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라딘서재이든 일기장이든, 글을 쓰는 분들이 '글이 무엇'이고 '말이 어떠한'가를 찬찬히 헤아리는 길에 살짝 도움글이 될 수 있기를 바랍니다. 말을 알맞게 '바로잡'거나 '고쳐써'야 한다는 소리가 아니라, '생각하며 말하고 글쓸' 때에 비로소 내 넋과 얼이 살아날 수 있다는 이야기입니다. 2011년 1월 1일에 쓴 글인데, 여러 곳을 크게 손질해서 비로소 이곳에 걸칩니다. '새로운 우리 말글 이야기책'에 실을 원고를 추리면서 나 스스로 새삼스럽다고 느낍니다.

 

..


 ‘합니다’와 ‘하고 있습니다’

 


  다시금 새해를 맞이합니다. 새롭게 맞이한 해인 만큼 나이는 한 살 더 먹습니다. 내 나이는 서른이 되었다가 서른다섯이 되고 마흔을 지나 쉰과 예순을 거칠 테지요. 일흔이나 여든 아흔이나 백까지 될 수 있으리라 생각해요. 앞으로 몇 살까지 나이를 먹을 수 있을까 모르지만, 오늘 내 나이는 대단한 숫자가 아니요, 그리 많은 숫자 또한 아닙니다. 언제나 내 나이답게 살아가면서 내 나이에 걸맞게 생각하고 말을 하거나 글을 써야 올바르리라 생각합니다.


  새해 첫날, 내 글투는 어떠한가 하고 새삼스레 곱씹어 봅니다. 지난날 내 글투가 어떠했는가 가만히 헤아립니다. 1998년에 한글학회에서 주는 ‘한글공로상’을 참 어린 나이에 받기는 했으나, 이때에는 신나게 팔뚝질을 하듯이 운동을 했을 뿐, 참다이 말사랑이나 글사랑으로 나아가지 못했습니다. 아무래도 사회가 사회이다 보니 팔뚝질 아니고서는 사람들이 귀나 눈을 열지 않기도 했다지만, 차분하게 말사랑 글사랑을 펼치지 못했어요. 이무렵 쓴 글을 돌아보면 ‘것’을 얼마나 자주 썼는지 모릅니다. “그러한 것도 그저 지나간 일이 되고 마는 것인지” 같은 글을 곧잘 썼어요. 이제는 이렇게 글을 쓰지 않고 말도 이렇게 하지 않습니다. 이제는 “이 또한 그저 지나간 일이 되고 마는지”처럼 글을 쓰고 말을 합니다. 아니면 “이마저 한낱 지나간 일로 삼고 마는지”처럼 글을 쓰거나 말을 해요.


  1998년에 쓴 글을 되짚으니 “먼저 풀어야 한다. 더불어, ……” 같은 글투도 보입니다. 이 대목도 엉터리입니다. ‘더불어’를 글 맨앞에 외따로 쓸 수 없어요. “이와 더불어”처럼 적어야 올바릅니다.


  2007년부터 2009년 첫머리 사이에는 ‘자기(自己)’와 ‘자신(自身)’이라는 낱말을 어떻게 다루어야 하는가를 놓고 오래도록 머리앓이를 했습니다. 이러한 낱말은 한자말 아닌 우리 말로 삼아서 그대로 써야 하지 않겠느냐 여겼습니다. 그런데 이 낱말을 쓰고 다시 쓰다 보니 어쩐지 나 스스로 초라하지 않느냐 싶더군요. 고작 이런 낱말조차 예부터 곱게 쓰던 말투를 살피어 새로운 오늘날에 알맞게 담아내지 못한다면 말사랑 글사랑이란 덧없지 않느냐 싶어요. 예전에 쓴 내 글을 가만히 되읽습니다. ‘자신’이나 ‘자기’라는 낱말이 어느 자리에 어떻게 깃드는가 하고 곰곰이 돌아봅니다.

 

 자신은 착한 일인 줄 알고 했어도
→ 나는 착한 일인 줄 알고 했어도
→ 나로서는 착한 일인 줄 알고 했어도
→ 당신은 착한 일인 줄 알고 했어도
→ 그때에는 착한 일인 줄 알고 했어도
 …

 

  적잖은 사람들은 ‘자신’과 ‘자기’뿐 아니라 다른 낱말을 옳게 다듬거나 풀지 못합니다. 왜냐하면 말과 말은 1:1로 맞추어 고치거나 다듬을 수 없는데, 이 낱말이 이런 자리에 쓰이든 저런 자리에 쓰이든 1:1로만 생각해 버릇하거든요. ‘자신’ 한 가지를 다듬을 때에도 이와 마찬가지예요. 맨 처음으로는 ‘나’로 다듬습니다. 글흐름을 살피다 보면 ‘나로서는’처럼 ‘-로서’를 사이에 넣을 때에 한결 부드럽기도 하고, ‘당신’이나 ‘이녁’이나 ‘그 사람’을 넣어야 알맞기도 합니다. 때로는 ‘그때에는’이나 ‘그무렵에는’을 넣어 봅니다. 그야말로 때와 곳에 따라 다듬을 말투가 다릅니다.

