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기똥풀 우리시대 교사시선 1
김광철 / 고인돌 / 2011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시와 목소리
[시를 말하는 시 1] 김광철, 《애기똥풀》

 


- 책이름 : 애기똥풀
- 글 : 김광철
- 펴낸곳 : 고인돌 (2011.12.1.)
- 책값 : 1만 원

 


  시는 노래입니다. 시를 쓴 사람은 노래를 부르듯 시를 쓰고, 시를 읽는 사람은 노래를 듣듯 시를 듣습니다.


  노래는 시입니다. 노래를 부르는 사람은 시를 쓰듯 노래를 부르고, 노래를 듣는 사람은 시를 듣듯 노래를 듣습니다.


  교사가 시를 쓸 때에는 교사 스스로 노래를 부르는 삶을 시로 들려줍니다. 교사가 아이들과 얼크러지며 빚는 삶을 차분하거나 우렁차게 노래할 때에 시가 태어납니다. 교사와 학생이 서로 노래하는 삶일 때에 시가 태어나고, 교사와 학생이라는 옷을 벗고 ‘한 사람으로 만나는 삶’이 있을 때에 시와 같은 노래를 즐겁게 부릅니다.


  교사인 김광철 님이 쓴 시를 그러모은 《애기똥풀》(고인돌,2011)을 읽습니다. 참다이 이루는 교육을 생각하면서 살았다고 하는 김광철 님은, 당신이 쓴 시에서 당신 목소리를 낱낱이 담습니다. 이 나라 교육이 나아가기를 바라는 곧은 길을 생각하며 시를 씁니다. 김광철 님 스스로 어느 마을에서 태어나 어떻게 살았는가 하는 이야기를 돌아보면서 시를 씁니다.


  교육은 더 좋은 교육이나 더 나쁜 교육이 없습니다. 사람은 더 좋은 사람이나 더 나쁜 사람이 없습니다. 날씨는 더 좋은 날씨나 더 나쁜 날씨가 없습니다. 그저 교육이고, 그저 사람이며, 그저 날씨입니다. 받아들이는 가슴에 따라 이 교육을 스스로 좋게 여길 수 있고, 저 교육을 스스로 나쁘게 삼을 수 있습니다. 맞아들이는 마음에 따라 이 사람은 반가이 어깨동무할 수 있고, 저 사람은 얄궂게 등돌릴 수 있어요. 마주하는 삶에 따라 이 날씨는 나한테 좋다 느낄 수 있고, 저 날씨는 나한테 궂다 여길 수 있어요.


.. 여름날 조밭을 온통 뒤덮던 넌 철천지 원수였다 / 뽑고 또 뽑아도 끝이 없는 너와의 씨름 / 바다로 골짜기로 / 다른 애들처럼 물놀이 가고 싶은 소년의 꿈도 / 여지없이 짓밟은 너였지 / 해도 해도 끝이 없던 농사일에 / 시골 소년의 여름날은 / 차코 없는 사슬로 묶인 교소도 ..  (바랭이)


  교사 김광철 아닌 어린이 김광철한테 ‘어린 날 조밭’은 어떤 곳이었을까요. 조밭을 둘러싼 바랭이풀에 허덕이느라 바랭이풀이 끔찍하게 싫다는 생각만 불러일으키는 곳이었을까요. 조밭에서 낫으로 조를 꺾으면서 흘리던 땀이나 올려다보던 하늘이나 내려다보던 흙은 어떻게 느꼈을까요. 한 사람이 흙과 함께 살아가는 마을을 어떻게 받아들일 수 있었을까요.


  조밭에는 조와 바랭이풀만 자라지는 않았겠지요. 다른 들풀이 자랐을 테지요. 때로는 들풀에서 들꽃이 피었을 테고요. 밭뙈기는 조밭만 있지 않았겠지요. 무와 배추를 심은 밭이 있었을 테고, 감자와 고구마를 심은 밭이 있었겠지요.


  조밭은 지구별에서 어떤 흙땅이었을까 헤아려 봅니다. 시골마을 조밭은 온누리에서 어떤 삶터였을까 곱씹어 봅니다. 조밭을 일구던 손길은 어떠한 꿈을 꾸던 손길이었고, 이 조밭에서 거둔 곡식을 먹는 사람은 어떠한 마음밭이었을까 생각해 봅니다.


