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천(抱天) 1막
유승진 지음 / 애니북스 / 2010년 9월
평점 :
품절



 즐겁게 누릴 삶을 생각한다
 [만화책 즐겨읽기 160] 유승진, 《포천 (1막)》

 


  둘째 아이가 깔개에 쉬를 눕니다. 아니 깔개에 올라서며 쉬를 눕니다. 방바닥이나 마룻바닥에 쉬를 누면 걸레로 훔치면 그만인데, 깔래나 이불에 올라서며 쉬를 누면 걸레질로 그치지 않습니다. 빨래거리 큼직하게 나옵니다.


  깔개를 밟고서는 쉬를 누었으니 깔개가 옴팡 오줌으로 축축합니다. 깔개잇을 이레에 한 차례쯤 빨래했으나 이제 솜까지 빨아야 할 판입니다. 솜이불도 한 해에 한 차례쯤 솜까지 물에 폭삭 담가 빨고는 좋은 볕에 보송보송 말리기도 하니까, 솜깔개 속도 가끔은 물에 폭삭 담가 빨아야겠다고 생각합니다. 둘째 아이가 여기에 쉬를 누면서 ‘자, 이제 솜도 빨래할 때가 되었다구요.’ 하고 말을 건넨 셈이라 여기기로 합니다.

  그런데, 아이가 깔개에 쉬를 한 때는 저녁 일곱 시 즈음. 빨래를 시키려면 일찌감치 시켜서 모처럼 해가 난 낮나절에 빨래해서 잘 마르도록 하면 좋았을 텐데, 해 기울고 빗방울 조금씩 듣는 이 저녁에 쉬를 해야 하나 싶습니다. 그렇다고 빨래를 미룰 수 없고, 언제 비가 들고 언제 비가 그칠지 모르는 만큼, 어쨌든 빨고 보자고 생각합니다.


- “엿점이 엿 된 거지, 뭘 더 가르쳐 주랴?” (46쪽)
- “내 보기엔 자네, 장국 생각한 것 같은데?” “관상으로 그런 것도 점치시오?” “배고픔은 얼굴에서 나오는 게 아니라 눈빛에서 비춰지는 거지. 즉, 안상이라고 하네만.” (68쪽)

 

 


  깔개솜을 빨래하니 노란 물이 짙게 나옵니다. 나무숯물을 뿌려 담근 다음 빨래하는데, 이 빛깔은 어떻게 나오는가 궁금합니다. 솜빛이 이러한 빛일는지, 그동안 솜에 밴 오줌이 찬찬히 배어나오는지 알쏭달쏭합니다. 어쨌든 신나게 꾹꾹 누르고 비비며 빨래를 마칩니다. 웬만큼 물기를 뺀다 싶도록 짜고는 바깥에 넙니다. 식구들 잠들 무렵 빗방울이 굵어지나 싶어 처마 밑으로 옮깁니다. 새벽나절 첫째 아이 오줌을 누이러 함께 마당으로 내려서며 밤하늘을 살피니 비구름은 걷히고 흰구름만 있기에 깔개솜을 다시 마당으로 내놓습니다. 설마 싶어 깔개솜 모서리를 비틀어 짜니 물이 후두둑 떨어집니다. 하기는, 이불을 빨아서 널 때에도 얼마쯤 지나면 물이 아래쪽으로 쏠려 꽉 비틀면 물이 후두둑 떨어져요. 깔개솜도 이불 빨래하고 비슷하겠지요.


  아이는 잠자리에 들고 나는 잠자리에 들지 않습니다. 나는 새 하루가 빗방울 안 들으면서 해도 살짝 고개를 내밀어 주기를 바라면서 생각에 잠깁니다. 내 몸과 마음과 꿈이 서로 어떻게 얽히는가 하고 생각합니다. 내가 옆지기와 아이한테 보여주는 낯빛과 들려주는 말결이 얼마나 사랑스러운가 하고 생각합니다. 내가 다스리는 내 몸은 얼마나 나를 잘 따르는가 헤아리고, 내 참된 마음은 어떤 길을 걸어가고 싶어하는가를 헤아립니다. 내 몸이 바보스레 나아가려 하는 모습은 어느 때 드러나고, 내 몸이 내 가장 좋은 마음을 따라 슬기롭게 움직이려 하는 모습은 어느 때 나타나는가를 헤아립니다.


