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명교사예찬비’가 있습니다. 1985년 2월 24일에, 전라남도 고흥군 도화면 신호리에 있던 흥양초등학교(1963년 열고, 1998년 닫음) 교사 김정숙(1960∼1984) 님을 기리며 세운 빗돌입니다. 시골학교 교사 김정숙 님은 시골마을에서 태어나 시골마을에서 살며 시골학교 교사가 되어 아이들을 가르치다가 교통사고로 돌아가셨는데, 시골학교 교사로 일하며, 마을 가난한 아이들을 알뜰히 보살피며 뒷배했다고 해요. 안타까이 스러진 넋을 기려 동료 교사와 후배가 빗돌을 세웠고, 이녁 아버지 김영식 님은 딸아이가 흙으로 돌아간 뒤 딸아이 넋을 이어 시골학교 아이들한테 장학금으로 도와주는 일을 농사를 지으며 꾸준하게 잇습니다. 무명교사예찬비가 있는 전남 고흥인데, 이곳에는 서울에서 나고 자란 뒤 시골로 삶자리 옮기며 농사꾼이 되었다가 서른네 살부터 고등학교 교사로 일하는 조경선(42) 님이 있습니다. 조경선 님은 《서울 여자, 시골 선생님 되다》(살림터,2012)라는 교육일기를 내놓았습니다. 내남없이 도시로, 서울로, 온통 시골을 떠나는 흐름하고는 다르게, 도시에서, 또 서울에서 시골로 찾아든 조경선 님은 시골학교에서 문학으로 삶을 가르치는 일을 맡습니다. 그리고, 또 다른 서울사람으로서 서울을 떠나 강원도 양양에 있는 산촌유학센터에서 아이들을 돌보는 송민혜(38) 님이 있습니다. 송민혜 님은 충청북도 충주 무너미마을에 있는 이오덕학교에서 교사로 지낸 뒤 강원도 양양으로 옮겼습니다. 한 번은 숲속, 한 번은 바닷가, 이렇게 깊은 시골에서 아이들과 살아가며 서로를 아끼며 빛낼 사랑이란 무엇인가를 헤아립니다.

 

 

 

 

 

 

 


  숲사람 이야기 3 - 학교는 삶을 나누는 곳
  시골교사가 품은 꿈

 


  학교가 맡은 몫


  아이들이 학교에 갑니다. 도시에서든 시골에서든 아이들이 학교에 갑니다. 시골에서는 노란버스가 마을 곳곳을 돌며 아이들을 태우곤 합니다. 두 시간에 한 번 지나가는 버스를 타려고 아침 일찍 부산하게 길을 나서는 시골마을 아이들이 있습니다. 시골마을 시골버스에는 사람이 퍽 적습니다. 한갓진 버스에는 으레 할머니 할아버지 손님만 있으나, 학교옷 입은 푸름이가 드문드문 보이곤 합니다. 시골버스는 숲이나 바다나 논밭을 가로지르며 달립니다. 시골버스 타고 학교를 오가는 아이들은 시골마을 삶자락을 가만히 살펴보면서 마음으로 곱게 담을 수 있을까요.


  도시 아이들은 이른아침이나 새벽부터 꽉꽉 들어차는 버스나 전철을 타고 학교를 다닙니다. 저녁이나 밤에도 이와 같습니다. 창밖을 바라볼 겨를이 없고, 창밖을 바라본들 시골처럼 푸른 숲이나 파란 하늘이란 없습니다. 오직 잿빛 건물과 까만 아스팔트뿐입니다. 사람만큼은 오지게 많아, 여기에서도 저기에서도 사람에 치입니다. 도시에서 수많은 사람들한테 둘러싸인 아이들은 저마다 아름다운 목숨 건사하는 사람이요, 나와 너 모두 고운 넋인 줄 즐겁게 느낄 수 있을까요.


  학교를 오가는 길은 사뭇 다르지만, 시골이나 도시나 학교에서 가르치는 이야기는 똑같습니다. 모두 똑같은 교과서를 쓰고, 모두 똑같은 시험문제를 풀며, 모두 똑같은 대학교를 바라봅니다. 그저 한 가지만 다릅니다. 도시 아이들은 도시 초·중·고등학교를 나와 도시에서 살아가고, 시골 아이들은 시골 초·중·고등학교를 나와 도시에서 살아갑니다. 도시 아이들은 더 커다란 도시로 나아가곤 하는데, 시골 아이들은 ‘아무튼 도시로 나가’고 보며, 한 번 도시로 나갔으면 더 큰 도시로 새로 나아가서 살아가든 처음 나아간 도시에서 뿌리를 박든. 도시내기가 돼요.


