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 하세요!
이상봉 글.사진 / 공간루 / 2011년 7월
평점 :
품절


 


 사진빛·사진삶·사진말
 [내 삶으로 삭힌 사진책 43] 이상봉, 《안녕, 하세요!》

 


- 책이름 : 안녕, 하세요!
- 글·사진 : 이상봉
- 펴낸곳 : 공간 루 (2011.8.20.)
- 책값 : 12000원

 


  (1) 사진빛


  ‘장애 체험’을 해 보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감옥 체험’도 해 보고, ‘굶주림 체험’도 해 본다고 합니다. 이렇게 여러 가지를 몸소 겪어 본다면 ‘어려움(불편)’이 무엇인가 하고 새삼스레 생각할 수 있겠지요.


  그러나, 나는 ‘겪는(체험)’ 사람들이 썩 달갑지 않습니다. 겪는 대서 알거나 느낄 수는 없기 때문입니다. 좋다 하는 책을 몇 권 읽어(경험) 보았대서 좋은 넋을 일구지 못해요. 읽은(경험) 일은 지식이 될 수 있어도 슬기가 되지는 않아요. 왜냐하면, 스스로 삶에서 슬기를 빚지 못한다면, 좋다 하는 책 열 권 백 권 천 권 읽는다 할지라도 내 마음속으로 스며들지 않습니다.


  겪는 일이 나쁘다고 여기지 않습니다. 겪는 일은 그저 ‘겪음’입니다. 그래서 겪는 일을 가리켜 ‘체험 활동’이라 말하기는 하되 ‘삶’이라고는 얘기하지 않습니다. 곧, 한두 차례 며칠쯤 겪는다 하더라도, 이내 ‘다른 삶’으로 돌아가요. 장애도 감옥도 굶주림도 없는 당신 다른 삶으로 돌아갑니다.


  그렇다고, 두 팔 멀쩡히 달린 사람더러 팔 하나 자르며 살아가라 말할 수 없어요. 무슨 소리인가 하면, ‘겪는’ 일도 나쁘지 않으나, 참으로 무언가 깊이 생각하거나 넓게 돌아보고 싶다면, ‘이웃’이나 ‘동무’가 되어 ‘함께 살아’ 주기를 바랍니다. 이웃이나 동무가 되어 ‘함께 살아’ 주지 않는다면, 수백 수천 차례 ‘겪는(체험)’ 일을 한달지라도 아무것 도움이 되지 않아요. 스스로한테도 이웃한테도 이바지를 할 수 없어요.


  내 삶을 이제와는 다른 자리로 일구어야지요. 내 삶을 이제부터 아름다우며 슬기로운 길로 접어들도록 힘써야지요.


  삶을 옳게 들여다보면서 참다이 가다듬을 때에 비로소 이웃이 돼요. 삶으로 마주하면서 어깨동무할 때에 바야흐로 동무가 돼요.


  장애인 곁에는 ‘장애인 돕기’를 할 사람이 있어도 나쁘지는 않아요. 그러나, ‘돕는 누군가’보다는 ‘이웃이 되는 누군가’가 살갑습니다. ‘동무가 되는 누군가’는 사랑스럽습니다.


.. 조심스럽게 카메라를 쥐어 주고 사용법을 설명해 주었다. “자, 직접 찍어 볼까?” 마침 앞에 어머니가 서 계시기에 셔터를 누르게 했더니 화들짝 놀라 얼굴을 가린다. “찍지 마세요.” “어머니, 희원이가 찍어 주는 첫 엄마 사진이에요. 가만히 계세요.” 말을 해 놓고 보니 가슴 귀퉁이가 먹먹하다. 희원이가 태어나서 처음으로 가족을 카메라에 담아냈다. 내 맘도 울컥하는데 엄마는 어떠실까 ..  (40쪽)


  빛이 흐릅니다. 햇살이 드리우며 빛이 흐릅니다. 빛은 20억짜리 서울 강남 아파트로도 흐르고, 보증금 없이 달삯 5만 원짜리 인천 달동네 골목집으로도 흐릅니다. 빛은 따사롭습니다. 빛은 부산 광복동 우람한 건물로도 흐르고, 목포 유달산 언저리 골목집으로도 흐릅니다. 빛은 맑습니다. 빛은 숲속으로도 맑게 흐르고, 바닷가로도 맑게 흐르며, 고속도로와 기찻길 위로도 맑게 흐릅니다.