.. 올해에도 팔당대교 아래에서 고니들을 만났다 / 저 고니들은 작년에도 재작년에도 그 장소에서 만났다 / 쟤들은 그 먼 길 / 만 리 먼 길을 한 치의 오차도 없이 잘도 찾아온다 // 나는 그저께 차 몰고 찾아갔던 친구 집을 다시 찾았다 / 분명 저 골목 같은데, 그리 들었더니 그 길이 아니더라 / 또 다른 골목길을 더듬는다 / 그러기를 수차례, 결국은 친구를 전화로 불러내고야 말았다 ..  (철새)


  하나를 보려고 하면 언제나 하나를 봅니다. 하나를 보려고 하니까 하나를 보는데, 하나를 보느라 막상 하나를 둘러싼 여럿이나 다른 하나를 못 보곤 합니다. 하나를 바라보면서 하나를 마음껏 바라보고, 하나를 둘러싼 모두를 살가이 쓰다듬는다면, 내 삶을 이루는 모든 사랑을 아름다이 얼싸안을 수 있습니다.

  시를 쓰는 교사 한 사람한테는 ‘고니’ 한 마리나 열 마리일 수 있습니다. 그런데, 지난해에 본 고니가 올해에 보는 그 고니일까요. 지난해에 본 고니는 지지난해에 본 그 고니일까요.

  사람은 고니를 바라보며 ‘고니’라고만 말합니다. ‘고니 아무개’라고 말하지 못합니다. 사람은 참새를 바라볼 때에도, 직박구리나 제비를 바라볼 때에도, 메뚜기나 개구리를 바라볼 때에도 ‘참새 아무개’나 ‘개구리 아무개’라고 말하지 못해요.


  어쩌면, 사마귀가 사람을 바라볼 때에 ‘그저 다 같은 사람’이라고 여길 수 있습니다. 사마귀를 바라보는 사람이 ‘그저 다 같은 사마귀’라고 여기면, 사마귀도 사람을 그저 다 같은 사람이라고 여깁니다.


  보리밭 보리를 바라보며 다 같은 보리가 아니라, 다 다른 목숨인 보리씨앗이 다 다른 목숨인 보리알을 맺는다고 느낀다면, 보리밭을 가득 메운 어여쁜 보리들은 사람을 바라보며 다 다른 사람들하고 어깨동무하는 꿈을 꿀 수 있습니다.


  매미 노랫소리를 듣고, 풀벌레 노랫소리를 들으며, 개구리 노랫소리를 듣습니다. 시골마을에서 살아가며 듣는 노랫소리는 늘 다릅니다. 무논 앞에 서서 개구리들 노랫소리에 가만히 귀를 기울이면 개구리마다 목소리가 달라요. 다 다른 목소리는 다 다른 바람결에 실려 내 귓결로 곱게 얼크러지며 스며들어요.


.. 참다못해 기어이 그 녀석의 숟가락을 뺏어 들고 / 밥 한 술 뜨고 그 위에 김치 한 조각 얹어 놓고는 / 기어이 고 녀석 입 속에 밀어 넣고야 만다 / 억지로 받아물기는 하지만 / 여전히 꼭 다문 입술 / 내리깔고 있는 눈길 / 얼르고 달래 보며 / 구슬려도 보고 협박도 해본다 / “얼른 먹으면 놀이터에서 10분 동안 놀다 오게 해 줄게.” / “이거 얼른 먹지 않으면 내일은 굶긴다.” / “한국 사람은 김치를 먹어야지. 너흰 미국 사람 아니잖아.” / 그래도 아랑곳없다 ..  (병아리들의 점심)


  나는 시를 즐겁게 읽고 싶습니다. 나는 목소리를 높이는 시가 아니라, 사랑을 나누려는 시를 읽고 싶습니다.


