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사읽기

 


  오늘날 한국 사회에서 학교는 오직 ‘노예 되는 교육’을 시킵니다. 이른바 다람쥐처럼 쳇바퀴 돌도록 길들입니다. 아이들 누구나 톱니바퀴가 되어 틀에 맞추어진 채 꼼짝도 못하도록 꽁꽁 가둡니다. 그래서 어느 아이라 하더라도 학교에 처음 발을 내딛는 때부터 ‘바보’가 돼요. 학교에 가는 아이는 누구라 할 것 없이 모두 바보입니다.


  그러면, 아이들을 학교에 보내는 어버이는 무엇이냐. 바로 바보를 만드는 사람입니다. 그러면, 아이들을 학교에서 가르친다는 교사는 무엇이냐. 맑은 넋 아이들한테 숫자와 경쟁과 도시 물질문명 지식조각만 잔뜩 집어넣어 노예로 만드는 일꾼입니다.


  오늘날 한국 사회에서 학교가 ‘노예 되는 교육’을 하지 않는다고 생각하는 분이 있다면, 오늘날 한국 사회에서 학교가 어떤 것을 가르치려 하는가를 돌아보기 바랍니다. 초등학교부터 대학교까지 무엇을 아이들한테 보여주고 가르치나요. 유치원과 보육원은 아주 어린 아이들한테 무엇을 보여주고 가르치나요.


  삶을 보여주는 학교는 없습니다. 삶을 가르치는 교사나 교수도 없습니다. 학교에서 삶을 보여준다면 학교가 문을 닫을 수 있겠지요. 교사가 교과서 지식이나 대입시험문제를 안 가르치면 학교에서 쫓겨나거나 따돌림받기 쉽겠지요.


  얼마 앞서 대학수학능력시험을 치렀다고 하는데, 나는 이런 시험날이 있는지조차 몰랐습니다. 왜냐하면, 나는 대학교를 다섯 학기 다니다 그만둔 사람이고, 내 옆지기는 고등학교 2학년 때에 학교를 그만두었으며, 우리 집 어린 두 아이는 어떠한 보육원이나 어린이집도 안 다니거든요.


  나부터 스스로 삶을 누리고 싶기에 학교가 덧없을 뿐 아니라 무섭다고 느낍니다. 오늘날 한국 사회에서 어떠한 학교이든 감옥하고 똑같이 생겼습니다. 똑같은 크기로 나눈 교실 칸은 똑같은 크기로 나눈 감옥 칸하고 매한가지입니다. 똑같은 옷을 입히고 똑같은 차림새로 길들이고 채찍질하는 학교는 똑같은 옷을 입히고 똑같은 차림새로 지내도록 하는 감옥하고 마찬가지입니다. 학교와 감옥은 ‘사람’을 사람 아닌 ‘숫자’로 부릅니다. 번호로 불러요. 번호로 부르면서 점수를 매겨요. 점수가 좋으면 감옥에서 일찍 나올 수 있고, 점수가 좋으면 학교에서 ‘착한 아이’나 ‘모범생’이라는 이름을 얻어요.


  감옥에서도 학교에서도 삶을 가르치지 않습니다. 다만, 직업교육은 하지요. 게다가, 직업교육이라 해 봤자 도시에서 공장 노동자가 되는 직업교육인데, 이마저도 정규직 아닌 비정규직 일자리인 직업교육이에요.


  감옥도 학교도 아이들 스스로 삶을 짓도록 이끌거나 가르치지 않습니다. 학교를 초·중·고·대 열여섯 해를 다닌다 하더라도, 아이들은 ‘밥하기·빨래하기·아이돌보기·사랑하기·살림하기’ 가운데 어느 하나라도 배우지 않아요. 교사는 이 가운데 어느 하나도 가르치지 못해요. 씨앗을 건사해서 흙에 심고 돌보는 길을 스스로 익히거나 배워서 아는 교사가 몇이나 될까요. 아이들 앞에서 사랑을 말할 줄 알고 꿈을 노래할 줄 교사가 몇이나 될까요. 아이들한테 빨래하고 밥하며 아이들 보살피는 따순 손길을 들려주거나 보여주거나 알려줄 만한 교사가 몇이나 될까요.


  시골에서 나고 자란 아이를 몽땅 도시로 올려보내는 교사만 가득합니다. 도시에서 나고 자란 아이들한테 숲과 바다와 멧골과 들판을 이야기하면서 시골로 보낼 줄 아는 교사는 아예 보이지 않습니다.