  곰곰이 살피면, 오늘날 학교가 맡은 몫이라면, 도시 아이는 언제까지나 도시내기가 되도록 하고, 시골 아이는 차츰 도시내기가 되도록 하는구나 싶어요. 도시에서 회사원이나 공무원이 되도록 이끌어요. 또는 공장 일꾼이 되도록 등을 밉니다.

 

  시골학교 장학금


  요즈음은 어느 시골에서나, 그러니까 ‘군 단위’ 어느 곳에서나 ‘지역발전 장학금 모으기 사업’을 합니다. 고흥군에서도 해남군에서도 봉화군에서도 양양군에서도 음성군에서도 한결같이 ‘지역발전 장학금 모으기 사업’에 소매를 걷어붙이고 나섭니다. 고흥군에서는 2012년에 벌써 100억 원에 이르는 장학기금을 모았다며, 앞으로는 200억 원에 이르는 장학기금을 모으겠다고 밝힙니다.


  장학금이란 더 힘내어 배우라는 뜻으로 주는 돈입니다. 시골에서나 도시에서나 가난한 집안 아이들이 있으니, 장학금 받으며 학교를 다니면 여러모로 보탬이 되리라 느껴요. 그런데, 시골학교에서 아이들한테 장학금을 왜 주고, 장학기금을 어디에 쓰는지는 잘 모르겠어요. 왜냐하면, 장학금은 으레 ‘학력’ 장학금이지 ‘복지’ 장학금이 아니기 때문이에요. 더욱이, ‘지역발전’과 ‘나라발전’을 이루라며 장학금을 줄 뿐, 시골 군 단위에서 시골에 튼튼히 뿌리내리는 아름다운 농사꾼이 되라며 장학금을 주는 일은 없어요. 모든 장학금은 시골 아이들이 시골을 떠나 도시로 가도록 부추깁니다.


  시골마을에서 태어나 시골마을 작은 초등학교에서 교사가 된 김정숙 님은 이녁이 다니던 초등학교에서 교사가 된 뒤, 이 학교 후배이자 제자를 따사로이 품었습니다. 이녁이 흙으로 돌아가고 나서 무명교사예찬비가 섰는데, 이 빗돌 이름대로 ‘이름없는’ 교사한테서 배운 ‘이름없는’ 아이들은 ‘이름없는’ 작은 마을에서 저마다 씩씩하고 꿋꿋하게 살아갈 사랑을 물려받았으리라 느낍니다. 비록 지역발전이나 나라발전 같은 거룩한 뜻을 펴지 못한달지라도, 흙을 사랑하고 숲을 아끼며 바다를 돌보는 착한 어른으로 자랐으리라 느껴요.


  도시에서 시골로 삶자리 옮긴 고등학교 교사 조경선 님은 시골마을 아이들이 비록 도시만 바라보고 도시로 갈 생각만 키운다 하더라도, 이 아이들 가슴에 문학을 바탕으로 이웃과 동무를 사랑하는 넋을 북돋우며, 어디에서 어떤 일을 하는 어른으로 살아가든, 아이들이 선 땅과 아이들이 바라볼 하늘을 떠올리도록 이야기꽃 피우리라 느껴요.


  도시에 있는 어버이 품을 떠나 산촌유학센터에서 살아가며 시골학교를 다니는, 이른바 산촌유학을 하는 도시 아이들하고 살아가는 도시내기 교사 송민혜 님은, 그곳 아이들하고 똑같은 살림이라 할 수 있을 테지요. 그러나, 아이들이 산촌유학을 끝내고 일자리며 삶자리를 도시에서만 찾고 ‘시골에서 지낸 어릴 적 경험’만 쌓기보다는 ‘시골에서 살며 느낀 즐겁거나 좋은 꿈’을 품을 수 있으면 참 좋겠다고 생각하는구나 싶어요. 시골살이란 자연체험이 아니니까요.