 

 이름을 소중히 여기고
→ 이름을 소담스레 여기고
→ 이름을 대수로이 여기고
→ 이름을 알뜰히 여기고
→ 이름을 아름다이 여기고
→ 이름을 고맙게 여기고
→ 이름을 보배로이 여기고
 …

 

  ‘소중(所重)’이라는 한자말을 놓고도 퍽 오래도록 골머리를 앓았습니다. 이만 한 한자말 또한 구태여 한자말로 갈라야 한다면 사람들이 ‘우리 말 운동이라더니 아주 막 나가는군’ 하고 여길까 싶었습니다.


  나는 퍽 여러 해 앞서부터 ‘소중’이라는 낱말은 되도록 안 쓰지만, 너덧 해쯤 앞서까지는 이 한자말을 그대로 쓰곤 했습니다. 다만, 이제는 이 낱말을 아예 안 써요. 굳이 이 낱말까지 쓰면서 내 마음을 나타내야 하지 않아요. 나는 내 마음을 나타낼 좋은 낱말을 알아요. 나는 내 마음을 한결 사랑스레 빛낼 낱말을 스스로 찾고 살펴요.


  처음에는 ‘소담스럽다’라는 낱말을 써 봅니다. 국어사전에 실린 ‘소담스럽다’는 두 가지 뜻풀이가 달립니다. 첫째는 “생김새가 탐스러운 데가 있다”이고 둘째는 “음식이 풍족하여 먹음직한 데가 있다”입니다. 왜 이 낱말 ‘소담스럽다’를 ‘소중하다’와 맞추었느냐 하면, 어느 날 ‘탐(貪)스럽다’라는 외마디 한자말 뜻풀이를 헤아리니, “마음이 몹시 끌리도록 보기에 소담스러운 데가 있다”로 나오더군요. 이 말풀이에 나오는 ‘소담스러운’이라는 낱말이 눈에 확 들어왔고, “소담스럽게 쌓인 눈”이라는 보기글을 곰곰이 생각하니까, “소담스럽다 : 마음이 몹시 끌리도록 좋다”라는 느낌으로 쓸 만한 낱말이로구나 싶었어요.


  “소중하다 = 매우 귀중하다”입니다. “귀중하다 = 귀하고 중요하다”입니다. “귀하다 = 아주 보배롭고 소중하다”입니다. “중요하다 = 귀중하고 요긴함”입니다.


  여느 사람들은 ‘소중하다’가 무슨 뜻이요 어떤 쓰임인지 제대로 모릅니다. 그냥저냥 쓰는 낱말입니다. ‘보배롭다’가 토박이말인 줄 모르는 사람이 아주 많아요. 아니, 생각조차 않겠지요. 그래, ‘보배로이’는 ‘소중하게’하고 거의 똑같은 낱말이에요. 이 낱말을 쓰면 ‘소중하게’는 퍽 말끔히 털어낼 만합니다.


  다만, 모든 자리에 ‘보배로이’를 쓰기는 어렵습니다. 어느 때에는 ‘보배로이’를 쓰고, 어느 자리에는 ‘소담스레’를 씁니다. 국어사전은 예나 이제나 ‘소담스럽다’ 말풀이를 두 가지로 못박지만, 얼마든지 세 가지 네 가지 말풀이와 쓰임새가 늘어날 만합니다. 우리 스스로 다섯 가지 여섯 가지 말풀이와 쓰임새를 북돋우면 됩니다.


  오늘을 살아가는 한 사람으로서 ‘소담스럽다’ 같은 낱말을 더욱 아끼고 사랑해야 한다고 느껴요. 덧붙여, ‘알뜰히’나 ‘살뜰히’나 ‘알뜰살뜰히’를 쓰면서 ‘소중히’를 털 수 있고, ‘아름다이’나 ‘고이’를 쓰면서 말삶을 북돋울 수 있어요. 여기에 ‘대수로이’를 쓰면 거의 모든 자리에서 깔끔하게 다듬을 수 있습니다.

