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화를 심다 - 용기와 신념으로 행동하는 사람들의 8가지 이야기
바바 치나츠 지음, 이상술 옮김 / 알마 / 2009년 11월
평점 :
절판



 평화와 민주주의가 없는 나라
 [따뜻한 삶읽기, 인문책 56] 바바 치나츠, 《평화를 심다》(알마,2009)

 


- 책이름 : 평화를 심다
- 글 : 바바 치나츠
- 옮긴이 : 이상술
- 펴낸곳 : 알마 (2009.11.9.)
- 책값 : 9500원

 


  고흥군청 민원실에 들러 이것저것 둘러보다가 《국가보안법 바로알기 10문 10답》이라 적힌 노란 빛깔 도톰한 책자를 봅니다. 어디에서 누가 만들었는지 간기가 없는 알쏭달쏭한 유인물이라 할 텐데, 군청 민원실 책꽂이에 버젓이 놓입니다. 국가정보원에서 만들었는지, 군청에서 만들었는지, 청와대에서 만들었는지, 또는 어느 정당에서 만들었는지 아리송합니다. 이 책자 곁에 나란히 놓인 한 장짜리 ‘귀농·귀촌’ 안내 전단지조차 전라남도 도청에서 만들었다는 간기를 또렷이 밝히는데, 도톰한 《국가보안법 바로알기 10문 10답》은 어디에도 간기를 안 밝혀요.


  2012년 가을, 고흥군의회에서 ‘고흥군 화력발전소 문제’를 마무리지었습니다. 고흥군에 화력발전소 같은 위험·위해시설을 들이지 않기로 했습니다. 그런데, 한창 고흥군이 화력발전소를 끌어들이려고 애쓸 적에 조그마한 면사무소뿐 아니라 읍내 버스역에조차 ‘화력발전소를 끌어들이면 고흥군에 얼마나 이바지를 하느냐’ 하는 이야기만 잔뜩 적힌 전단지가 수북히 있었어요. 이 전단지에도 간기가 없어 누가 왜 어떻게 만들어 이렇게 수북히 쌓았는지 아리송했습니다. 그냥저냥 군청에고 면사무소에고 읍내 버스역에까지, 이 전단지를 잔뜩 쌓아 사람들더러 가져가도록 했습니다.


  옳고 그름이나 맞고 틀림을 따질 생각이 없습니다. 그저 궁금할 뿐입니다. ‘정체를 알 수 없는’ 곳에서 만든 책자와 전단지가 버젓이 놓인다면, 이 곁에는 ‘정체를 알 수 있는’ 곳에서 만든 ‘다른 목소리’가 함께 놓여야 마땅하지 않을까 궁금합니다. 말밥거리가 되기에 누군가 ‘스스로 제 모습(정체)을 숨긴’ 채 어떤 책자나 전단지를 만들어 뿌리겠지요.


.. 2주일 동안의 취재를 마치고 딜리 공항을 출발할 때 내 뒷머리를 잡아당기듯 이런 생각이 떠올랐다. 일본인인 나는 일이 끝나면 안전한 곳으로 돌아가면 된다. 하지만 동티모르 사람들은 언제 끝날지 모르는 탄압에 시달리면서 살아가야 한다. 생명의 소중함은 어디나 다르지 않을 텐데도 ..  (6쪽)


  군청 민원실에 있던 《국가보안법 바로알기 10문 10답》 1부를 챙겨 집으로 가져옵니다. 찬찬히 살핍니다. 대한민국 평화와 민주주의를 지키자면 국가보안법이 반드시 있어야 한다고 힘있게 외치는 이야기가 가득합니다.


  책자를 덮고 생각합니다. 평화란 무엇일까요. 민주주의란 무엇일까요. 어느 때에 평화라고 말할까요. 어느 때에 민주주의라고 말할까요. 이 나라에 군대가 있어 평화를 누릴까요. 이 나라에서는 대통령을 표로 뽑아 민주주의를 누리는 셈일인가.


