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삶에 한 줄, 웃으며 읽는 책

 


  오제 아키라 님이 그린 만화책 《우리 마을 이야기》(길찾기,2012) 셋째 권 144쪽부터 146쪽까지 여러 차례 되읽습니다. 일본 나리타시에 있는 자그마한 시골마을 ‘산리즈카’에서 1962년부터 오늘날까지 그치지 않는 ‘공항 건설’을 둘러싼 이야기를 다루는 만화책인데, 온삶을 들여 흙을 일구는 할아버지는 공항 건설 공무원을 앞에 두고는 이렇게 말합니다. “공항 만드는 거야 좋은 일이지. 자네가 자기 일에 자부심을 갖는 것도 당연하고. 그래서 첨에는 조금 신경이 쓰였어. 다짜고짜 반대를 외치는 게 말여. 그러니까 그게, 내 생각만 하는 것 같아서. 근디 생각해 보니 말여, 그러면 우리 농사꾼이 하는 일은 대체 뭔가 싶더구먼. 자네는 ‘농사는 나라의 근간’이라는 그럴듯한 구절을 아는가? 아이들 교과서에 써 있다네. 난 이 구절을 알고서는 괜시리 뿌듯해지더란 말이여. 농지는 농사꾼의 것이되 농사꾼의 것이 아니여. 많은 사람들을 배고픔으로부터 지켜 주는 생명의 원천이여. 그야 나도 농작물을 팔아서 먹고살고는 있지만. 근디 공항은 엄청난 돈을 벌지 않는가? 난 자네들 덕분에 농사꾼이란 것에 긍지를 갖게 됐어. 내 일이 공항에 뒤지지 않는 가치 있는 일이라고 생각하네.”


  만화책 《우리 마을 이야기》는 일본에서 1992년에 나왔습니다. 한국에는 2012년 봄에 일곱 권이 옮겨집니다. 나는 지난 2000년 여름에 꼭 한 번 일본에 다녀온 적 있고, 이때에 비행기를 타고 나리타에 내렸습니다. 그때에 공항에 내린 비행기가 참 오래 빙빙 도는구나 하고 느꼈고, 공항 둘레에 논밭이 길게 펼쳐졌는데, 시골집 분들이 참 시끄럽겠네 하고 생각했습니다. 공항을 둘러싼 시골마을 사람들이 ‘1962년부터 공항을 반대하며 고향마을을 꿋꿋하게 지키는’ 분들인 줄 몰랐어요.


  그러고 보면, 나는 인천에서 태어나 자랐는데, 도시에서 태어나 자랐기에 내가 늘 먹는 밥이 어떻게 나오는 줄 몰랐고, 내가 먹는 푸성귀나 김치를 어떻게 얻는 줄 몰랐어요. 내가 도시를 떠나 시골에서 살아가기까지 ‘밥이 되는 곡식과 푸성귀와 열매’를 곰곰이 살피거나 헤아린 적이 없다 할 만합니다. 아마, 오늘날 도시에서 살아가는 분들 누구나 엇비슷하겠지요. 저마다 회사나 학교에서 온갖 일로 바빠요. 모두들 집 안팎에서 이것저것 걱정하느라 힘들어요. 한 끼니만 굶어도 배고프다고 느끼면서, 정작 배고픔을 달래며 새힘을 북돋우는 밥을 누가 어디에서 어떻게 일구는가를 생각하지 못해요.


  시인 김해화 님이 엮은 《당신을 사랑합니다》(삶이보이는창,2012)라는 책 38쪽을 읽으면, 시골에서 태어나 죽는 날까지 흙을 일구던 할머니 목소리가 생생하게 나옵니다. “그때는 시어머니가 산에 가라면 젤로 좋아. 산에 가서 도라지 캐고 고사리 꺾고 나무 함서 시엉도 꺾어 먹고 다래도 따 먹고……. 시어머니헌티 매도 안 맞고, 어쨌든 산에는 먹을 것이 있으니께.” 참말, 산에 가고 들에 가면 풀이랑 나무하고 벗삼으며 마음을 쉽니다. 풀이랑 나무는 잎사귀와 열매를 내어줍니다.


  김소월 님 시를 그러모은 《옷과 밥과 자유》(민음사,1977)라는 책에 담긴 시 〈깊고 깊은 언약〉을 읽습니다. “몹쓸 꿈을 깨어 돌아누울 때, / 봄이 와서 멧나물 돋아 나올 때, / 아름다운 젊은이 앞을 지날 때, / 잊어버렸던듯이 저도 모르게, / 얼결에 생각나는 ‘깊고 깊은 언약’.”


  김소월 님은 도시사람이었을까요, 시골사람이었을까요. 김소월 님은 흙을 일구며 살았을까요, 시내나 읍내 같은 데에서 흙하고 동떨어진 채 살았을까요. 김소월 님 싯말마다 ‘시골에서 흙을 일구며 느끼는 삶’ 이야기가 한 줄 두 줄 깃듭니다. 봄날 한철을 돌아보면서 “봄이 와서 멧나물 돋아 나올 때”를 노래합니다.


  나카가와 치히로 님 그림책 《작은 새가 좋아요》(크레용하우스,2002)를 다섯 살 아이하고 함께 읽습니다. 그림책 끝자락 29∼30쪽에 “새들의 말을 배울 테야, 그러면 새들이랑 이야기할 수 있잖아.” 하는 대목이 나옵니다. 그래요, 새들이 노래하는 말을 배우면 새들이랑 이야기할 수 있어요. 흙이 속삭이는 말을 배우면 흙하고 이야기꽃 피울 수 있어요. 바람과 햇살과 지렁이와 개구리가 주고받는 말을 배우면 바람과 햇살과 지렁이와 개구리하고 이야기잔치 열 수 있겠지요.


  식구들 모두 발포 바닷가에 가서 바다하고 이야기를 나눕니다. 여름에는 뒷산에 올라 멧딸을 따고 비탈논하고 이야기를 나눕니다. 가을에는 누런 벼 가득한 논뙈기랑 이웃 할아버지 낫자루하고 이야기를 나눕니다. (4345.7.19.나무.ㅎㄲㅅㄱ)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