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리가면 48
미우치 스즈에 지음 / 대원씨아이(만화) / 2012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름다움을 깨닫는 길
 [만화책 즐겨읽기 156] 미우치 스즈에, 《유리가면 (48)》

 


  아이를 무릎에 앉히고 만화영화 〈미래소년 코난〉이나 〈알프스 소녀 하이디〉를 함께 볼 수 있는 하루란 참 아름다운 나날입니다. 잠결에 기저귀에 쉬를 하고는 아랫도리가 축축해 꼬보장하게 엎드려 자는 아이를 토닥토닥 달래 새 기저귀로 갈고는 반듯하게 눕혀 팔베개를 한 뒤 새근새근 잠들도록 할 수 있는 하루란 매우 아름다운 나날입니다. 즐겁게 끓인 국과 기쁘게 차린 밥을 식구들 함께 먹으면서 기운을 새롭게 차릴 수 있는 하루란 몹시 아름다운 나날입니다.


  이래저래 돌이키면, 하루하루 누리는 이야기 가운데 아름답지 않은 모습은 없습니다. 방을 비질하면서, 옷가지를 빨래하면서, 그릇을 설거지하면서, 아이들 손을 잡고 마실하면서, 여름날 멧딸 따러 돌아다니면서, 책을 읽고 읽히면서, 글을 쓰고 가르치면서, 고단히 드러누워 허리를 펴면서, 어느 한 가지 아름답지 않을 삶은 없어요.


- ‘저건 바위. 저건 수풀. 나무들 사이로 걸려 있는 덩굴. 개울물. 여긴 매화골. 잘 안 보인다는 게 이렇게 편리할 줄이야. 여기가 매화골이라고 상상하기가 훨씬 쉬워졌어. 마야, 분명 그 앤 평소에도 이렇게 자기가 연기하는 세상을 상상해 왔겠지? 무리 없이 자연스럽게. 당할 수가 없어! 난 지금 이렇게 돼서야 겨우 기타지마 마야의 상상력의 일부를 이해했을 뿐인데! 우습군. 눈이 아픈 후에야 그 애에 근접할 수 있다니.’ (18∼19쪽)
- ‘눈을 감으면 사람들의 대화 소리. 차 소리. 처음 알게 된 소리의 홍수. 사람들이 움직이는 기척. 스쳐 지나가는 사람들의 냄새. 다가오는 소리. 멀어져 가는 소리. 눈을 감고 있어도 거리감은 확실히 느껴진다. 공기의 움직임에 사람들의 기척.’ (69쪽)

 

 


  저녁나절 두 아이를 자전거수레에 태워 면내로 마실을 합니다. 두 아이 모두 몹시 졸음에 겨운 얼굴인데, 어떡하든 더 놀겠다는 다짐이 드셉니다. 이럴 즈음 자전거수레에 태워 마을 한 바퀴 휘 돌면 으레 하나씩 곯아떨어지기에 슬슬 자전거를 달리며 흰구름과 매지구름 얼기설기 얽힌 하늘을 올려다보는데, 두 아이가 자전거수레에서도 좀처럼 잠들려 하지 않습니다. 외려 시원한 바람을 쐬며 잠을 깬 듯하기까지 합니다.


  그래, 그러면 더 놀아라. 더 신나게 놀아라. 다만, 너희 아버지는 이제 몸이 힘드니까 아버지 곁에 달라붙지 말고 너희끼리 재미나게 놀아라. 너희가 서로를 아끼고 서로를 좋아하면서 이 시골마을 바람과 저녁빛과 들내음과 개구리 노랫소리를 실컷 누리면서 놀아라.


  빗소리도 비내음도 오랜만에 찾아든 저녁나절, 아이들 빨래한 옷가지와 기저귀는 방 곳곳에 널었습니다. 아침에 말리려고 넌 옷가지는 저녁에 거의 말랐으나 보송보송 마르지는 않습니다. 낮과 저녁에 한 빨래는 하룻밤 지나면 마를까요. 가늘게 뿌리던 빗줄기가 저녁부터 아예 사라졌으니 새 아침 맞이할 무렵 천천히 다 마를까요. 날마다 몇 차례 아이들 옷가지 빨래를 하며 살아갈 줄 누가 알았겠습니까만, 빨래기계 쓸 일 없이 두 아이 옷가지를 틈틈이 빨래합니다. 조그마한 옷가지 몇 벌을 기계에 넣고 돌릴 수는 없어요. 척척 비비고 착착 헹구면 끝인걸요. 똥기저귀나 똥바지를 기계에 넣고 돌리지도 못해요. 걸레를 기계에 넣고 돌리지도 못하고요. 이러하든 저러하든 아이들 작은 이불까지 으레 손으로 빨래하며 살아요.


