별빛 읽는 마음

 


  나는 고개를 들어 별을 바라봅니다. 깜깜한 시골 밤하늘은 온통 별잔치입니다. 멀리 내다볼 수 있다는 망원경이 있으면 별을 한결 잘 볼 수 있다고 하는데, 굳이 망원경을 써서 쳐다보지 않아도 별빛을 누리고 별내음을 맡습니다.


  지구별에서 1만 광년이나 10만 광년, 또는 100만 광년쯤 떨어졌다는 저 먼 별에서도 지구를 ‘별’로 여겨 바라볼까 헤아려 보곤 합니다. 지구사람은 큼지막한 망원경으로 다른 별을 바라보며 ‘천체과학자’라는 이름을 쓰기도 하는데, 지구별에서 바라보는 다른 별 모습은 어떤 이야기를 들려줄 수 있을까요. 저 먼 별에서 지구를 바라볼 적에는 ‘지구라는 별 모습에서 어떤 이야기를 길어올릴’ 수 있을까요.


  이웃별 사람들은 지구별 사람들이 복닥거리는 삶을 들여다볼까요. 이웃별 사람들은 지구별 빛깔을 지구에서 아우성대는 사람들 목소리로 느낄까요.


  별을 바라보는 과학자는 별무늬와 별자리를 살핍니다. 이웃별을 구경합니다. 가만히 보면, 우리 사회를 바라보는 학자도 여느 사람들 삶이나 정치꾼 삶을 구경합니다. 곁에서 구경하면서 학문을 밝히고 학설을 펼칩니다. ‘별 과학자’는 이웃별로 찾아가서 ‘살아내’면서 이야기를 들려주지 않습니다. 인문학자이든 역사학자이든 문화인류학자이든 이웃집에 깃들어 ‘함께 살아가’면서 이야기를 엮지 않습니다. ‘학자가 되자’면 어느 만큼 거리를 두어야 한다고 해요. 학자가 되는 이들은 ‘이웃’이 되지 않고 ‘구경꾼’이 되어요.


  4월혁명을 역사로 밝히는 이들은 4월혁명 한복판에서 함께 거친 숨을 들이쉬던 이들인가요. 동학혁명을 역사로 그리는 이들은 동학혁명 한복판에서 함께 멧골 넘으며 못난 관리를 꾸짖은 이들인가요.


  아이를 품에 안고 마당에서 별바라기를 하며 생각합니다. 나한테 망원경이 없더라도, 나는 아이들과 별바라기를 합니다. 나는 아이들이랑 별을 바라볼 적에 망원경으로 구경하고 싶지 않습니다. 저 별에 깃든 사람들은 어떤 넋 어떤 삶 어떤 사랑일까를 그리고 싶습니다. 이 별 지구에서 살아가는 이웃들은 어떤 숨 어떤 꿈 어떤 빛깔일까를 헤아리고 싶습니다.


  망원경 아니어도 읽는 별입니다. 학문이나 학설 아니어도 읽는 사람살이입니다. 책 아니어도 읽는 역사요 문화이며 교육이고 예술입니다. 아이들 마음밭은 따순 손길로 보듬는 사랑일 때에 읽습니다. 구수한 밥은 요리책 아닌 너그러운 손길로 목숨을 짓는 믿음일 때에 읽습니다. 4345.12.19.물.ㅎㄲㅅㄱ

 

(최종규 . 201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