  빛을 느끼는 사람은 숨결을 느낍니다. 포근한 빛살에 포근한 숨결이 흐릅니다. 빛을 바라보는 사람은 꿈결을 느낍니다. 너그러운 빛살에 보드라운 꿈결이 흐릅니다.


  적잖은 이들은 ‘장님’들이 우리 사회에서 살아가기 힘들리라 생각합니다. 아무래도 이런 생각이 모이니 참말 힘들밖에 없을 텐데, 무엇이 어떻게 왜 힘들까요. 장님이 우리 사회에서 살아가기 힘들다면, ‘장님 아닌 사람’들이 이런 우리 사회를 아름답게 고치거나 올바로 다스리도록 마음을 기울일 노릇 아닌가 싶습니다.


  깊은 밤에 생각에 잠깁니다. 깊은 밤에 달빛을 누리고 별빛을 느끼며 생각에 잠깁니다. 나는 아무리 깊은 밤이라 하더라도 내 길을 걷습니다. 아이들도 깊은 밤에 ‘어두움에 익숙해’지면서 씩씩하게 숲길이나 들길을 걷습니다.


  도시사람은 시골 어두운 길에 익숙해지지 못합니다. 손전등 없이는 깜깜한 시골길을 못 걷겠다 합니다. 앞이 안 보이기도 하고 무섭다고도 합니다.


.. 이제 촬영자의 심상을 다루는 더 높은 단계의 사진으로 발전되고 있다. 이런 사진은 꼭 시각을 이용하지 않더라도 자신만의 독창적인 표현법을 개발하여 새로운 사진 세계를 창조해 낼 수 있는 여지를 남겨 두고 있다 ..  (131쪽)


  어두운 밤에는 무엇을 보나요. 두 눈 멀쩡하다는 사람들은 어두운 밤에 시골에서 무엇을 보나요. 참으로 아무것도 안 보이나요. 참으로 아무것도 안 보이니, 깜깜한 시골길에서 걷지도 보지도 움직이지도 못해 갑갑한가요.


  장님은 어두운 시골길이 어떠할까요. 장님한테도 어두운 시골길이 ‘아무것도 안 보여 갑갑’할까요. 아무것도 안 보이니 ‘걸을 수 없’을까요.


  어두운 곳에서는 어두움을 봅니다. 밝은 곳에서는 밝음을 봅니다. 곧, 누군가는 어두운 곳에서 ‘어두움’을 사진으로 찍습니다. 누군가는 밝은 곳에서 ‘밝음’을 사진으로 찍습니다.


  밝음도 빛이요, 어두움도 빛입니다. 환하게 밝은 모양도 빛이며, 깜깜 어두운 모양도 빛이에요.


  그림자는 환한 낮에도 드리웁니다. 그림자는 깜깜한 밤에도 드리웁니다. 빛은 낮에도 밤에도 있으며, 빛으로 이루어지는 그림자 또한 낮에도 밤에도 있습니다.


  보고 싶은 사람은 볼 수 있습니다. 눈으로 보고 싶은 사람은 눈으로 볼 수 있습니다. 귀로 보고 싶은 사람은 귀로 볼 수 있습니다. 마음으로 보고 싶은 사람은 마음으로 볼 수 있습니다. 사랑으로 보고 싶은 사람은 사랑으로 볼 수 있어요.


