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량한 말 바로잡기
 (1580) 발견

 

세월이 한참 흘러 이제 그것이 나의 흥미를 끌고 있다. 바로 내가 흙을 밟고 있다는 사실을 발견한 후부터다
《카렐 차페크/홍유선 옮김-원예가의 열두 달》(맑은소리,2002) 167쪽

 

  “세월(歲月)이 한참 흘러”는 그대로 두어도 됩니다. 그런데 ‘세월’이란 무엇일까요. “흐르는 나날”을 가리키는 한자말인데, 이 낱말을 꼭 써야 할까 한 번쯤 짚을 수 있기를 빌어요. 흐르는 날이 한참 흐른다고 말하면 어딘가 얄궂거든요. 그래서 “한참 여러 날이 흘러”라든지 “한참 지나고 나서”라든지 “기나긴 나날이 흘러”처럼 새롭게 쓰면 한결 나으리라 느껴요.


  “나의 흥미(興味)를 끌고 있다”는 “나한테 재미있다”나 “내게 재미를 불러일으킨다”나 “내 재미를 끈다”로 손봅니다. “밟고 있다”는 “밟는다”로 바로잡고, ‘사실(事實)’은 ‘줄’이나 ‘대목’으로 다듬으며, ‘후(後)’는 ‘뒤’나 ‘다음’으로 다듬습니다.

  ‘발견(發見)’은 “미처 찾아내지 못하였거나 아직 알려지지 아니한 사물이나 현상, 사실 따위를 찾아냄”을 뜻하는 한자말입니다. 그러니까, 한국말 ‘찾아냄’을 한자로 옮겨적으면 ‘發見’이 되는 셈입니다.

 

 흙을 밟고 있다는 사실을 발견한 후부터다
→ 흙을 밟는 줄 알아채고 나서부터다
→ 흙을 밟구나 하고 느낀 뒤부터다
→ 흙을 밟는다고 깨달은 뒤부터다
→ 흙을 밟으며 사는 줄 안 다음부터다

 

  사람들이 여러모로 쓰기에 한자말 ‘발견’이 이래저래 쓰인다고 할 만합니다. 사람들이 낱말뜻을 옳게 깨닫거나 살핀다면, 한자말 ‘발견’은 어느 곳에서 쓸 일이 없으리라 봅니다. 왜냐하면, ‘발견’은 ‘찾아냄’을 가리킬 뿐, 딱히 다른 뜻이나 깊은 뜻이 없어요.


  이를테면, 국어사전에 “유적이 고고학자들에게 많이 발견되고 있다” 같은 보기글이 실리는데, 이 보기글은 글짜임부터 엉성합니다. 한국 말투라 할 수 없는 보기글입니다. “유적이 많이 나온다”라고는 적을 수 있지만, “유적이 고고학자들에게 많이 나온다”라고는 적을 수 없어요. 이 보기글에서 “발견되고 있다”는 “나온다”를 가리키거든요. 그래서 글짜임을 통째로 바꾸어 “유적을 고고학자들이 많이 찾아낸다”나 “유적을 고고학자들이 많이 캐낸다”처럼 고쳐써야 알맞아요.

 

 수많은 새로운 사실이 발견되고 있다
→ 수많은 새로운 사실이 드러난다
→ 수많은 새로운 이야기가 알려진다
→ 수많은 새로운 모습이 밝혀진다

 

  이 보기글도 국어사전에 실리는데, 여러모로 엉성합니다. ‘수많은 새로운’처럼 적으니 알맞지 않아요. “새로운 이야기가 수없이 알려진다”라든지 “새로운 모습이 수없이 밝혀진다”처럼 더 손질해야겠지요.


  낱말은 낱말대로 알맞고 바르게 적어야 아름답습니다. 말투는 말투대로 가다듬고 추슬러야 어여쁩니다. 어떤 토박이말을 찾거나 사랑하자는 소리가 아니에요. 한국말을 한국말답게 바라보고 느끼며 깨닫자는 소리입니다.


  그래서 “새로 발견한 법칙” 같은 보기글은 “새로 알아낸 법칙”이나 “새로 찾은 법칙”이나 “새로 찾아낸 법칙”이나 “새로 깨달은 법칙”이나 “새로 캐낸 법칙”이나 “새로 밝힌 법칙”처럼 손볼 만해요. 아니, 이렇게 손볼 때에 비로소 빛이 납니다. 말빛이 환하게 퍼져요.


  생각해 보셔요. 처음부터 ‘찾아내다-알아내다-깨닫다-찾다-알다-밝히다-캐내다-캐다’ 같은 낱말로 나타낼 때에 환하게 빛날 말투인데, 한자말 ‘발견’이 엉뚱하게 끼어든 셈 아닐까 싶어요.

 

 자아를 발견하다
→ 나를 찾다
→ 나를 보다
→ 참나를 깨닫다
→ 참된 나를 알다

 

  ‘자아(自我)’라 하는 한자말도 헤아려 봅니다. 이러한 한자말을 꼭 쓰려고 한다면 쓸밖에 없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한자말이든 저러한 한자말이든 굳이 안 쓰려고 한다면 안 쓸 수 있어요. 아니, 쓸 일이 없어요. ‘자아’라는 한자말로 어떤 모습 어떤 이야기 어떤 생각을 나타내고 싶은가를 살필 일이에요. 스스로 무엇을 보고 싶은가 살펴야 해요. 스스로 무엇을 알려 하는지 깨달아야 해요. 스스로 무엇을 느끼고 싶은지 둘러보아야 해요.


  참다운 나를 찾으며 참다운 말을 찾아요. 참다운 나를 생각하며 참다운 삶을 생각해요. 참답게 사랑할 길을 걸으며, 말도 넋도 삶도 아름다이 사랑할 수 있어요. (4345.11.4.해.ㅎㄲㅅㄱ)

 


* 보기글 새로 쓰기
기나긴 나날이 흘러 이제 나도 그것이 재미있다. 바로 내가 흙을 밟으며 사는 줄 깨달은 뒤부터이다

 

(최종규 . 201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