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출처 : 글샘님의 "외래어와 외국어는 구별되어 쓰일 수 있나?"

'텍스트'가 언제부터 전문용어였을까를 헤아려 보면,

이 말을 '번역'하지 못하는 한국은 '전문가'가 없다고

스스로 밝히는 셈이 될 테지요.

 

이렇게 보면,

아마 '글'을 세계 어느 나라 사람도 '번역'할 수 없어요.

왜냐하면 '글'은 '글'만 가리키지 않으니까요.

 

국어사전에는 '글' 뜻풀이로 세 가지만 실리지만,

'현실에서 실제'로 사람들이 쓰는 '글'은

국어사전 뜻풀이 세 가지로 끝나지 않고 아주 넓거든요.

 

"편협된 사고"란 스스로 좁게 생각하기에 좁을 뿐이지,

'쓰는 낱말 숫자와 갈래' 때문에 좁아질 수 없습니다.

 

5살 어린이가 쓰는 낱말이

7살 어린이보다 적다 해서

5살 어린이는 편협하지 않습니다.

 

10살 어린이가 쓰는 낱말이

12살 어린이보다 적다 해서

10살 어린이는 편협하지 않습니다.

 

지식인이나 학자가 쓰는 낱말이

농부나 노동자보다 많다 해서

농민이나 노동자가 편협하지 않습니다.

 

..

 

나는 사람들이 내 책을 '읽어' 준대서 반갑지 않다.

내 책을 '읽으'면서 스스로 '삶을 사랑할 길을 찾'아야 반갑다.

내 책을 한낱 지식이나 정보로 삼는다면

아무것도 배우지도 느끼지도 얻지도 못한다.

 

<뿌리깊은 글쓰기>라고 하는 책은

"우리 말로 끌어안는 영어를 사랑스레 생각하기"가 '주제'이고 '줄거리'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