  ‘두 눈 멀쩡하다’는 사람은 바로 ‘멀쩡하다는 두 눈’으로 사진을 찍습니다. ‘두 눈 안 보인다’는 사람은 바로 두 눈 아닌 ‘마음으로 바라보며’ 사진을 찍습니다. 두 눈 멀쩡하다는 사람 가운데에는 두 눈 아닌 ‘사랑을 헤아리며’ 사진을 찍는 분이 있기도 합니다. 누군가는 두 눈 아닌 가슴에서 샘솟는 ‘꿈을 보살피며’ 사진을 찍기도 할 테지요.

 

 


  (2) 사진삶


  삶이 있기에 글을 씁니다. 삶이 있기에 밥을 먹습니다. 삶이 있기에 사랑을 나눕니다. 삶을 드러내는 글입니다. 삶을 누리는 밥입니다. 삶을 꽃피우는 사랑입니다.


  얼굴이 예쁘다 하면 얼굴이 예쁠 뿐입니다. 돈이 많다면 돈이 많을 뿐입니다. 마음이 착하다면 그야말로 마음이 착하겠지요.


  어떤 사람이 되어 어떤 삶을 누리고 싶은가 하고 스스로 생각해 보셔요. 나는 어떤 사람으로서 이 땅에서 꿈을 이루고 싶은가 하고 가만히 헤아려 보셔요. 우리 아이들은 앞으로 어떤 꿈과 사랑으로 저희 삶을 빛낼 때에 어여쁠까 하고 곱씹어 보셔요.


  공무원이 되면 무엇이 좋을까요. 회사원이 되거나 사장·이사·회장이 되면 무엇이 좋을까요. 대통령이 되거나 시장이나 국회의원이 되면 무엇이 좋을까요.


  아버지가 되면, 어머니가 되면, 이모가 되면, 큰아버지가 되면, 외삼촌이 되면, 저마다 무엇이 좋을까요. 내가 걷는 이 길이 나한테 어떤 즐거움이자 웃음이요 사랑인가 하고 생각할 노릇입니다. 내가 누리는 이 하루가 나한테 어떤 이야기요 멋이며 보람인가 하고 되뇌일 노릇입니다.


.. 아이들은 내가 자기들 주변 이야기를 글로 쓰는 것이 재미있는 모양이다. 그냥 스쳐 지나가는 일들이 번듯한 문장으로 변하고, 자신들의 이름이 거론되면서 더 가깝게 느껴지는 모양이다 ..  (67쪽)


  사진은 내가 찍고 싶은 데에서 찍습니다. 글은 내가 쓰고 싶은 데에서 씁니다. 그림은 내가 그리고 싶은 데에서 그립니다.


  대학교에 가야 배우는 사진이 아닙니다. 문학강의를 들어야 익히는 글이 아닙니다. 화실을 들락거려야 깨우치는 그림이 아닙니다.


  나 스스로 살아가는 데에서 사진을 배우고, 글을 익히며, 그림을 깨우칩니다. 나 스스로 사랑하는 이웃하고 지내는 마을에서 사진을 빛내고, 글을 밝히며, 그림을 일굽니다. 나 스스로 아끼는 동무와 살붙이하고 얼크러지는 보금자리에서 사진을 빚습니다. 글을 빚고 그림을 빚습니다.


  어떤 흐름, 이른바 조류나 사조나 유행을 따를 까닭이 없는 사진·글·그림입니다. 나는 내 이야기를 사진으로 찍고 글로 쓰며 그림으로 그립니다. 어떤 모더니즘이나 센티멘털이나 아트나 판타지처럼 억지로 만드는 사진도 글도 그림도 아닙니다. 아무개한테서 배웠대서 아무개 느낌이 나는 사진을 찍지 못해요. 나는 내 사진을 찍어요. 나는 내가 먹을 밥을 짓고, 나는 내가 좋아하는 꽃과 나무를 돌보며, 나는 내가 좋아하는 사람들이랑 한식구를 이루어 한솥밥을 나눕니다.