 

 

 

 

 

  일반학교·대안학교


  아이 둘과 살아가며 늘 헤아립니다. 이 아이들을 학교에 보내야 할까 차근차근 헤아립니다. 다섯 살 된 큰아이는 보육원이나 유치원이나 어린이집을 안 다닙니다. 두 살 작은아이도 아무 시설에 넣지 않습니다. 아침부터 저녁까지 네 식구 함께 부대낍니다. 손수 밥을 차려 먹이고, 손수 빨래해서 입히며, 손수 집살림 건사하며 지냅니다.


  새근새근 자는 아이들 이마를 쓸어넘깁니다. 이불을 걷어차면 여밉니다. 밤에 쉬가 마려우면 쉬를 누입니다. 기저귀에 쉬를 눈 작은아이 옷가지는 날마다 빨래해서 말린 다음 예쁘게 갭니다. 아이들과 마을을 천천히 한 바퀴 돌곤 하며, 자전거수레에 이 아이들 태우고 면소재지나 바닷가나 이웃마을을 찬찬히 다니곤 합니다. 숲을 거닐거나 들을 걷습니다. 나무하고 얘기하고 풀벌레 노랫소리 듣습니다. 해와 구름과 달과 별을 올려다봅니다.


  아이들은 무엇을 배울 때에 즐거울까 생각합니다. 어버이인 내가 이 아이들 나이였을 적, 나부터 무엇을 배우며 하루를 누릴 때에 즐거웠던가 생각합니다. 나부터 무엇을 어떻게 배워야 내 삶을 내 손으로 당차게 일굴 만한가 생각합니다. 물려줄 돈이나 지식이나 집이나 땅이 아닌, 함께 살아가며 함께 누리고 함께 빚을 삶을 생각합니다.


  여느 제도권학교에서는 제도권 틀에 맞추어 열두 해 교육과정이 있습니다. 열두 해 교육과정은 오직 대학교 잘 들어가는 길을 보여줍니다. 보충수업과 자율학습이라는 이름을 붙여 그저 대입시험 문제를 잘 풀도록 길들입니다. 시골학교에는 기숙사가 많은데, 기숙사에 들어가는 아이들은 밤늦도록 수험공부를 합니다. 봄이 되어 들마다 봄일에 바쁘건, 여름이 되어 들마다 여름일에 바쁘건, 또 가을이 되어 들마다 가을일에 바쁘건, 이제 시골학교조차 ‘들일 방학’이 없어요. 예전에는 시골학교에서는 봄철과 가을철 열흘 즈음 말미를 마련해, 집식구 들일을 거들도록 했다 하지만, 요즈음에는 학원에 보내든 과외를 시키든 ‘대학교에 붙도록 돕는 시험공부’를 한 시간이라도 더 시키려고 시골이나 도시나 똑같이 구슬땀을 흘립니다.


  대안학교에 다니는 아이들은 대학교에 들어가 새로운 길을 찾고 싶다 하면서 일반학교 아이들하고 똑같이 시험공부를 붙잡습니다. 나라에서 인가를 받으며 지원을 받는 대안학교는 비록 학교가 숲속에 있다 하더라도 숲배움을 하지 못하고, 일반학교처럼 교과서를 쓰며 시험공부를 하도록 틀이 짜입니다.


  여러모로 살펴보면, 한국에서는 일반학교이든 대안학교이든 똑같아요. 학교가 깃든 터는 다르나, 가르치는 이야기는 같아요. 가르치는 이야기가 사뭇 달라도, 일반학교를 마치건 대안학교를 마치건 시골사람 되도록 이끌지 않아요. 숲속에 깃든 대안학교이든 시골에 자리한 일반학교이든, 숲이나 메나 바다나 냇물과 얼크러지면서 흙·풀·하늘·바람·해·냇물 기운을 맞아들이도록 이끌지 않습니다.


  그러면, 초등학교부터 고등학교까지 열두 해, 여기에 대학교 네 해, 이른바 열여섯 해를 학교에서 보내는 아이들은 무엇을 느끼거나 겪거나 배우면서 어른이 될까요. 이 아이들은 스무 살이 되고 스물다섯 살이 될 적에, 이녁 삶을 얼마나 스스로 일구면서 홀로서기를 할 만할까요.

