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쓰기’와 ‘국어순화’
[말사랑·글꽃·삶빛 18] 삶과 말을 살리는 길

 


  한국사람한테는 ‘한국말’이 있고, ‘한국글’이 있습니다. 지구별에서 제 나라만 남달리 쓰는 말과 글이 따로따로 있는 나라는 퍽 드문데, 한국사람은 ‘나라말’과 ‘나라글’이 남달리 있는 몇 안 되는 나라입니다. 그런데, 이 땅 한국에서 살아가는 사람은 지구별에서 그리 안 많다 할 만합니다. 어느 모로 본다면, 군대힘이나 경제힘이나 문화힘 또한 작다 할 만합니다. 한국말이나 한국글을 가르치는 대학교가 있는 나라는 매우 드뭅니다. 지구별 숱한 나라들 가운데 ‘두 번째 외국말’로 한국말을 가르치려 하는 나라는 딱히 없습니다. 한국이라는 나라에 한국말이 따로 있을 뿐 아니라, 한국글까지 따로 있는 줄 모르는 지구별 사람 또한 무척 많다 할 만합니다. 한국이라는 나라는 지구별에서 차지하는 땅뙈기 넓이나 사람 숫자가 참 작지만, 스스로 남달리 살림을 꾸리고 삶터를 가꿉니다. 한국땅 사람들은 스스로 문화를 빚고 사회를 이룹니다.


  한국과 이웃한 여러 나라에서 한국을 식민지로 삼으려 했습니다. 한국을 다스렸다 하던 임금님이나 나라님은 이웃나라 군대힘과 무역힘에 주눅이 들어 이웃나라 말글을 받아들이곤 했습니다. 임금님이나 나라님, 또 임금님이나 나라님을 모시는 심부름꾼은 으레 이웃나라 말글로 정치와 사회와 경제와 문화와 무역을 펼쳤습니다. 더구나, 한국땅에서 지식인이라 할 사람들마저 한국땅에서 여느 한국사람이 주고받는 말글이 아니라 ‘한국과 이웃한 힘이 세고 커다란 나라’에서 쓰는 말글을 썼어요.


  재미있다고 해야 할는지 슬프다고 해야 할는지 모르겠습니다만, 한국이 이웃 커다란 나라 군대에 짓밟히면서 임금님이 머리를 숙이고 나라님이 무릎을 꿇었다 하지만, 그래서 한국말을 잃고 일본말을 써야 하던 때가 서른여섯 해라고 하지만, 정치권력하고 동떨어진 한국땅 여느 사람들은 먼먼 옛날부터 쓰던 ‘여느 한국말’을 그대로 썼습니다. 어버이한테서 물려받은 말을 아이들한테 물려주었습니다. 아이들은 어버이한테서 물려받은 말을 즐겁게 썼습니다. 학교를 다니지 않아도 한국말을 합니다. 학교에서 일본말을 가르쳐도 집에서 한국말을 씁니다. 임금님이나 권력 언저리 사람들이나 지식인들 모두 중국말과 일본말과 미국말(또는 영국말)을 쓰더라도, 땅을 일구던 여느 사람들은 먼먼 옛날부터 고이 흐르던 한국말을 알뜰살뜰 살찌우고 꽃피웠어요. 조선 오백 해와 일제강점기 서른여섯 해가 있었어도 한국말이 살아남을 수 있던 까닭은 바로, 시골에서 흙을 일구며 고기를 낚고 나물을 캐던 여느 사람들이 입에서 입으로 이녁 삶말을 아이들한테 물려주었기 때문이에요.