.. 하도 손으로 만져서, 작품이 모두 삐뚤빼뚤되었지만, 그것이 우리 아이들의 특징이라서 즐겁기만 하다. 사진 아래 붙여논 점자들은 그래도 떨어지지 않았다 ..  (136쪽)


  가시내도 사내도 사진을 찍습니다. 대학생도 무학자도 사진을 찍습니다. 장님도 장님 아닌 사람도 사진을 찍습니다. 어른도 어린이도 사진을 찍습니다. 할머니도 푸름이도 사진을 찍습니다. 농사꾼도 노동자도 사진을 찍습니다. 경찰도 기자도 사진을 찍습니다. 사진을 찍고 싶다면, 청소부도 알바생도 사진을 찍습니다. 사진을 즐기고 싶다면, 사장님도 선생님도 사진을 찍어요.


  하루를 즐기면서 사진을 즐깁니다. 삶을 빛내면서 사진을 빛냅니다.


  사진 이론을 배워야 사진을 알지 않아요. 야구 이론을 배워야 야구를 알지 않아요. 사랑 이론을 배워야 사랑을 알까요. 살림 이론을 알아야 아이들 잘 아끼고 밥·빨래·청소를 알뜰히 할까요.


  사진을 알고 싶으면 사진으로 살아가면 돼요. 글을 알고 싶으면 글로 살아가면 돼요. 시골 흙을 알고 싶으면 시골에서 흙을 만지며 살아가면 돼요. 바다를 알고 싶다고요? 바닷가에 조그맣게 집을 마련해서 바다에서 고기를 낚으며 살아가 보셔요. 나무를 알고 싶다고요? 숲속에 나무집을 지어서 숲속에서 지내며 나무랑 아침부터 밤까지 조곤조곤 이야기를 나눠 보셔요.


.. 저시력인 윤서는 전맹인 희원이와 상덕이를 자상하게 돌보아 준다. 화장실 가는 것, 세면하는 것 등 방안에서 일어나는 자잘한 것 모두 윤서 몫이다. 서로 배려하며 도움을 주고받는 모습, 곁에서 봐도 듬직하다 ..  (151쪽)


  오늘날 이 사회에서 학교를 다니는 까닭은 스무 살이 지난 뒤 일자리를 얻고 싶기 때문입니다. 오늘날 이 사회에서 학교는 아이들한테 삶이나 사랑이나 꿈을 들려주지는 않습니다. 온통 대학입시에 파묻혀 ‘회사원 되는 길’로 떠밀 뿐입니다. 그런데, 이런 흐름 가운데 인천에 있는 혜광학교에서는 살짝 비켜선 모습을 보여주는구나 싶어요. 어쩔 수 없는 노릇일 수 있는데, 아직 한국 사회 대학교 가운데 ‘장님이 즐겁게 다니며 학문을 북돋우도록 이끌려고 하는’ 데는 아주 드물어요. 장님 아닌 다른 장애인이 마음 놓고 다니면서 학문을 살찌우도록 이끌려고 하는 대학교는 거의 없다시피 해요.


  그러나, 대학교는 장애인 아닌 비장애인한테도 그리 살갑지 않습니다. 학문보다는 취직이요, 취직 또한 도시에서 사무직 일꾼 되는 길만 보여줄 뿐이에요. 대학교 마친 다음 공장 일꾼이 되거나 시골 농사꾼 되도록 알뜰살뜰 이끌지 않거든요. 대학생한테 강의를 하면서 ‘너희 이제 시골에 가서 흙을 만져라!’ 하고 살가이 이야기꽃 피우는 교수님이 있나요? 인문계 고등학생한테 수업을 하면서 ‘너희 이제 공장에서 기계를 만져라!’ 하고 가만가만 이야기꽃 피우는 선생님이 있나요?