 

 

 

 

 

  시골 읍·면 고등학교


  시골 읍내 고등학교나 면내 중학교를 다니는 아이들 가운데에는 이녁 어버이 일을 거들며 바다를 누비거나 흙을 만지는 아이가 더러 있습니다. 그러나 거의 모든 아이들은 학교에서 아주 오랫동안 머물며 수험공부에만 마음을 쏟습니다. 또는 학교 기숙사에서 먹고자며 수험공부로 하루를 보냅니다. 막상 시골에서 학교를 다녔어도 들풀 이름이나 나무 이름 하나 모르곤 합니다. 들풀을 따서 나물로 무치거나 나무를 보살피는 손길을 익히지 않곤 합니다.


  도시에서 학교를 다니는 아이들한테는 숲이 없고 바다가 없으며 들이 없습니다. 도시 아이들한테는 놀이시설이나 문화시설이 가까이 있습니다. 버스가 많고, 전철이 있기도 합니다. 시내에는 옷가게·밥집·찻집도 많아요. 다만, 도시에 많은 온갖 놀이·문화시설은 모두 돈을 들여야 즐길 수 있습니다. 도시에서도 돈이 없다면 공공도서관 빼고는 딱히 즐길 만한 시설이 없어요. 더욱이, 돈이 있거나 없거나 마음을 놓고 드러누워 쉴 풀숲이 없어요. 시원하며 조용한 나무그늘이 없어요. 해바라기를 하거나 별바라기를 할 호젓한 들판이 없어요. 책을 읽으며 별자리를 익히고 구름 모양을 외울 수 있을 테지만, 도감이나 자연그림책을 읽으며 풀이름이나 꽃이름을 욀 수 있을 터이나, 나물 뜯기나 밭 일구기는 겪어 보기 어려워요.


  나는 시골에서 아이들과 살아가며 언제라도 바다로 마실을 가거나 숲이나 들로 나들이를 갑니다. 군내버스를 타고 이웃마을을 찾아갑니다. 자전거를 달려 옆마을을 돌아봅니다. 이동안 둘레를 살펴보면, 다른 시골 아이들은 스스로 이녁 마을 곳곳을 누비지 않습니다. 아이들끼리 동아리를 꾸려 멧길을 오르거나 바닷가를 노닐지 않습니다. 여행이나 관광이 아닌 삶으로 누리는 숲을 느끼지 못해요. 시골에서도 도시에서도, 아이들은 가게에서 음료수와 과자를 사서 먹습니다. 시골에서도 도시에서도, 아이들은 가게에서 무언가 사다 먹은 다음 빈 봉지를 아무 곳에나 버립니다. 따로 청소부가 쓰레기를 치워야 합니다. 청소부란 다른 사람이 아닌 내 어버이일 수 있고, 푸름이들이 어른이 되어 스스로 얻을 일자리일 수 있지만, 시골에서나 도시에서나 푸름이들은 스스로 어디에 어떻게 서며 살아가는가를 못 깨달아요.


  도시에서는 유비쿼터스 고등학교가 생깁니다. 시골에서는 전자고등학교나 종합고등학교가 생깁니다. 공업고등학교와 상업고등학교와 농업고등학교는 하나둘 자취를 감춥니다. 이름이 바뀌고 허울이 달라지는데, 어느 고등학교이든 아이들은 ‘도시에서 돈을 버는 일자리’ 솜씨를 익히는 길을 걷습니다. 대학교에 나아가는 길도 ‘도시에서 돈을 버는 일자리’ 솜씨를 익히는 길이 될 뿐입니다.


  돌이켜보면, 밭일이나 들일이나 멧일이나 바닷일은 초·중·고등학교뿐 아니라 대학교에서조차 가르칠 수 없다 할 만해요. 고기잡이배를 몰거나 그물을 던지거나 거두는 솜씨를 어느 대학교수가 가르칠까요. 호미질을 하거나 낫질을 하는 솜씨를 어느 과목교사가 가르치나요. 구름과 별을 바라보며 날씨를 읽는 눈썰미를 가르치는 대학교수는 없어요. 들풀과 멧나물을 꺾거나 따거나 캐서 밥거리를 얻는 길을 가르치는 과목교사는 없어요.