  목소리를 높인들 시가 되지 않습니다. 목청껏 소리를 지른대서 노래가 되지 않습니다. 옥타브가 높아야 듣기 좋은 노래나 멋진 노래가 되지 않습니다. 악기를 많이 타야 놀라운 노래가 뛰어난 노래가 되지 않습니다. 노래는 노래다울 때에 노래입니다. 노래는 결을 살리고 무늬를 빛낼 때에 노래입니다. 곧, 시는 시다울 때에 시입니다. 시다운 결을 살리고 시다운 무늬를 빛낼 때에 시입니다. 이렇게 가야 하거나 저렇게 가야 한다고 목청을 외친다고 시가 되지 않습니다.


  왜 아이한테 밥을 억지로 먹여야 할까요. 왜 아이를 윽박질러야 할까요. 한국사람이 김치를 꼭 먹어야 할까요. 한국사람이 김치를 못 먹을 수 없을까요.


  한겨레가 김치를 먹은 지는 얼마 안 되었습니다. 한겨레는 이천 해나 오천 해 앞서에도 김치를 먹지는 않았습니다. 일만 해나 오만 해 앞서 한겨레는 무엇을 먹었을까요. 일만 해나 오만 해 앞서 먹던 무언가를 오늘날 먹어야 비로소 한겨레다울까요. 오백 해나 백 해 앞서 널리 먹던 무언가를 오늘날 먹어야 바야흐로 한겨레다울까요.


  이주노동자가 낳은 아이도 한국사람이고 한겨레입니다. 한국땅에서 태어나지 않고, 중국이나 러시아나 일본에서 태어난 아이도 한국사람이고 한겨레입니다. 어느 사람은 김치 같은 먹을거리를 잘 먹지만, 어느 사람은 김치 같은 먹을거리가 몸에서 안 받습니다. 어느 사람은 소젖을 잘 마시지만, 어느 사람은 소젖이 몸에서 안 받습니다. 밀가루가 안 받는 사람이 있어요. 찬것이 안 받는 사람이 있어요. 달걀이 안 받는 사람이 있어요. 다 다른 사람은 다 다른 밥으로 다 다른 삶을 이룹니다.


  아이가 김치 한 조각을 먹고 나서 ‘놀이터에서 고작 10분 놀’ 수 있는 일이란 얼마나 즐거울까요. 아이는 혼자 또는 여럿이서 놀이터에서 어떤 놀이를 10분 동안 할 만한가요. 오늘날 아이들은 공차기나 줄넘기를 빼고, 흙놀이나 고무줄놀이나 뜀뛰기놀이 들을 얼마나 즐거이 누리는가요. 학교는 아이들한테 어떠한 터전일까요. 학교를 다니는 아이들은 삶을 얼마나 바라보거나 느끼면서 제 삶을 씩씩하거나 튼튼하거나 싱그럽거나 해맑게 북돋우는가요.


  아이들이 따르거나 다가오도록 하자면, 교사 스스로 아름답게 살아가면 됩니다. 아이들이 믿거나 찾아오도록 하자면, 교사 스스로 사랑스럽게 살아가면 됩니다.


  목소리 높이는 교사는 아이들한테 알맞지 않습니다. 지식과 정보를 주워섬기는 교사는 아이들한테 걸맞지 않습니다. 이론과 비평을 잘 할 줄 아는 교사는 아이들한테 반갑지 않습니다.


  아이들은 함께 놀고 함께 먹으며 함께 누릴 수 있는 어버이와 교사가 반갑습니다. 아이들은 함께 사랑하고 함께 꿈꾸며 함께 살아갈 수 있는 어버이와 교사가 즐겁습니다.


.. 아니다 / 그 길은 정의가 아니기 때문에 아니다 / 진정으로 그들이 살기 위해서는 / 그들 욕심의 반은 내려놓아야 한다 / 그 엄혹한 자유당, 공화당 치하에서도 개천에서 용이 나왔다 / 그 개천 자체를 송두리째 메워버리려는 시도를 해서는 안 된다 / 물길은 터야 한다 / 누구나 노력하면 할 수 있느는 희망을 줘야 한다 ..  (곽교육감에게도 비추고 있을 팔월 열나흘 달)


  교사 김광철 님은 《애기똥풀》이라는 시집을 내놓으면서 무슨 이야기를 들려주고 싶었는지 궁금합니다. 교사 김광철 님은 ‘목소리 높이기’ 아닌 ‘삶을 사랑하기’로 시를 쓰는 길을 듣거나 배우거나 마주하거나 찾아나선 적이 있었는지 궁금합니다.