  나는 생각합니다. 사범대학을 다녔든 교육대학을 마쳤든, 교사자격증을 손에 쥐고 한국 사회에서 교사 구실을 한다고 밝히는 월급쟁이 공무원 가운데 그야말로 ‘교사’라는 이름이 어울린다고 할 만한 분은 거의 없다고 생각합니다. 스스로 교사라는 삶길을 느낀 이라면 거의 모두 한국 사회 제도권 울타리를 뜯어고치려 힘쓰거나 제도권 울타리를 스스로 박차고 나왔으리라 느낍니다.


  고3 아이들을 대학교에 하나라도 더 보내면 무엇 할까요. 아이들한테 무슨 도움이 될까요. 아이들은 ‘고1’이나 ‘고3’이나 ‘중2’나 ‘초4’라는 숫자가 아니에요. 아이들은 아이예요. 아이들은 ‘어린이’요 ‘푸름이’예요. 푸름이한테 푸른 삶을 보여주거나 들려주지 않고는 ‘수능성적 숫자에 맞추어 등급 나누어진 대학교 이름표’에 목을 매달도록 등을 떠민다면, 이런 사람을 두고 교사라고 할 수 없어요. 숫자와 등급에 맞추어 대학교에 들어온 아이들한테 ‘알파벳으로 된 성적’을 붙이는 사람을 두고 교수라고 할 수 없어요. 연구를 하는 사람은 연구자이지 교수가 아니에요. 그런데, 대학교에서 연구를 하는 사람은 무얼 연구해서 어떤 삶을 빛내려고 할까요. 스스로 어떤 삶을 밝히면서 어떤 사랑을 누릴까요.


  초등학교 교장으로 정년퇴임을 한 내 아버지가 나쁘다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내 둘레에 많이 있는 ‘교사 벗’이나 ‘교수 선후배’가 나쁘다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교사로 일하거나 교수로 지낸대서 바보스럽거나 멍청한 삶으로 나뒹군다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다만, 교사이건 교수이건, 오늘날 한국 사회에서 학교가 어떤 몫을 맡으면서 어떤 일을 하는가 하는 대목을 똑바로 읽고 슬기롭게 바라보며 아름답게 맺거나 풀 줄 알아야지 싶어요. 오늘날 한국 사회에서 ‘제도권 학교교육’을 읽지 못한다면, 교사로서도 교수로서도, 무엇보다 어른으로서도, 어버이로서도, 그리고 사람으로서도, 아무런 빛과 사랑과 꿈과 이야기를 나누지 못합니다. (4345.11.14.물.ㅎㄲㅅㄱ)

 

(최종규 . 2012)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Grace 2012-11-21 12:2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학교와 감옥의 비유가 어쩜 그리도 딱딱 들어 맞는지 신기하군요!ㅎㅎ

특반 학생들은 화장실 청소도 시키지 않는다는 걸 아세요?
특특반 학생들의 야자 마치는 시간은 밤 12시, 특반 학생들은 11시,
일반반 학생들은 10시... ㅋㅋ 참 우습죠?
분노로 일렁이는 마음을 이제는 지켜볼 줄 아는 연륜이 쌓여가고 있어
나이 들어 간다는 것이 나쁘지만 않더군요.ㅎㅎ

종규님은 제가 살고 싶은 삶을 살고 계신 듯 보여요.
댁의 아이들 또한 바로 제가 키우고 싶었던 아이들의 모습이어서 볼때마다
무척 흐뭇하고 뿌듯해지기까지 하더라구요.
용기로 보여 제 눈엔 더없이 훌륭해 보이는군요!^^


숲노래 2012-11-21 15:12   좋아요 0 | URL
헉... 특반이나 특특반이라는 게 있나요?
참... 아이들이 이렇게 학교에서조차
신분과 계급으로 나뉘어 시험공부만 하면
이 아이들이 나중에 '공무원'이나 '회사원'이 되면
ㅇㅁㅂ 같은 사람이나 ㅂㄱㅎ 같은 분들보다
훨씬 무섭거나 끔찍한 일을 할밖에 없는 줄
다들 모르거나 못 느낄까 싶기도 하네요...

삶이란 대단하지 않은데
이 대단하지 않으면서
사랑스럽고 좋은 나날을
여느 도시사람과 시골사람
모두 맑고 밝게
깨닫고 느끼며 즐길 수 있기를 빌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