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母たちの濟州島: 姜萬保寫眞集 (單行本)
任 栽賢 / 東方出版 / 2012년 2월
평점 :
(이 책을 구경할 수 있도록 선물해 주신 양철나무꾼 님 고맙습니다~!)
사진이란 삶이요 사랑이며
[따순 손길 기다리는 사진책 33] 강만보, 《母たちの濟州島》(東方出版,2012)
1948년에 제주도에서 태어나 자란 강만보 님은 제주도에서 대학교를 다니고, 제주도에 있는 〈한라일보〉에서 사진부장 일을 했습니다. 2008년에 “남해안 제주해녀” 이야기를 사진책으로 묶고, 2009년에는 “동해안 제주해녀” 이야기를 사진책으로 묶으며, 2010년에는 “서해안 제주해녀” 이야기를 사진책으로 묶었다고 해요. 2012년에는 “어머니들 제주도” 이야기를 사진책으로 묶는데, 이 사진책은 한국에서 나오지 않고 일본에서 나옵니다. 왜 한국에서는 못 나올까 궁금하지만, 한국에서 나오든 일본에서 나오든 그리 대수롭지 않습니다. 강만보 님이 나고 자라며 사랑하는 제주섬에서 삶을 사랑한 ‘어머니들’ 이야기를 알뜰히 갈무리해서 내놓을 수 있으면 더없이 좋으며 반갑습니다. 어머니들 삶처럼 예쁘게 꾸미는 사진책입니다. 어머니들 사랑처럼 곱게 여미는 사진책입니다. 어머니들 웃음과 눈물처럼 따스하게 보듬는 사진책입니다.
사진책 《母たちの濟州島》(東方出版,2012)를 펼치면 1973년부터 1998년까지 찍은 사진을 들여다볼 수 있습니다. 아니, 1973년을 살던 어머니와 1998년을 살던 어머니를 만날 수 있습니다.
사진 밑에 날짜가 적히고, 어떠한 모습과 삶인가 하고 몇 줄 이야기가 적힙니다. 나는 이 숫자와 글을 읽으면서 제주도 어머니 삶을 헤아릴 수 있습니다. 나는 굳이 이 숫자와 글을 안 읽으면서 제주도 어머니 사랑을 그릴 수 있습니다. 어머니들 삶은 1973년에나 2013년에나, 또 1998년에나 2038년에나 똑같거든요. 어머니들 사랑은 1973년에도 1933년에도, 또 1998년에도 1958년에도 똑같아요. 한결같이 잇는 삶이요, 가만히 물려받는 사랑이에요. 다 다른 마을 다 다른 살림집 아이들은 다 다른 어머니들한테서 다 다르지만 다 같은 사랑을 물려받으면서 저마다 즐거울 삶을 꿈꿉니다. 다 다른 마을 다 다른 아이들은 저마다 빛나는 꿈을 키우면서 무럭무럭 자라서, 어린 날 이녁 어머니가 나누어 주었듯 이녁 아이한테 새롭게 사랑을 물려줍니다. 이 같은 사랑은 한 해 열 해 백 해 천 해 만 해를 고이 흐릅니다. 먼먼 지난날에는 따로 사진기라 하는 연장이 없었기에, 그저 가슴으로 묻고 그예 마음으로 담으면서 사랑을 빛냈습니다. 이제 우리한테는 사진기라 하는 연장이 있습니다. 강만보 님은 1973년에도 사진기로 사랑을 적바림합니다. 1998년에도 사진기로 사랑을 옮겨적습니다. 2012년에도, 또 앞으로 살아갈 긴긴 날에도 사진기 하나 손에 쥐고는 어머니들이 어떠한 결과 무늬로 어떠한 삶과 사랑을 누리는가 하는 이야기를 살포시 들려주리라 느껴요.
나는 사진이란 삶이라고 생각합니다. 사진을 찍는 사람은 삶을 찍고, 사진에 찍히는 사람은 삶이 찍힌다고 생각합니다. 사진을 읽는 사람은 삶을 읽고, 사진을 찍는 사람 또한 ‘사진으로 찍히는 사람’이 누리는 삶을 읽으면서 사진기 단추를 누른다고 생각합니다.
사진이란 삶이라고 생각하기에, 사진은 새삼스레 사랑이기도 하다고 생각합니다. 사진을 찍는 사람은 사랑을 찍고, 사진에 찍히는 사람은 사랑이 찍힌다고 생각합니다. 사진을 읽는 사람은 시나브로 사랑을 읽습니다. 모두들 사랑을 누리면서 나눕니다.
사진이란 삶이요 사랑이라고 생각하기에, 사진은 다시금 웃음이고 눈물이면서 서로서로 살가이 어깨동무하는 이야기라고 생각합니다. 사진은 내가 사랑하는 사람들과 누리는 이야기를 담는 말이라고 생각합니다. 사진은 내가 기쁜 하루를 빛내는 보금자리에서 일구는 살림살이라고 생각합니다.
사진책 《母たちの濟州島》에는 이 같은 빛깔이 잘 드러나는구나 싶습니다. 어머니가 곡식을 손질하건, 어머니가 땔깜으로 쓸 말똥을 만지건, 어머니가 물질을 하건, 어머니가 아버지와 나란히 밭을 갈건, 어머니가 아이를 보살피건, 어머니가 사랑으로 돌보는 마을 아이들이 고샅길에 모여 놀이를 즐기건, 모두 삶이면서 사랑이고 이야기로구나 싶어요.
즐겁게 살아가며 즐겁게 나눌 사진을 찍습니다. 어여삐 살아가며 어여삐 나눌 사진을 찍습니다. 사이좋게 살아가며 사이좋게 나눌 사진을 찍습니다.
사진은 늘 내 곁에 있습니다. 사진은 늘 내 가슴에서 씨앗을 맺습니다. 사진은 늘 내 마음에서 꽃을 피웁니다. 사진은 늘 내 눈빛에서 환하게 빛납니다. 이리하여, 강만보 님은 제주도에서 ‘내 어머니’를 비롯해 ‘이웃 어머니’와 ‘동무 어머니’를 만나서 사진을 찍습니다. 다른 이는 다른 터에서 ‘내 어머니’를 비롯해 숱한 어머니를 만나며 사진을 찍겠지요. 강만보 님은 제주도 곳곳에서 다 다른 살림살이라 하나 다 같은 빛무늬와 빛살로 하루하루 엮는 어머니들을 만났는데, 다 달라 보이는 어머니라 하지만, 곰곰이 살피면 어느 어머니 한 분한테서나 온삶을 걸쳐 늘 바라볼 수 있는 모습이기도 합니다. 곧, 강만보 님 어머니 한 분 삶을 좇으며 찬찬히 바라본다 할 때에도 사진책 《母たちの濟州島》에 나오는 온갖 모습과 이야기와 꿈이 드러나리라 느껴요.
제주도 뭇 어머니가 바로 ‘내 어머니’입니다. 내 어머니가 바로 ‘제주도 어머니’입니다. 내 어머니는 내 삶입니다. 제주도 어머니는 내 사랑입니다. 서로서로 살가이 내미는 손길로 이어집니다. 서로서로 따스히 주고받는 눈길로 마주합니다. (4345.6.19.불.ㅎㄲㅅㄱ)
― 母たちの濟州島 (姜萬保 사진,東方出版 펴냄,2012.3.14./¥18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