  고흥군에 핵발전소와 화력발전소를 끌어들이려 한 이들은 공무원과 개발업자입니다. 군청 공무원이든 중앙정부 공무원이든, ‘서울과 큰도시 전기가 모자라다’고 하니까 발전소를 지어야 한다고 밝히면서, 정작 서울이나 큰도시에 발전소를 안 짓고, 고흥군처럼 맑고 정갈한 시골에 발전소를 지으려 합니다. 왜냐하면, 서울과 큰도시에는 ‘사람들이 많이 살아’, 이런 도시에 발전소 같은 위험·위해시설을 지으면 ‘많은 사람들 안전이 걱정스럽’다 하거든요. 다음으로 개발업자는 고흥군 같은 시골에 발전소를 지어야 땅을 값싸게 사들여 돈을 더 벌 수 있다고 밝힙니다. 위험·위해시설을 짓기 때문에 ‘보상금’ 같은 돈을 준다 하는데, 보상금을 안기려 하는 시설이라 한다면 얼마나 위험하고 나쁘다는 소리일까요. 참으로 고흥군에 도움이 되며 멋스러운 시설이라면, ‘고흥군에서 돈을 주면서 끌어들일’ 노릇이거든요.


  핵발전소와 화력발전소를 둘러싼 실타래를 바라보며 생각합니다. 이 나라는 하나도 평화롭지 않습니다. 이 나라 지자체는 조금도 민주주의가 아닙니다. 군민한테 제대로 된 정보나 이야기 한 자락조차 들려주지 않고 위험·위해시설을 끌어들이려 했습니다. 무엇이 위험하고 무엇이 나쁜가 하는 대목을 군청이나 중앙정부나 개발업자 스스로 밝히지 않습니다. 발전소란 어떤 곳이며, 전기를 한꺼번에 어마어마하게 만드느라 어떤 것을 어떻게 불태워 어떤 배기가스와 쓰레기와 열폐수가 나오고, 어떤 것(연료)을 실어나르느라 얼마나 많은 짐배와 짐차가 이곳을 드나들어야 하며, 얼마나 많은 송전탑을 어떤 도시까지 줄줄이 이어야 하는가를 조금도 밝히지 않았어요. 간추리자면, 정보이건 이야기이건 꽉 막힌 채 ‘발전소 지으면 고흥군에 이바지하니까 꼭 해야 한다’는 명령과 지시만 있었어요. 평화도 아니요 민주주의도 아닙니다. 그저 전쟁이고 그예 독재입니다.


.. 중립적인 위치에서 원조 활동을 벌이던 NGO와 국제기관이 안전상의 문제로 차례차례 철수 또는 활동을 축소하는 사이, 그 여파로 피해를 입는 것은 가난하고 어려운 생활에 처한 이라크 사람들이다 … “나는 무슨 말을 들어도 상관없지만 아이들을 지키는 것이 가장 우선이었습니다.” 신부는 말한다. “가톨릭뿐 아니라 프로테스탄트 아이들도 그런 나쁜 말을 듣거나 나쁜 모습을 보아서는 안 됩니다. 아이들의 마음에 남을 상처가 가장 걱정이었습니다.” ..  (111, 185쪽)


  학교에서 교사는 학생한테 평화나 민주주의를 가르치지 않습니다. 교과서에는 평화와 민주주의가 나오지 않습니다. 왜냐하면, 교과서는 늘 ‘대학 입시 문제’에 틀을 맞추기 때문입니다. 여러 갈래 과목이 있다고 하지만, 중·고등학교 수업은 늘 ‘대학 입시 문제’를 하나라도 더 맞히도록 하는 쪽으로 흐릅니다. 시험공부를 시키는 교과서이지 삶배움으로 이끄는 교과서가 아니에요. 교과서에서 평화와 민주주의를 다루기는 하지만, 시험문제를 잘 맞히도록 하는 지식을 다룰 뿐, 아이들이 사회에서 평화를 누리거나 민주주의를 빛내는 길을 밝히지 않아요. 평화가 어디에서 오고, 평화를 우리 스스로 어떻게 일구며, 평화는 서로 어떻게 어깨동무할 적에 태어나는가 하는 대목을 보여주지 않습니다.


  교사부터 스스로 평화를 생각하지 못합니다. 교사는 평화를 돌아볼 겨를이 없습니다. 입시지도와 진학지도로 바쁘며, 온갖 서류를 꾸려야 하니 바쁩니다. 학생 또한 스스로 평화를 헤아리지 못합니다. 대학입시와 상급학교 진학에 온 넋을 쏟아야 하느라 바쁩니다. 영어 낱말 하나를 더 외우느라 바쁩니다. 한국사람이면서 정작 ‘한국말 한 가지’ 옳고 바르게 쓰는 데에는 마음을 두지 못해요. 왜냐하면, 한국말을 옳고 바르게 쓰기보다는 영어 낱말 하나를 더 외워야 대학입시와 중간·기말시험에 도움이 된다고 여기니까요.