  내 몸이 아프다 할 적에도 내 마음이 나란히 아픈지 곰곰이 돌이킵니다. 내 몸에서 아픔이 가시고 이제 튼튼해졌다 할 적에 내 마음 또한 아픔이 없이 말끔하거나 씩씩하다 할 만한지 돌아봅니다.


- “언짢게 듣지 말게나. 자네에겐 호랑이 사냥이지만 여기 사람들에겐 호랑이로부터의 생존이라네.” (67쪽)
- “내 언제 잘잘못 따지자 했소?” (70쪽)

 

 


  학교에서 교사는 학생을 시험성적으로 잽니다. 또는 학생을 낳은 어버이가 품은 돈크기로 살핍니다. 또는 학생들 얼굴 모양이나 몸 맵시로 헤아립니다. 학교에서 교사가 학생을 마음으로 읽으면서 생각으로 돌아보는 일은 거의 없습니다. 교사가 학생을 사랑으로 보듬으며 꿈으로 어깨동무하는 일은 더더구나 없습니다. 학교에서는 교사도 학생도 모두 노예가 되는 길을 가고야 맙니다. 그러면, 나는 내 보금자리를 얼마나 좋은 삶터로 일구면서 노예 아닌 사람 되는 길을 걷는가 하고 생각합니다. 나한테 깃든 사람다움은 무엇이고, 내가 나눌 사람빛이란 무엇일까 하고 생각합니다.


  제도권을 비판하거나 입시지옥을 따지는 일이란 부질없어요. 일제고사를 나무라거나 교과서 치우친 지식을 꾸짖는 일이란 덧없어요. 이것을 따지거나 저것을 나무라기 앞서, 내가 사랑하는 길을 살필 노릇입니다. 내가 꾸는 꿈을 찾을 노릇입니다. 마음을 쓰는 대로 삶을 이루고, 생각을 빛내는 대로 사랑이 태어나는 줄 안다면, 내 보금자리부터 내 가장 좋은 마음과 내 가장 슬기로운 생각이 얼크러지도록 살아갈 노릇이에요. 삶은 스스로 짓지, 운명은 따로 없거든요. 삶은 스스로 이루지, 이렇게 되거나 저렇게 되란 법은 없거든요.


  손금을 들여다보면 이이가 앞으로 어떻게 살아가려 하는가 하는 그림이 훤히 나와요. 참말 다 나와요. 이를테면, 학교에서 아이들 시험성적을 놓고 어느 대학교에 들어갈 만한지 따지잖아요. 이런 숫자와 통계는 거의 들어맞아요. 이 모습 이대로 간다면 꼭 이렇게 될밖에 없어요.


  다만, 손금은 언제나 바뀌어요. 하루에도 몇 차례씩 바뀌곤 해요. 왜냐하면, 삶은 스스로 짓기 때문에, 늘 스스로 짓는 삶이라 할 때에는 ‘앞날이 새 모습이 되도’록 스스로 새 길을 걸어가요. 그러니까, 날마다 새롭게 거듭나는 삶이라 한다면, 손금을 보는 일이란 아무것 아니에요. 어차피 내 앞날은 나 스스로 오늘 살아가는 결에 따라 바뀌거든요. 내가 사랑을 품으며 살아가면 내 앞날은 온통 사랑누리예요. 내가 돈벌 생각이나 이름 날릴 생각을 품으며 살아가면 내 앞날은 오직 돈이나 이름값하고 얼크러지겠지요. 내가 좋은 보금자리에서 좋은 빛을 나누려는 넋이라 할 때에는 살림새나 살림살이를 모두 좋은 길이 되게끔 추스르면서 환하게 빛나겠지요.