  일본제국주의가 한국을 짓밟던 무렵, 뜻있고 생각있는 지식인이 밤배움터를 열어 ‘한글 가르치기’를 했습니다. 그러나, 지식인은 ‘한글 가르치기’는 할 수 있었는지 모르나 ‘(한국)말 가르치기’는 하지 못합니다. 외려, 지식인들은 당신이 글을 가르치던 여느 흙일꾼한테서 ‘말을 배우’곤 합니다. 흙을 일구면서 쓰는 말, 일을 하면서 쓰는 말, 베틀을 밟고 실을 자으면서 쓰는 말, 고기를 낚고 그물을 손질하며 쓰는 말, 나무를 베고, 들풀과 멧나물을 뜯거나 꺾거나 캐거나 따면서 쓰는 말, 밥을 하고 빨래를 하며 쓰는 말, …… 이 땅 여느 사람들이 ‘몸으로 살아내며 오래오래 사랑스레 쓰던 말’은 어느 누구도, 곧 어떠한 지식인도 가르치지 못했어요. 이러한 말, 이를테면 ‘삶말’은 ‘글을 모르던 흙일꾼(여느 사람)’이 ‘글을 아는 지식인’한테 가르쳐 줍니다. 이러한 얼거리는 옛날이나 오늘날이나 마찬가지입니다.


  참말, 시골 흙일꾼은 글을 모르기 일쑤입니다. 요즈막에도 공장 노동자 가운데 글을 잘 모르는 사람이 더러 있습니다. 그러나 누구라도 말을 합니다. 누구라도 ‘한국말’을 합니다.


  글이란 말을 담는 그릇입니다. 말이 없을 때에는 글이 없습니다. 말이 있기에 글이 있습니다. 지난날 조선 때, 여러 지식인이 ‘언문일치’라 하는 이야기를 읊곤 했습니다. 다만, 조선 때 지식인이라 해 보았자 ‘한국글’을 쓰던 사람이 아니라 ‘중국글’을 쓰던 사람인 탓에 ‘말글 하나되기’ 또는 ‘말글하나’처럼 이야기를 읊지 못했어요. 한자로 ‘言文一致’라 적었고, 이제 이 한자를 소리만 따서 ‘언문일치’라 이야기할 뿐입니다. 돌이키면, 지난날 지식인이나 권력자 또한 중국글을 쓰면서도 ‘중국사람 여느 말’하고 하나가 되지 못했다든지, ‘중국 옛 문학쟁이 아무개나 철학쟁이 아무개 말’하고 하나가 되지 못했다는 셈이에요. 중국글을 쓰고 중국말을 하던 지식인과 권력자 모두 ‘옳거나 바르거나 알맞게 글을 쓰지 못하던 나날’이었다는 뜻입니다.


  뜻은 같다 하더라도 말을 어렵게 하거나 글을 어렵게 쓰면 못 알아듣는 사람이 있습니다. 뜻은 어렴풋이 짚을 수 있다지만 환하게 헤아리기 어렵게 말을 하거나 글을 쓰면, 듣거나 읽는 사람은 고달픕니다. 때로는 잘못 알아듣거나 아예 못 알아듣곤 합니다. 이리하여, 말과 글이 하나가 되게끔 힘을 쓰고, 될 수 있는 대로 쉽게 말을 하거나 글을 쓸 때에 좋거나 아름답거나 알맞다고 이야기합니다. 같은 이야기를 굳이 어려운 말이나 까다로운 글로 밝혀야 하지 않아요.


  어린이 앞에서 어려운 말로 겉멋 잡을 까닭이 없어요. 할머니와 할아버지 앞에서 ‘글 자랑’을 하거나 동무 앞에서 잘난 척할 까닭이 없어요. 학문을 하거나 철학을 하거나 경제를 하거나 정치를 하거나 늘 같아요. 우리는 누구한테나 가장 쉽고 빠르며 알맞게 이야기를 주고받을 만한 말이랑 글을 찾아야 즐겁습니다.