  아이들은 학교를 다니며 교사한테서 지식을 배우지 않습니다. 아이들은 학교를 다니며 교사한테서 삶을 배웁니다. 일그러진 삶을 배우든 아름다운 삶을 배우든, 아이들은 학교를 다니며 교사한테서 삶을 배웁니다.


  아이들은 집에서 제 어버이와 살아가며 삶을 배웁니다. 학교에서든 집에서든 아이들은 삶을 배웁니다. 삶 아닌 다른 무엇을 배우지 않아요.


  곧, 삶을 나누는 학교요 집이고 마을입니다. 그러니까, 삶을 쓰는 시요 소설이며 수필입니다. 삶을 노래합니다. 삶을 춤춥니다. 삶을 그립니다. 삶을 찍습니다.


  어떤 삶을 사랑하면서 노래를 부르고 싶은지 생각할 노릇입니다. 어떤 삶을 사랑하면서 춤을 추거나 그림을 그리거나 사진을 찍고 싶은지 생각할 노릇입니다. 교사이자 시인으로 살아가려 한다면, 무엇보다 어떤 삶을 사랑하면서 시를 쓰고 아이들 앞에 서고 싶은가를 생각할 노릇입니다.


  시집 《애기똥풀》에서는 바로 이 대목이 드러나지 않습니다. 틀은 시집이지만, 정작 시집이 시집다울 몫인 ‘사랑스러운 이야기’가 드러나지 않습니다. 김광철 님은 교사로 지내는 나날을 시로 썼다고 생각할 테지만, 그야말로 시는 ‘목소리’ 한 가지로만 이루어지지 않습니다. 왜냐하면, 모든 글은 목소리예요. 모든 말은 목소리예요. 어떤 글이거나 말이거나 모두 목소리예요. 나는 늘 내 목소리를 내면서 살아가요. 굳이 ‘나는 이런 목소리를 낸다구!’ 하고 힘주어 되풀이할 까닭이 없어요. 내 살아가는 이야기를 찬찬히 들려주면 이 이야기에서 목소리를 살피고 느끼면서 삶과 사랑을 받아들일 수 있어요. 그런데, 이렇게 살아가는 이야기를 찬찬히 들려주려 하지 않고, 온통 목소리로만 꽉 눌러채워 시라는 옷을 입힌다 한다면, 겉보기로는 시라 할는지 모르나, 싯말은 하나도 태어나지 않고 말아요.


  《애기똥풀》은 시집이 되지 못해요. 꼴은 시집이라 하지만, 시집다운 목소리가 없어요. 모양새는 시집이라 할 터이나, 시집으로서 삶을 사랑하는 길을 보여주지 못해요. 겉모습은 시집이 되겠지만, 참교육이든 참교사이든 참배움이든 참꿈이든 참지식이든 참얘기이든, 무엇이 ‘참’이고 무엇이 ‘거짓’이 되는가 하는 갈래조차 들려주지 못해요.


  파랗게 눈부신 하늘을 올려다보며 누리는 기쁜 사랑을 시로 적을 수 있기를 빌어요. 맑게 빛나는 냇물을 손으로 떠서 달콤하게 마시는 예쁜 꿈을 시로 노래할 수 있기를 빌어요. (4345.8.7.불.ㅎㄲㅅㄱ)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양철나무꾼 2012-08-07 18:26   좋아요 0 | URL
어려운 얘기이지만,
한번쯤 짚고 넘어가야할 얘기이네요.

시를 그냥 읽기만 할 것이 아니라,
시의 품격과 시를 읽는 사람의 품격을 생각해보게 하네요.
좋은 글 잘 읽었습니다, 꾸벅(__)

숲노래 2012-08-07 19:33   좋아요 0 | URL
어렵게 생각하면 어렵지만,
어렵지 않고 쉽다고 생각하면 쉽구나 싶어요.

'시란 무엇인가' 하는 생각부터
스스로 잘 갈무리하고 나서
시를 쓸 때에
삶이 빛나는 노래가 되리라 느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