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님맞이 (도서관일기 2012.10.29.)
 ― 전라남도 고흥군 도화면 동백마을, ‘서재도서관 함께살기’

 


  인천에서 손님이 찾아온다. 여섯 살 아이랑 네 살 아이를 이끈 어머니 한 분 찾아와서 여러 날 우리 집에서 함께 묵는다. 바다에도 마실을 가고 마을 한 바퀴도 돈 다음 서재도서관에도 함께 나들이를 간다. 그런데 여러 날 함께 지내면서 서재도서관에는 꼭 한 번 나들이를 한다. 바쁠 일이 없다고 할 테지만, 코앞에 있는 곳까지 드나들지 못한다. 새삼스럽다 할 일은 아니다. 서재도서관과 집이 함께 있지 않을 때에는 나부터 하루에 한 차례 들르기도 만만하지 않다. 돌이켜보면, 인천에서 서재도서관을 꾸릴 적에도 3층이 도서관이고 4층이 살림집이어도 큰아이 하나 돌보고 집살림 도맡느라 하루에 한 차례도 3층으로 못 내려온 적이 잦았다. 다시금 생각해 보면, 두 아이와 복닥이면서 책 한 줄 못 읽는 날이 있다. 두 아이와 부대끼면서 종이책 건드릴 엄두를 못 낼 뿐 아니라, 두 아이한테 그림책 한 번 느긋하게 못 읽어 주는 날도 잦다.


  먼 곳에서 손님이 찾아왔기에 아이 넷이 복닥복닥 떠드는 서재도서관이 된다. 아이들은 아이들인 터라 다른 책보다 그림책 둘레에 모인다. 어른들이 찾아왔으면 어른들 나름대로 다른 책 둘레에 모이겠지. 사진기를 어깨에 멘 어른들이 찾아왔다면 이분들은 이분들 나름대로 다른 책 둘레에 모이겠지.


  어느 어른은 우리 서재도서관 책을 살피며 ‘값진’ 책이 많다고 말한다. 아이들은 우리 서재도서관으로 마실을 하면서 ‘넓어 뛰어놀기 좋다’고 말한다. 아마 아이들로서는 ‘도시에 있는 다른 도서관’에서는 뛰지 말라느니 시끄럽게 굴지 말라느니 하는 소리를 신나게 들었으리라. 한쪽에서는 아이들이 골마루를 달리고, 다른 한쪽에서는 어른들이 걸상에 앉아 책을 읽고, 또 다른 한쪽에서는 아이들이 흙운동장을 달리며 놀고, 또 다른 한쪽에서는 어른들이 나무그늘에서 해바라기를 하며 이야기꽃 피울 수 있으면, 또 다른 한쪽에서는 빈터에서 텃밭을 일굴 수 있다면, 더할 나위 없이 예쁘며 아름다운 도서관살림이 되리라 느낀다. 꿈을 꾸자.


* 도서관 지킴이 되기 : 우체국 012625-02-025891 최종규 *
* 도서관 지킴이 되어 주는 분들은 쪽글로 주소를 알려주셔요 (011.341.7125.)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