  ‘바로쓰기’란, 틀리게 쓴 말을 바로잡는 일이 될 수 있지만, 무엇보다 서로서로 가장 쉽고 빠르며 알맞게 이야기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하자는 일입니다. 이러면서 어린이부터 할머니 할아버지까지 누구하고나 허물없이 사랑을 담아 말과 글로 이야기꽃 피우자는 일입니다. 한자로 적으면 ‘國語醇化’가 되고, 소리를 적으면 ‘국어순화’인데, 이 같은 이름은 그리 걸맞지 않습니다. 왜냐하면, ‘국어’라는 낱말부터, 지난 일제강점기에 일본제국주의자가 ‘일본말’을 ‘국어’라고 해서 억지로 가르칠 때에 붙인 이름이에요. 예부터 한국사람은 한국사람 말이나 글을 ‘국어’라 가리키지 않았어요. ‘언문(諺文)’이라고도 했다지만, 또 ‘훈민정음(訓民正音)’이라는 이름도 있었다지만, 이 땅 사람들 모두 즐거우며 사랑스럽게 나눌 만한 이름은 따로 없었어요. 아니, 이 땅 여느 사람들은 그저 ‘말’이라고만 했겠지요. 권력이나 지식을 쥔 이들이 쓰는 글은 그저 ‘글’이라고만 했을 테고요. 나중에 주시경이라는 분이 생각을 열어 ‘한글’이라는 이름을 비로소 빚었어요. 이 땅에서 살아온 사람들이 더욱 사랑하고 아끼면서 빛내기를 바라면서, ‘말’을 ‘글’로 담을 때에 ‘한글’에 담자고 생각했어요. 그러니까, 글은 ‘한글’이라면 말은 ‘한말’이에요. 이와 같은 흐름이기에, 겨레는 ‘한겨레’이고, 나라는 ‘한나라’입니다. ‘한’은 바로 이 땅에서 살아온 겨레나 나라를 일컫는 이름이에요. 한자로 적는 ‘韓’은 소리만 같을 뿐, 한글이나 한겨레에서 가리키는 ‘한’을 뜻하지 못해요. 오직 한글로만 적는 ‘한’은 “하늘, 하나, 크다, 넓다, 어깨동무, 함께” 들을 뜻해요. ‘한’은 ‘하느님’으로도 이어져요. 먼먼 옛조선 때에 ‘홍익인간(弘益人間)’이라 했다는데, 이 이름은 뒷날 지식인이 한자로 옮겨적은 이름일 뿐, 깊은 속을 가만히 들여다보면, ‘한겨레’는 스스로 ‘한사람’이었어요. “하늘사람”이기에 ‘한사람’이고, “큰사람”이기에 ‘한사람’이며, “서로 함께 아끼며 어깨동무하는 사람”이기에 ‘한사람’입니다.


  ‘한겨레’나 ‘한나라’는 이 땅에서 살아온 사람들을 일컫는 이름이나, 이 이름은 어떤 좁은 울타리를 쌓는 ‘민족주의’하고 동떨어집니다. 필리핀에서 왔든 연길에서 왔든 베트남에서 왔든, 이 땅에서 스스로 즐겁게 살아가며 뿌리를 내리면 모두 ‘한겨레’이고 ‘한나라’이며 ‘한사람’이에요. 아주 스스럼없이 ‘한글’로 글을 쓰고 ‘한말’로 말을 합니다.


  곧, 우리들이 늘 쓰는 말과 글을 ‘바로쓰기’ 한다 할 때에는, 맞춤법이나 띄어쓰기를 올바로 맞춘다는 좁은 뜻이 아닙니다. 애먼 중국 한자말이나 덧없는 일본 한자말이나 자랑질 같은 영어를 털면서 ‘더 깨끗한 토박이말’을 쓰자는 좁은 뜻 또한 아니에요. 스스로 내 삶을 밝히면서 아낄 말을 찾아서 ‘삶을 바르게 일군다’는 뜻입니다. 스스로 내 넋을 북돋우면서 일으킬 글을 헤아리면서 ‘넋을 바르게 가꾼다’는 뜻입니다.


  한자로 적는 ‘국어순화’는 한국말로 옮기면 ‘글다듬기’입니다. 글을 다듬는 일이란, 누구나 읽기 어렵게 썼거나 어딘가 글흐름이 알맞지 않거나 조금 더 생각을 기울여 쓰지 못한 글이기에 ‘다듬는’ 일이에요. ‘부드럽게 다듬는다’기에 국어순화예요. 그런데 앞서 말했듯 ‘국어’는 한국말 아닌 일본말을 가리켜요. 우리 스스로 한국말을 알맞게 다듬으려 하는 자리라 한다면 ‘국어순화’라는 말마디부터 씻거나 털어야 올발라요. 한국말을 알맞게 다듬으려 할 때에는 ‘글다듬기’를 할 노릇이요, 내 넋을 스스로 사랑하며 북돋우려 할 때에는 ‘바로쓰기’를 할 노릇입니다. (4345.6.26.불.ㅎㄲㅅㄱ)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