 

 

 

 

 

  교과서·책


  두 살 작은아이가 바지에 응가를 눕니다. 으레 아침과 낮과 저녁, 이렇게 세 차례는 똥바지를 치웁니다. 작은아이는 응가를 누고는 속이 아주 시원한지 해맑게 웃습니다. 해맑게 웃는 아이를 안고 밑을 씻기면서 몸도 씻깁니다. 똥에 흠뻑 젖은 바지를 복복 비벼서 빨래합니다.


  아이들 옷가지를 빨래하는 솜씨는 스스로 익혔습니다. 아니, 내 어린 날 내 어머니가 나와 형 옷가지를 빨래하던 손길을 어깨너머로 바라보며 익혔다고 해야 옳아요. 어제, 나는 내 어머니 손길이 듬뿍 담긴 옷을 입으며 사랑을 배웠습니다. 오늘, 나는 내 손길이 담뿍 배인 옷을 입히며 사랑을 가르칩니다. 그나저나, 빨래하는 솜씨를 다루는 교과서나 책은 없습니다. 학교에서는 손빨래이든 기계빨래이든 가르치지 않습니다. 더 헤아리면, 학교에서는 밥하기나 국 끓이기나 반찬 만들기를 가르치지 않아요. 더더 헤아리면, 학교에서는 사내와 가시내가 서로 사랑하며 아기를 빚는 길을 가르치지 않아요. 더더더 헤아리면, 사랑으로 빚은 아기를 사랑으로 낳아 사랑으로 돌보는 길을 가르치지 않아요. 더더더더 헤아리면, 사랑으로 낳아 돌보는 아기가 사랑스럽게 자라서 아이 스스로 사랑스럽게 홀로서기하도록 이끄는 삶을 하나도 가르치지 않아요. 오직 하나, 학교에 보내라고만 가르치는 학교예요.


  마을 할머니가 쑥을 뜯고 미나리를 뜯으며 시금치를 뜯습니다. 손수 씨를 뿌리는 푸성귀도 뜯고, 굳이 씨를 안 뿌려도 절로 잘 자라는 풀을 뜯습니다. 할머니들은 누구한테서 ‘풀뜯기’를 배웠을까요. 누가 할머니한테 풀뜯기를 가르쳤을까요.


  마을 할아버지가 낫으로 풀을 벱니다. 마을 할아버지가 감나무 뽕나무 석류나무 매화나무 능금나무 유자나무 탱자나무 동백나무 백일홍 비자나무 들을 돌봅니다. 할아버지는 누구한테서 나무 돌보는 손길을 배웠을까요. 누가 할머니와 할아버지한테 흙일을 가르쳤을까요.


  마을 할머니랑 할아버지한테 흙일을 가르친 분은 무엇을 바탕으로 흙일을 가르쳤을까요. 흙일을 가르치는 교과서나 책이 있었을까요. 당신들이 아이를 낳아 돌볼 적에, 아이를 낳아 돌보는 손길을 가르치던 교사나 가정부나 교수님이 있었을까요.


  먼먼 옛날 옛적부터 사람들이 살아오던 발걸음을 곰곰이 톺아봅니다. 먼먼 옛날부터 사람들은 스스로 책이 되었습니다. 종이가 없고 붓이 없었어도, 사람들은 스스로 책을 썼습니다. 사람들 누구나 온몸으로 책을 쓰고 온마음으로 책을 읽었어요. 손과 발에 아로새긴 책을 맑은 눈빛으로 빙그레 웃으며 아이들한테 물려줍니다. 눈과 귀와 코와 입으로 몸책을 읽고 마음책을 읽으며 삶책을 읽습니다. 아이들은 놀이를 하며 놀이책을 읽습니다. 아이들은 물질을 하며 물책을 읽습니다. 아이들은 숲을 누비며 숲책을 읽습니다. 아이들은 들에서 풀뜯기를 거들며 풀책을 읽고, 풀피리를 부르며 노래책을 읽습니다. 소를 몰고 새를 만나며 개구리랑 노닥거리는 동안 짐승책과 목숨책을 읽습니다. 언제나 하늘책, 구름책, 해책, 달책, 무지개책, 미리내책처럼, 싱그러이 빛나는 빛책을 읽습니다. 고려나 조선 같은 지난 어느 날, 어느 지식인과 학자는 한문으로 책을 썼다고 합니다. 예전 지식인과 학자가 한문으로 쓴 책을 오늘날 사람들이 한국말로 옮기고 한글로 새로 적바림해서 다시 읽곤 합니다. 옛것을 읽히며 새것을 한결 넓게 아로새긴다고도 합니다. 그런데, 사람들은 한문책을 한글책으로 고쳐서 읽기는 하지만, 먼먼 옛날부터 수수하고 꾸밈없는 여느 내 어버이 몸과 마음에 아로새겨지던 삶책과 사랑책과 꿈책만큼은 제대로 읽지 못해요. 살아서 펄떡거리는 이야기책을 깨닫지 못해요.

