터 고흥읍 전교조 고흥지부 사무실에서 마련했다. 이 자리에서 고흥여성농업인센터 이 아무개 씨는 ‘토종 씨앗’을 지역 농사꾼과 나누려는 뜻을 밝히고, 앞으로 고흥군에서 ‘고흥군에만 있는 토종 씨앗’을 슬기롭게 가꾸고 보듬어서 나눌 수 있는 길을 찾자는 이야기를 주고받았다.

 

  이 씨는 이론으로 헤아리는 ‘토종 씨앗 이야기’를 넘어, 고흥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이 스스로 흙을 아끼고 몸을 튼튼하게 살찌우며 이 삶터에서 스스로 임자답게 살아가는 길이 있으리라 생각한다고 이야기한다. 첫 이야기마당에서는 고흥생태문화모임 느티나무 회원들이 함께했다. 이 씨와 느티나무 회원들이 주고받은 이야기를 갈무리해 본다.

 

   
▲ 고흥여성농업인센터 ‘토종 종자 이야기’ 첫 자리가 열렸다.


- 강원도 종자를 갖고 와서 고흥에서 해 봤는데 여기서는 잘 안 돼. 강원도에 야생인 돌콩이 있어요. 쥐눈이콩보다 작은 게 있는데, 화순에서 심어 보는데 거기도 안 돼. 찰옥수수도 안 돼. 기후하고 토질 면에서 조금씩 차이가 있죠.
- 우리도 강원도 옥수수 심어 봤는데 안 돼요.
- 강원도는 추운 것도 있지만 물빠짐도 잘 돼요. 콩은 흙이 찰지면 안 돼요. 강원도는 마사토도 있고 한데, 호남 지역에서 콩 종자 구하기가 쉽지 않아요. 호남 두부와 충청 두부와 강원 두부를 여러 지역 콩으로 만들어 보았는데, 간수라든지 잘 몽글어지는 게 강원도 것이 가장 나아요. 그 중에서 조금 잘 되는 데는 구례하고 장성처럼 조금 추운 데 것이 잘 돼요. 고랭지 2부 능선에서는 잘 되더라고.


- 토종과 반대는 뭘까요?
- 외래? 개량?
- 왜 토종 씨앗을 써야 할까요?
- 토종은 씨를 계속 받아서 하잖아요. 그런데, 요새는 회사에서 유전자조작 한 것을 사서 쓰잖아요. 회사에서 유전자조작 한 것은 아무리 잘해서 갈무리하고 다음해에 심어도 안 돼. 씨앗회사가 몬산토나 이런 데 통합해서 그러니까 안 돼. 거기서 씨값을 계속 올릴 것 아녀. 고추도 모종 처음 사서 심고 나중에 씨 받아서 하려고 하면 쬐꼬만해.
- 토종 씨앗으로 하자는 것은 자본 논리에 예속되지 말자는 뜻인가요?
- 대부분 씨가 퇴화하는데. 고추라든지 옥수수라든지 그해에 받아서 다음해에 심으면 안 나와. 처음에는 길쭉하게 나오는 것이 다음해에 다시 심으면 10센티미터밖에 안 돼. 퇴화가 더딘 것도 있지만, 토종 씨앗은 유전자가 고정화되니까 씨앗을 받아서 다음해에 계속 심을 수 있다고.
- 콩은 다 유전자조작 콩으로 심어요. 사람들이 국산콩이라 하지만, 그것도 파고들어 살피면 다 유전자조작 콩이에요. 그런데, 그걸 본질은 안 찾고 유전자조작 콩만 심어서 먹거든. 강원도에 ㅌ고추가 있어요. 거기 종자는 강원도 자체에서 지키는 종자인데, 군에서 절대 밖으로 나가지 못하게 해. 그 고추가 쬐만한데 빛깔이 되게 고와요. 그런데 그 씨를 군에서 보호하며 보급하거든. 고흥에서도 여기서 자체로 나눌 수 있는 씨를 찾아서 보급해야지. 진해에는 ‘앉은뱅이밀’이라고, 거기 어느 선생님이 토종 씨앗 한 가지만이라도 지키자 하면서 무료로 보급하는 종자가 있어. 고흥에서도 이곳에서 잘 될 만한 것을 이렇게 한 가지이든 두세 가지이든 잡고 해 봐야지.

