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골’이라는 이름

 


  정부통계로는 2011년에 도시에서 살아가는 사람이 91.1퍼센트라던가 하는데, 나는 이 숫자가 그다지 놀랍다고 느끼지 않는다. 진작부터 시골사람 숫자는 아주 줄었다고 느꼈다. 그런데, 한 가지 놀랍다 싶은 대목은 왜 아직도 도시사람 숫자가 91퍼센트밖에 안 되나였다. 이제 한국에서 도시사람은 99퍼센트나 99.9퍼센트라고 해도 맞지 않을까.


  도시에서 살다가 시골로 온 우리 식구는 그예 시골사람이다. 시골로 주소와 주민등록을 옮기고 ‘내 집’을 마련하면서 마을 어르신들 말씀을 듣는데, 또 앞으로 몇 차례 더 나가야 끝나는 민방위훈련을 나가며 이런저런 말을 듣는데, 막상 도시에서 살지만 주소와 주민등록은 시골로 둔 사람이 꽤 있다. 더욱이, 대학생으로 지내는 젊은이는 주소나 주민등록은 시골이라지만, 살아가기로는 도시에서 살아간다. 이래저래 따지면, 참말 시골에서 살아가는 ‘시골사람’은 매우 적다. 군대에 간 사내들 빼고, 부재자투표를 하는 사람은 모두 ‘시골을 떠나 도시에서 살아가지만, 인구통계에서는 시골사람 숫자로 잡히는’ 셈 아닌가.


  우리 마을 이웃집에 여름휴가로 찾아온 분들이 있다. 그 집 아들이 고흥사람으로 고흥에서 나고 자랐으나, 이제 서울에서 혼인하고 아이 둘을 낳아 살아간다. 올해에 경기도 의정부인가 집을 옮겨 지내신다고 들었는데, 이제 이분들은 시골사람 아닌 도시사람이다. 명절이나 휴가나 제사 때를 맞이해 시골로 찾아오지만, 말 그대로 ‘시골 나들이’를 할 뿐, 시골에서 일을 하거나 살지 않는다. 이 집 첫째 아이하고 우리 집 첫째 아이랑 동갑이라, 둘을 내 자전거수레에 함께 태우고 면소재지까지 한 바퀴 도는데, 수레에 앉아 둘이 조잘거리다가 이웃집 아이가 문득 읊는 ‘시골’이라는 낱말이 퍽 낯설다고 느낀다. 그래, 이 아이는 도시 아이야. 우리 아이는 시골 아이야.


  그런데 시골에서 살아가면서 군이나 읍이나 면이라 해서 모두 시골이 되지는 않는다고 느낀다. 군에서 읍내나 면내는 도시하고 똑같다. 읍내와 면내는 도시를 닮으려 한다. 읍내와 면내에서 일하는 분들은 도시에서 일하는 모습하고 똑같다. 곧, 시골로 치는 군·읍·면이라 하지만, 흙을 일구거나 고기를 잡는 시골마을에 깃들어 살아가지 않는다면 ‘시골사람’이라 할 수 없겠구나 싶다. 읍내 피자집이나 통닭집 아저씨와 아주머니는 시골사람인가? 면내 동사무소 아저씨와 면내 우체국 아줌마는 시골사람인가? 읍내 고등학교 교사는 시골사람인가? 면내 초등학교 교사는 시골사람인가?


  99.9퍼센트, 또는 99.99퍼센트는 도시나 ‘도시가 된 땅’에서 살아간달 수 있다. 도시나 ‘도시가 된 땅’에서 살아가는 사람은 ‘도시사람’, 곧 ‘시민’이라 할 수 있다.


  도시사람과 시골사람을 나란히 놓고서, 누가 좋거나 누가 아름답다거나 하며 가리거나 따질 수 없다. 다만, 오늘날 이 나라 목소리를 곰곰이 살피자면, 99.9퍼센트나 99.99퍼센트는 참말 ‘도시사람 목소리’일 뿐이라고 느낀다. 아니, 99.999퍼센트나 99.9999퍼센트는 온통 ‘도시사람 목소리’로 가득하다고까지 말할 수 있다.


  바야흐로 ‘시골’이라는 이름은 으레 등 굽은 할머니와 할아버지만 떠올리는 모습이 되고 보니, 우리 식구 같은 시골사람으로서는 ‘시골’이라는 낱말을 누군가 입에 올리면 귀가 참 간지럽다. 시골이 뭔데. (4345.7.17.불.ㅎㄲㅅㄱ)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