 

 펼쳐 보이고 있으니까요 (x)
 펼쳐 보이니까요 (o)

 

  지난 2010년 여름께부터는 ‘있다’라는 말투를 되짚습니다. “하고 있다” 꼴로 쓰는 ‘있다’를 톺아봅니다.


  “보이고 있으니까요”처럼 적는다 해서 이 말투를 못 알아듣는 사람은 없습니다. 아니, 거의 모두라 할 만한 이 나라 사람들 누구나 이렇게 말을 하거나 글을 씁니다.


  그런데 어느 때부터인가 이 말투가 영 낯설다고 느낍니다. 무엇보다 학교교육이라든지 책이나 방송하고 동떨어진 채 살아오던 사람들 ‘말을 담은 글’을 읽으면서 이런 말투를 하나도 찾아보지 못했어요.

 

 바깥말 자리에만 머물고 있습니다 (x)
 바깥말 자리에만 머뭅니다 (o)

 

  제가 쓴 예전 글을 다시금 읽으며 “하고 있다”나 “-고 있다” 꼴 말투를 살펴봅니다. 모르는 노릇이지만, 우리 말법을 영어 말법에 끼워맞추면서 이런 말투가 자꾸 퍼지지 않느냐 싶습니다. 사람들이 영어를 널리 배우거나 가르치면서 이런 말투를 스스럼없이 쓰는구나 싶습니다.


  우리 말글을 조금 배운 사람은 알 텐데, 우리 말에는 ‘지난날 때매김’이 없습니다. ‘현재진행형’ 또한 없습니다. 영어이든 다른 서양말이든 때매김이 똑부러지게 나뉘고, 현재진행형 말투가 참 잦아요. 서양책을 한국말로 옮기며 현재진행형 말투인 “하고 있다”와 “-고 있다”가 저절로 튀어나옵니다.


  그리고, ‘현재진행형’을 일본사람이 ‘中’이라는 한자를 써서 풀어내는 모양새를 한국사람이 곧이곧대로 받아들이면서 “하고 있다”와 “-고 있다”가 자꾸 퍼지는구나 싶습니다. “무엇무엇 하는 中이다”를 “무엇무엇 하는 중이다”라 옮긴다 해서 번역이 되지 않아요. 이를 “무엇무엇 하고 있다”로 손질해도 번역이 될 수 없어요. “무엇무엇을 한다”로 가다듬을 때에 비로소 번역이라 할 만합니다.

 

 토박이말로 짓는 중이라면 (x)
 토박이말로 짓고 있다면 (x)
 토박이말로 짓는다면 (o)

 

  어찌 보면, 이제는 우리 말글에도 ‘지난날 때매김’을 넣거나 ‘현재진행형’을 달아도 된다고 할 수 있습니다. 굳이 예스러운 말투로 말해야 할 까닭이 없다 여길 수 있어요.


  다른 한편으로 보면, 우리는 이웃과 동무와 살붙이하고 우리 말글을 나누는 사람입니다. 우리는 내 넋과 얼을 보듬으면서 말을 하거나 글을 쓰면 넉넉합니다. 괜시리 서양 말법처럼 우리 말법을 다루어야 하지 않아요. 한국사람은 한국땅에서 한글로 글을 쓰면 되고, 일본사람은 일본땅에서 가나로 글을 적으면 돼요. 서양사람은 로마자라 하는 알파벳을 쓰면 되겠지요.


  셈틀을 쓰며 인터넷으로 국어사전을 살필 때에는 국립국어원에 들어갑니다.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창을 보면 “표준국어대사전에 대한 다양한 여러분의 의견을 기다립니다. 답변은 드리지 않습니다.” 하고 적힙니다. 말글을 다루는 공공기관이자 정부부터 글을 이렇게 써요. “표준국어대사전에 대한 다양한 의견”이란 무엇이려나요. 무슨 이야기를 들려주려는 말투이고, 이런 글은 어느 나라 글이라 할 만한가요. “표준국어대사전이 어떠한지 여러분 생각을 들려주셔요. 따로 답변하지는 않습니다.”처럼 적어야 할 글이 아닌지요. 그나저나 답변도 안 해 주면서 표준국어대사전이 어떠한가 하고 알려 달라고 적은 모양새가 쓸쓸해 보입니다. 이러쿵저러쿵 말이 있으면 대꾸를 해야 할 텐데, 귀는 있되 입이 없으면 어떡하나요. (4344.1.1.흙./4345.6.29.쇠.ㅎㄲㅅㄱ)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