  학교는 평화롭지 않습니다. 교사도 학생도 스스로 느낍니다. 교사도 학생도, 또 학부모도 여느 사람들도 학교는 ‘입시전쟁터’라고 느낍니다. 대학입시를 치르는 싸움터가 학교라고 여깁니다. 학교로는 모자라 학원을 세워 아이들을 몰아넣습니다. 학원으로 모자라 방과후학교이니 체험학습이니 봉사활동이니 외부인사 초청 특강이니 하면서, 또 나라밖 영어유학이니 하면서 서로 들볶고 스스로 들볶입니다.


  평화롭지 않은 학교에는 민주주의가 없습니다. 오직 대학입시 한길만 바라볼 뿐이기에, 민주주의가 들어서지 못합니다. 교사와 학생 사이에 민주주의가 없습니다. 교사와 교사 사이에도, 학생과 학생 사이에도 민주주의가 없습니다.


  더 깊이 파고들면, 교사도 학생도 ‘국가보안법’이 무언지 모릅니다. 알 턱이 없고 알 까닭이 없습니다. 왜냐하면, 국가보안법 이야기는 대학입시에 안 나오거든요. 교과서에도 안 실리거든요.


.. 강권 정치를 펴던 밀로셰비치 정권은 독립을 외치는 알바니아계 주민에 대한 탄압의 강도를 높여 세르비아 치안 부대 등에 의한 비인도적인 인종 청소를 저질렀다. 주민을 추방하고 학살하는 것도 모자라 알바니아인 여성에게 세르비아인 아기를 갖게 하려는 성폭행도 수없이 자행되었다. 문화·교육 면에서도 코소보의 ‘세르비아화’가 진행되어 공립학교에서는 알바니아인 교사가 대량 해고되고 세르비아식 교육이 강제되었으며 알바니아인은 학교에서 자신들의 언어를 쓰는 것조차 금지당했다 ..  (145쪽)


  교과서에는 ‘밥하기·빨래하기·아이돌보기’ 같은 이야기가 안 나옵니다. 대학입시에서도 이런 이야기는 안 다룹니다. 교과서에는 ‘사랑하기·꿈꾸기·생각하기’ 같은 이야기가 안 나옵니다. 어린이는 푸름이가 되며 차츰 사랑에 눈을 뜨고, 사랑놀이에 마음을 기울이지만, 성교육 한두 시간 어설피 하고 지나갈 뿐, 참사랑을 밝히며 가르치고 배우며 누릴 겨를이 없어요. ‘성교육 지식’이 아니라 ‘삶을 누리는 사랑’을 보지도 듣지도 배우지도 익히지도 누리지도 살지도 못한 아이들은 밥그릇 나이로만 ‘어른’이 되어 모텔방을 드나들 뿐이에요. 서로를 아끼는 사랑을 깨닫지 않아요. 서로를 아끼는 사랑으로 빚는 아름다운 아기를 헤아리지 않아요. 서로를 아끼는 사랑으로 빚는 아름다운 아기를 어떻게 돌보고 가르쳐서 해맑은 넋으로 뛰놀며 자라도록 이끌 때에 즐거운가를 생각하지 않아요.


  그런데, 오늘날 푸름이나 젊은이들은 아이돌보기와 얽힌 지식조차 모릅니다. 아기를 어떻게 어디에서 낳는가조차 모르며, 밥을 어떻게 짓고, 밥은 어떻게 얻으며, 빨래는 어떻게 하고, 옷은 어떻게 짓거나 깁거나 손질하는가조차 몰라요. 아이들은 아무것도 몰라요. 아이들은 대학입시 시험문제만 알아요. 어른들도 아무것도 몰라요. 아이들을 대학입시에 밀어넣는 틀거리만 알 뿐, 아무것도 몰라요.