  교사 스스로 학교에 텃밭을 일구지 않으니, 아이들한테 흙일꾼 되는 길을 말하지 못합니다. 교사 스스로 집에서 아이들하고 사랑스레 복닥이지 못하니, 아이들한테 사랑살이를 보여주지 못합니다. 언제나 교과서 지식을 집어넣을 뿐이요, 대학입시 시험문제 풀이만 할 뿐입니다.

 

 


  (3) 사진말


  이상봉 님이 글과 사진으로 엮은 《안녕, 하세요!》(공간 루,2012)를 읽습니다. 인천 혜광학교 교사로 일하며 아이들하고 ‘사진부’ 또는 ‘사진동아리’를 꾸리며 겪고 느낀 삶을 찬찬히 적바림한 책입니다. 장님이거나 저시력자인 아이들이 앞으로 누릴 만한 일자리란 몇 가지 없다고 합니다. 혜광학교 아이들은 여느 회사원이 되고 싶기도 하고, 어떤 전문가가 되고 싶기도 하지만, 안마와 침술부터 배워야 해요. 이 아이들은 사회복지사가 되고 싶기도 하지만, 사회복지사 학문을 가르친다는 대학교 가운데 이 아이들이 즐거이 배울 수 있는 제도와 환경과 시설을 알차게 갖춘 곳이 있는지 아리송합니다. 이 아이들은 노래를 잘 부르기도 하고, 악기를 잘 타기도 하며, 어떤 운동 솜씨가 빼어나기도 한데, 이 아이들을 받아들일 악단이나 극단이나 구단은 어디에 있을까요.


.. 학생들은 한 시간 이상을 셔터 누르는 연습을 했건만 정작 실물 촬영에 들어가자 전혀 셔터를 누르지 못하고 나만 바라보고 있었다. 카메라라는 기계에 대한 두려움, 셔터를 누르면 어디 고장 나지나 않을까 하는 걱정, 어떻게 촬영해야 할지 전혀 감을 잡지 못하고 당황하는 모습이다 ..  (207쪽)


  《안녕, 하세요!》는 사진책입니다. 사진 이론이나 사진 실기나 사진 학문을 다루지는 않습니다만, 또 사진 작품을 보여주는 책도 아닙니다만, 사진으로 일구는 삶이 무엇인가를 보여주는 사진책입니다.


  사진이란 무엇일까요. 사진은 누가 즐길까요. 사진은 어떤 이야기를 담을까요.


  사진역사란 무엇일까요. 사진문화는 누가 일구는가요. 사진예술은 어떤 빛으로 이루어지나요.


.. 나는 아이들에게 정상인이 보는 세계 속의 사진을 요구하고 싶지 않았다 ..  (215쪽)


  사진빛이 사진삶이 됩니다. 사진삶에 사진말이 드러납니다. 사진말을 나누면서 사진빛이 영급니다. 인천이라는 곳 사진문화나 사진역사 가운데 한쪽 귀퉁이에 ‘혜광학교 아이들 사진’ 이야기가 실릴 만할까 궁금합니다. 한국 사진문화나 사진역사 가운데 한쪽 구석에 ‘혜광학교 아이들 사진’ 이야기가 깃들 만할까 궁금합니다.


  사진비평을 하거나 사진평론을 하는 이들은 ‘장님이 찍은 사진’을 어떻게 다룰까 궁금합니다.


  장애인도 사람이요 비장애인도 사람입니다. 디지털도 사진이요 필름도 사진입니다. 어린이도 사람이요 어른도 사람입니다. 값싼 장비도 사진이요 값진 장비도 사진입니다. 외국인도 사람이요 이주노동자도 사람입니다. 이름높은 이가 찍어도 사진이요, 여느 아이 어머니가 찍어도 사진입니다.


  빛을 읽으며 사진을 읽습니다. 삶을 찍으며 사진을 찍습니다. 이야기로 꽃을 피우면서 사진꽃을 흐드러지게 피웁니다. 4345.12.13.나무.ㅎㄲㅅㄱ

 

(최종규 . 201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