 

  시골교사가 품는 꿈


  두 아이와 살아가는 나와 옆지기는 우리 집 아이들을 아직 학교에 넣을 생각이 없습니다. 왜냐하면, 아직 이 나라 학교에서는 아이들을 사랑스레 품으며 사랑을 가르쳐 사랑을 빛내는 푸름이로 살아가도록 가르치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사랑이 없는 학교에 우리 아이들을 넣어 사랑을 모르거나 사랑을 등지는 삶을 꾸리는 일은 달갑지 않습니다.


  나는 대학교를 그만두어 고졸이고, 옆지기는 고등학교를 그만두어 중졸입니다. 아버지요 어머니인 우리 두 사람한테는 요즈음 흔히 일컫는 가방끈이 없습니다. 그렇지만, 우리 아이들은 나와 옆지기한테서 사랑을 얼마든지 받아먹거나 물려받을 수 있어요. 우리 두 사람이 사랑으로 살아가면 아이들은 시나브로 사랑을 깨닫고 느끼며 배워요. 어버이 두 사람이 꿈을 생각하고 꿈을 이루려 활짝 웃으면, 아이들은 차근차근 꿈을 키우고 꿈날개를 펄럭일 수 있어요.


  얼추 서른 해쯤 앞서 흙사람이 된 ‘무명교사’를 마음으로 만납니다. 시골 읍내 고등학교 ‘문학교사’를 몸으로 만납니다. 또 다른 시골 산촌유학센터 ‘삶교사’를 이야기로 만납니다. 세 분 시골교사는 이녁이 맡은 아이들이 똑똑해지거나 돈을 잘 벌거나 이름을 드날리기를 바라지 않으리라 느낍니다. 세 분 시골교사는 이녁이 사랑하며 아끼는 아이들한테 꿈과 슬기와 빛과 삶을 몸소 보여주고 함께 어깨동무하면서 하루하루 곱게 일구려 한다고 느낍니다. 푸른 숲을 함께 좋아하기를 바라고, 파란 하늘을 함께 맛보기를 바라며, 너른 들과 맑은 물로 다 같이 너른 가슴과 맑은 눈빛이 되기를 바라리라 생각합니다. (4345.9.22.흙.ㅎㄲㅅㄱ)

 

(최종규 . 2012 - 시민사회신문)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마녀고양이 2012-10-05 17:58   좋아요 0 | URL
예쁘게 아이들을 키우시니까,
당연히 두아이 모두 너른 가슴과 맑은 눈빛을 가지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가끔은, 아이들이 된장님과 다른 선택을 하더라도 이해해주실까,
아이들의 선택을 존중해주실까 하는 걱정이 듭니다. 또는 이렇게 맑은 아이들을
제도권이 아닌 다른 선택을 세상에서 줄 수 있을까 하는 걱정도 합니다.

그냥.... 된장님이 하두 맑게 사시니, 걱정이 되는 걸겁니다.
아마도 그것까지 헤아리셔서 잘 하시리라 믿으면서도 말이지요. ^^

숲노래 2012-10-05 18:10   좋아요 0 | URL
사람들이 으레 궁금하게 여기는데,
아이들을 굳이 '제도권'이라는 데로 보내야 할 까닭이 없어요.

제도권 아닌 삶을 누리는 하루와
제도권 톱니바퀴가 되는 하루는
'다른 길'이 아니라 '삶인 길'과 '삶이 아닌 길'이에요.

곧, 아이들은 '삶인 길'에서 스스로 좋아할 길을 찾아가기 마련이에요.
그러니까, 아이들 스스로 저마다 좋아할 '삶인 길'을 잘 찾도록
어버이부터 '삶인 길'에 즐겁게 서서 씩씩하게 걸어가면
모든 일이 사랑스레 이루어지리라 느껴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