.. 나는 민간인 희생자들 간의 차이를 알 수 없습니다. 무기를 들고 싸우는 사람들 간의 차이를 알 수 없습니다. 살인을 명령하는 사람들 간의 차이를 알 수 없습니다. 나는 사람을 선과 악으로 나누지 못합니다. 나는 정치가들을 믿을 수 없습니다. 그들 대부분은 자신의 자리를 지키기 위해서 스스로를 악마에게 팔아버리는 사람들입니다. 잘못되고 치우친 정보를 전하는 언론도 믿을 수 없습니다 … 누군가의 욕망이 아닌, 내 인간성이 바라는 것만을 따를 것입니다 … 스스로 평온하지 않으면 다른 사람과 평화롭게 지낼 수 없습니다. 나라안이 평화롭지 않은 나라는 다른 나라와 평화롭게 지낼 수 없습니다 ..  (19∼21쪽)


  삶이 삶답지 못한 곳에는 평화가 싹트지 못합니다. 삶이 삶답지 못해 평화가 싹트지 못하는데, 평화가 자랄 일이란 없습니다.


  사랑이 사랑답지 못한 곳에는 민주주의가 싹트지 못합니다. 사랑이 사랑답지 못해 민주주의가 싹트지 못하는데, 민주주의가 자랄 일이란 없습니다.


  대통령을 뽑는 한 표 권리를 쓸 수 있기에 평화나 민주주의가 아닙니다. 군수와 국회의원이나 기초의원을 내 한 표로 뽑을 수 있대서 평화나 민주주의가 아닙니다.


  삶을 삶답게 누릴 때에 평화입니다. 사랑을 사랑답게 나눌 때에 민주주의입니다. 삶을 누리지 못하면서 평화를 누릴 수 없습니다. 사랑을 나누지 못하면서 민주주의를 이룰 수 없습니다.


.. 평화를 만드는 것은 정치가나 국제기관의 수장 같은 커다란 영향력을 지닌 사람들만 하는 일이 아니다. 사회의 평화와 안전은 정치적인 움직임보다도 오히려 우리 보통 사람들이 보통의 생활 가운데 생각하고 행동하는 데서 이루어지는 것이다 ..  (203쪽)


  일본사람 바바 치나츠 님이 쓴 《평화를 심다》(알마,2009)라 하는 인문책을 읽습니다. 일본사람 바바 치나츠 님은 ‘지구별 분쟁 지역’을 두루 돌아다닙니다. 왜 안타까운 싸움이 생기고, 왜 슬픈 피죽음이 일어나며, 왜 쓸쓸한 미움이 커지는가를 살핍니다.


  참말 왜 평화와 민주주의 아닌 싸움과 독재가 이리도 판칠까요. 지구별 어느 나라이든 전쟁무기가 그토록 많은데, 아니 지구별 어느 나라이든 군대가 그토록 크고 많은데, 왜 어느 나라에서도 평화는 찾아들지 못할까요. 지구별 어느 나라도 대통령이든 누구이든 한 표 권리로 뽑는다는데, 왜 민주주의는 싹트지 못할까요.


  평화는 어디에 있을까요. 민주주의는 어디에 있나요. 평화를 부르는 사람은 어디에 있나요. 민주주의를 일구는 사람은 어디에 있나요. 평화란 무엇이며, 민주주의란 무엇인가요. 자유와 평등과 통일과 자주란 무엇일까요.


  양복을 입어야 점잖은 차림새일까요. 자가용을 몰아야 느긋한 살림일까요. 아파트에서 살아야 아늑한 보금자리일까요. 대학교를 마쳐야 사람 구실을 할까요. 은행계좌에 돈이 넘쳐야 넉넉한 하루일까요. 아이들을 어린이집이나 보육원에 맡겨야 복지일까요.


  고흥군 도화면 동백마을 밤하늘에 뭇별이 반짝반짝 빛납니다. 겨울바람 스산하게 불며 후박나무 잎사귀를 건드립니다. 마을 들고양이가 먹이를 찾아 이리저리 쏘다닙니다. 마늘잎은 함박눈을 머금으며 한결 씩씩하고 푸른 빛깔을 뽐냅니다. 갈대와 억새와 부들은 짙누렇게 물듭니다. 이웃마을에서 닭이 울고, 먼 멧자락에서 멧새가 노래합니다. 4345.12.9.해.ㅎㄲㅅㄱ

 

(최종규 . 201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