 

   
▲ 토종 씨앗이 무엇이고, 어떻게 나눌 때에 좋은가 하는 이야기를 차분히 나눈다.


- ‘씨드림’ 행사를 할 때 나눠 주면, 마을 할머니들이 관심 많고 좋아해요. 당신이 잘 건사하시기도 하고, 아직 당신한테 남은 토종 씨앗을 기록하시기도 해요. 고흥에서도 알아보면 집집마다 토종 씨앗이 있을 것 같아요. 고흥만 쪽에 가면 야생팥이 있어요. 두원면 마을 할머니들한테 여쭈면, 그냥 팥을 쑤어서 팥죽을 먹으면 속이 쓰린데, 고흥만 쪽에서 저절로 자라는 야생팥을 먹으면 속이 편하대요. 그리고 야생팥은 불리지 않고 해도 팥이 잘 풀어진대요.
- 국가 차원 종자은행은 있나요?
- 있는데요, 이런 씨드림 행사도 전국농민회에서 따로 주체적으로 하고요. 1년에 한두 번, 전국에서는 번개팅처럼 나누는 자리를 마련해요. 씨앗을 심어서 거두기까지 여러 달 걸리니 꾸준히 진행하기에는 어려운 점이 있어요. 또, 토종 씨앗이 지역에 따라 잘 안 될 수 있으니, 그럴 때에는 애써 건사한 씨앗이 없어지는 셈이고요.
- 일부 콩은 수확이 더 안 나오기도 하니까, 돈 벌라고 하는 게 아니잖아요. 식량전쟁 날 때에, 비싼 종자 안 쓰고, 식량위기와 에너지위기는 같이 올 거니까, 그때에는 기계를 쓸 수도 없을 거고, 토종 종자는 화학비료나 퇴비를 안 주어도 일정 정도 생명력이 있을 것이기 때문에, 미래를 보고 하는 거지요.
- 종자 회사가 어느 나라 것인가가 문제 아니지 않나요? 미국 것이라서 나쁘다가 아니고, 우리 것이라도 그것이 자본하고 연결되어 농민한테 피해가 갈 수 있지 않나요?
- 그 유전자조작 콩을 사서 쓰려면 로열티를 내야 하니까.


- 토종 종자로는 무슨 종자를 갖추셨어요?
- 콩과 팥이 주류고요, 오이도 있는데 실패했어요. 오이씨를 나누어 주었는데 잘 키워서 다시 씨를 받지 못하면, 결국 종자를 잃어버린 거지요. 나눠 줄 때 보면, 할머니들이 적극적으로 가져가시고요. 그런데, 그렇게 가져가시고 나서 더 이어지는 결과를 찾지 못할 때에는 아쉬워요.
- 빼깽이 고구마라고, 고흥에 예전부터 있었는데, 빼깽이가 뭔지 아세요? 읍내에 두 군데 있었는데, 썰어서 말린 게 빼깽이인데, 썰면 하얀 액이 많이 나와요. 그런데 지금 종자들이 하얀 물이 잘 안 나와요.

 

   
▲ 목화씨. 목화씨는 솜털을 낱낱이 벗기고 속에 있는 씨앗을 심어야 한단다. 씨를 오래 건사하자면, 이렇게 솜이 붙은 채로 건사한다고 한다.


