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책과 도서관 (도서관일기 2012.7.11.)
 ― 전라남도 고흥군 도화면 동백마을, ‘서재도서관 함께살기’

 


  사진잡지 《월간 사진》에서 연락이 왔다. 다음달에 창간 마흔여섯 돌이라 하면서, 특집기사를 낸다고 한다. 이 자리에서 ‘사진을 즐기다’라는 꼭지가 있어, 나한테도 몇 가지를 여쭌다고 한다. 사진책을 읽는 즐거움, 가장 좋아하는 사진책 하나, 사진책을 읽는 버릇, 사진책을 잘 갖춘 책방, 사진책이란 무엇인가, 하고 다섯 가지를 여쭌다. 어느 하나 쉬 말하기 어려운 물음이다. 모두들 퍽 길게 적을 만한 물음이다. 그러나 짤막하게 이야기를 들려주어야 하니까 여러모로 간추려서 적어 본다. 새벽에 바지런히 글을 쓰서 누리편지를 띄운다. 아침에 아이들과 서재도서관으로 간다. 잡지 기사에 사진을 함께 싣는다 하기에, 가장 좋아하는 사진책을 사진으로 찍어서 보내야 한다. 이렁저렁 도서관 청소를 하고 나서 책 사진을 찍는다. 책 사진을 찍는 김에 오랜만에 ‘사진책 자리’도 사진으로 찍는다. 이제 도서관 바닥에 자질구레한 것이 거의 없는 터라, 어디에서 어떻게 찍어도 퍽 그림이 된다고 느낀다. 책꽂이 벽에 붙인 사진도 좋은 그림이 된다. 사진이 그림이 된다.


  집으로 돌아와 누리편지를 다시 보낸다. 곰곰이 생각해 본다. 나는 내 책으로 서재도서관을 꾸린다. 2007년부터 오늘 이때까지 달삯을 꼬박꼬박 치르면서 ‘사진책 서재도서관’을 꾸린다. 벌이가 마땅하지 않으면서 달삯을 치르기란 벅찬 일이라 할 만하지만, 이곳 ‘사진책 서재도서관’이 씩씩하고 튼튼하게 이어가기를 바라는 사람들 따순 손길에 힘입어 오늘 하루도 즐겁게 지킬 수 있다. 나라에서나 지역정부에서나 내 서재도서관을 도운 적은 없다. 아마, 나라나 지역정부에서 생각이 있었으면, ‘국립 사진도서관’이나 ‘시립(또는 군립) 사진도서관’을 세우지 않았을까. 꼭 번듯한 건물로 세워야 할 ‘사진도서관’ 또는 ‘사진책도서관’은 아니다. 자그마한 골목집 하나를 알맞춤한 값으로 사들여서 예쁘게 꾸미면 된다. 나라에서도 지역정부에서도 이 같은 일을 안 하니까, 나는 내 힘으로 이 일을 한다. 사진과 사진책을 사랑하고 싶은 이라면, 전남 고흥이 퍽 먼 시골로 느낀다 하더라도 스스럼없이 찾아오리라. 책과 사진을 누리면서 좋은 숲과 시골과 자연을 나란히 누리리라.


  사람은 책만 볼 수 없다. 사람이 책을 보자면, 책이 태어나는 밑바탕이 되는 숲을 함께 보아야 한다. 숲을 느끼며 책을 볼 때에 비로소 삶도 사랑도 사람도 슬기롭게 깨달으리라 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