- “아둔패기들 같으니라고. ‘만에 하나 살아 있다면’이라고 말하지 않던가. 여기 있는 사람들 그때까지 살아 있지 않다는 말일세. 앞날 점쳐 달라 아등바등 하더니, 살 날이 스무 해도 안 된다고 일러 주자 굳어지는 그 표정들 재미있네그려.” (98쪽)
- “그렇지만 절터에 불을 지르고 스님을 쫓아내다니…….” “이보오, 순진한 양반! 그 자리에서 임금이 나온다고 하는데 무슨 짓인들 못하겠습니까?” (244쪽)

 

 


  유승진 님 만화책 《포천》(애니북스,2010) 1막(첫째 권)을 읽습니다. 한겨레 옛 역사에서 어느 한 사람 이야기를 다루는구나 싶기도 한 만화책입니다. 역사만화라 할 수 있을 테고, 사주나 길흉화복이나 이런저런 점풀이를 다루는 만화라 할 수 있을 테지요. 어떻든 《포천》은 만화책입니다. 사람들이 저마다 아기자기하게 얼크러지며 살아가는 이야기를 다루는 만화책입니다.


  이 만화책이 역사에서 어느 한 대목을 땄든 빌었든 대수롭지 않습니다. 이런저런 역사책에 기대어 참과 거짓을 밝혔든 꾸몄든 대수롭지 않습니다. 어제를 돌아보고 오늘을 살피면서 앞날을 꿈꾸는 이야기를 담았느냐 안 담았느냐 하는 대목이 대수롭습니다. 곧, 사람들 스스로 ‘삶짓기’로 나아가는 사랑과 슬기를 보여줄 수 있느냐 없느냐 하는 대목이 대수롭습니다.


- “스승님, 안 보입니다.” “뭐가 안 보이느냐?” “앞이 안 보입니다.” “앞만 안 보인다니 다행이구나. 얘야, 눈 좀 붙이거라.”  (178쪽)


  집식구와 함께 즐길 밥 한 그릇 차리는 한때가 좋습니다. 나는 그만 한 끼니 차리는 한때가 좋은 나머지, 서너 시간 들여 한 끼니를 차리고는 삼십 분 즈음 밥을 먹고 삼십 분 즈음 설거지를 하며 치우고 나서는 한숨을 돌린다고 기지개를 켜다가 그만 꾸벅꾸벅 졸다가 곯아떨어지곤 합니다. 아이들이 웃을 때에 좋고, 옆지기가 웃을 때에 좋습니다. 그러니까, 나부터 스스로 활짝 웃으며 식구들한테 말을 걸고 이야기꽃을 피울 때에 우리 집이 가장 사랑스러운 빛을 띠겠지요. 아이들이 노래할 때에 좋고, 옆지기가 노래할 때에 좋습니다. 곧, 나부터 스스로 가장 맑은 목소리로 가다듬고는 노래를 예쁘게 부를 때에 참말 우리 집에 가장 좋은 빛이 자라겠지요.


  밭에서 풀을 뽑아도 즐겁습니다. 우리가 심은 씨앗이 자라는 모습을 지켜보아도 즐겁습니다. 온 마을 멧새와 들새가 우리 집 마당가 후박나무 열매를 따먹으러 날마다 찾아와도 즐겁습니다.


  참말, 즐겁게 누릴 삶을 생각합니다. 즐겁게 나눌 삶을 생각합니다. 이것을 벌거나 저것을 얻어서 누리려는 삶이 아니라, 오늘 즐겁게 누리면서 나누는 삶을 생각합니다. 연뿌리를 먹어도 즐겁고, 오이를 먹어도 즐겁습니다. 콩나물국도 아욱국도 감자국도 즐겁습니다. 그래요, 오늘 아침에는 미역국을 끓여 볼까.


  그저 좋습니다. 즐겁게 누릴 삶을 생각하면, 오늘 내가 무엇을 하며 하루를 보낼 수 있나 하고 하나하나 그림을 그릴 수 있어 좋습니다. (4345.7.3.불.ㅎㄲㅅㄱ)

 


― 포천 1막 (유승진 글·그림,애니북스 펴냄,2010.10.8./11000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