- 토종을 왜 보존해야 할까요? 맛도 떨어지고 수확량도 적은데.
- 지금 배추씨 한 봉지에 1만 원인데, 앞으로 10만 원 주고 산다는 거지. 그러면 배추 심어서 팔지도 못해. 씨앗 사는 값도 안 나오니까.
- 아까 이야기 나왔듯이, 고흥만에서 스스로 나는 들팥은 쑤어 먹어도 속이 좋다고 했어요. 사다 먹는 팥은 속이 안 좋다 했고요. 저희도 아이들과 살아가며 먹어 보면 느끼는데, 토종 씨앗으로 심어 비료와 풀약 안 친 곡식이나 열매를 먹으면, 맛이 아주 달라요. 요즘 사람 입맛에는 안 맞을는지 모르나, 더 깊고 짙은 맛과 냄새가 있어요. 그리고, 토종 씨앗으로 제대로 지은 곡식과 열매는 많이 안 먹어도 배가 부르고, 배가 오래도록 안 꺼져요. 그렇지만, 가게에서 쉽고 싸게 사다 먹는 풀이나 곡식이나 열매는 더 많이 먹어도 배가 쉬 꺼지고, 속이 더부룩해요. 그러니까, 토종 씨앗으로 농사를 지으면, 수확량이 적다 하더라도 굳이 많이 안 먹어도 되기 때문에, 적게 먹어도 배부르니까, 우리 몸에도 한결 나으면서 우리 땅도 살리고 여러모로 좋다고 느껴요.
- 요즘 쓰는 씨앗 거의 다 필리핀 같은 나라에서 수입한다고 하는데, 우리 토양이나 체질하고 안 맞는다고 하는 거지. 동양의학에서는 병이 나면 10리 반경에서 약을 구할 수 있다고 하는데, 그것도 먹는 음식에 따라 스스로 낫게 할 수 있지. 토종 씨앗으로 농사를 지어서 먹으면, 병도 안 걸리고 몸도 나아진다는 거지.

 

   
▲ 고흥에서도 토종 씨앗을 아끼고 지키는 모임과 움직임이 몇몇 개인과 고흥여성농업인센터와 아울러, 고흥군에서도 마음을 기울여 함께 애쓸 수 있기를 빈다.


- 씨앗은 어떻게 나눠 주나요?
- 무작정 나눠 주는 것은 아니고, 기르며 기록하고, 그 종자를 늘 확보한다는 원칙이 있어요. 씨앗을 가지면서 지킨다는 거지요. 일정 내 면적을 할애해서 유지해 줄 필요가 있다고 느껴요. 자연을 유지하는 것은 원 종자를 유지하는 것과 맥락이 같다고 할 수 있어요. 내 씨앗이 어디에서 기원했고, 기록하며, 수확할 때에 이웃을 불러 같이 나눠요. 씨앗만 나눠 주지 않고, 서로서로 씨앗에 대한 기록을 주는 거지요.
- 22일 토요일에 장흥에서 ‘토종 종자 나눔회’가 있어요. 제가 거기 가려고 하거든요. 토종 종자를 300∼400가지 가진 분이 있는데, 100가지 종자를 전시한대요.


- 고흥에만 있는 종자가 있을까요?
- 아직 없는 줄 알아요. 시도는 있었지만, 제대로 안 되었어요. 앞으로는 고흥에서도 고흥 종자를 찾아야지요. 토종 종자라고 하는데, 토종 종자 찾는 일을 하면서, 누구보다 나 스스로 변화한다고 느껴요. 내 자리와 뿌리를 찾으면서 삶을 더 낫게 변화시킨다고 느껴요.
- 자기 생활에서 접목이 되어야 유지가 되지. 이념적으로는 못 지켜 가요. 제가 기르는 감자가 토종인지 아닌지 몰라도, 부모 때부터 심은 건데, 요즘 바이러스 떠돈다고 하는데, 계속 심어서 팔고 먹고, 또 심고 그러는데, 제가 심은 것은 사다 심은 감자보다 수확량은 떨어지지만, 보관이 잘 되고, 우리 감자 받아서 먹어 본 사람들은 다 맛이 좋다고 해서, 나는 돈 받고 감자 팔 만큼은 못 되지만, 내가 나눠 주면 먹으쇼 하는 마음으로 심어서 길러.

 

(최종규 . 201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