- “마야의 유일한 결점은 너무 역에 몰입해서 상대 배우가 그에 끌려다니느라 존재감이 없어지는 거였어. 무대 위에서 마야에게 맞추느라 급급할 뿐이었지. 결과적으로 단역일지라도 마야가 무대에 등장하는 순간 ‘주인공’은 마야가 되고 말아. 이래선 배우들이 모두 저 아일 싫어하게 될 거야 … 연극은 혼자서 하는 게 아니기 때문에 캐치볼처럼 상대 배우와의 호흡이 제일 중요해.” (41쪽)
- “마야, 뭐가 그렇게 즐거워?” “아니, 그냥 재밌을 것 같아서요. 저, 그런 데서 연기하는 거 처음이거든요! 어떤 식으로 연기할지 상상만으로도 가슴이 막 떨려요! 빨리 가 보고 싶다!” (131쪽)

 

 


  무거운 몸뚱이로 날마다 빨래를 하다가 곧잘 떠올립니다. 나는 언제부터 빨래돌이 삶을 생각했을까 하고 곱씹습니다. 나는 지구별이나 한국땅에 드문 빨래돌이 아버지라 하겠으나, 지구별이나 한국땅에 숱하게 많은 빨래순이 어머니들 삶은 어떠할까 하고 헤아립니다. 내 어머니와 옆지기 어머니를 그립니다. 내 어머니와 아버지, 옆지기 어머니와 아버지를 낳고 보살피던 어머니를 그립니다. 이분들을 낳고 돌보았을 어머니를 그립니다.


  먼먼 옛날부터 어머니들은 식구들 옷가지를 빨래하며 보내던 삶이 섦거나 고단하기만 했을까 궁금합니다. 사랑스러운 식구들이라 한다면, 사랑스럽게 보듬으며 빨래하는 옷가지였으리라 생각합니다. 식구들 옷가지 빨래하는 몫을 가시내한테만 맡긴 사내들은 삶을 누리는 사랑 가운데 하나를 스스로 등돌리거나 내팽개치면서 자꾸 엇나가거나 비뚤어지기도 했겠구나 싶습니다.


  그러고 보면 그렇습니다. 사내들은 왜 정치 권력에 눈길을 둘까요. 사내들은 왜 지식 쌓기에 마음길을 둘까요. 사내들은 왜 주먹힘을 불리는 데에 몸길을 둘까요.


  내 보금자리에서 사랑을 다스릴 때에 사랑스러운 삶일 텐데요. 내 마을에서 믿음을 나눌 때에 믿음직한 삶일 텐데요. 지구별 숲속에서 꿈을 키울 때에 꿈같은 삶일 텐데요.


  사랑이나 믿음이나 꿈이란 늘 내 마음속에서 싱그럽게 피어나요. 사랑도 믿음도 꿈도 언제나 내 곁에서 예쁘게 노래해요. 사랑이든 믿음이든 꿈이든 노상 나 스스로 빚고 나 스스로 북돋울 수 있어요.


- ‘누군가를 위해 방안을 신경쓰는 건, 마야 네가 내 안의 무언가를 바꾸려 하고 있어. 기다려 줘! 마야! 널 꼭 근사한 모습으로 맞아 줄게!’ (63쪽)
- “나도 연극배우가 될 걸 그랬나 봐. 당신 상대 배우가 부럽더군. 그 미소를 혼자 독점할 수 있으니까.” (125쪽)
- “왜죠? 눈앞에 있는 성공과 출세를 버리면서까지, 왜?” “바보 같은 짓을 하고 싶어졌습니다. 그동안 전 행복해지고 싶단 생각을 해 본 적이 없었어요. 어쩌면 행복의 의미조차 모르고 살았는지도 모르죠.” (153쪽)

 

 


  미우치 스즈에 님 만화책 《유리가면》(대원씨아이,2012) 마흔여덟째 권을 읽으며 생각합니다. 첫머리부터 ‘아유미’는 ‘홍천녀’ 연기에서 ‘마야’를 ‘이길’ 수 없겠다는 이야기가 흐릅니다. 왜냐하면, 아유미는 스스로 즐거울 수 있으며 사랑스러울 수 있는데, 자꾸 스스로 마야와 아유미 저를 견줍니다. 마야는 마야대로 마야 삶과 사랑을 누리면서 마야 연기를 할 텐데, 아유미는 아유미대로 아유미 삶과 사랑을 누리면서 즐길 연기가 무엇인지 아직까지 종잡지 못해요. 그저 ‘이제야 마야가 하는 연기를 따라잡는다’ 하고 여겨요. 이런 생각이 아유미 스스로 발목을 잡는 줄 깨닫지 않아요. 스스로 삶을 깨닫지 않으면서 자꾸 ‘욕심’을 부리는 쪽으로 나아가요. 마야이든 아유미이든 홍천녀를 연기하고 싶으면 연기하면 되는걸요. 반드시 ‘치구사’ 선생님 뒤를 물려받는 홍천녀가 되어야 하지 않아요. 스스로 새로운 홍천녀가 되어 새로운 연극밭을 일구면 돼요. 굳이 연극밭이 아니어도 삶에서 사랑밭을 일굴 수 있어요. 내 좋은 보금자리에서 꿈밭을 일굴 수 있어요.


  무대에서 주역이든 조역이든 올라서서 무언가 보여주어야 아름다운 삶이 되지 않아요. 부엌에서 설거지를 하거나 도마질을 하면서 살아갈 때에도 아름다운 삶을 빛내며 마음껏 누릴 수 있어요. 참말 마음껏 누릴 삶이거든요. 재주껏 보여줄 삶이나 솜씨껏 자랑할 삶이 아니에요. 마음껏 누릴 삶이요, 실컷 즐길 사랑이에요. 예쁘게 돌보는 삶이고, 기쁘게 보살피는 사랑이에요.


  마야는 아주 더디기는 하나, 가장 마야다운 걸음걸이로 삶길과 사랑길과 꿈길로 나아가는데, 아유미는 아유미다움을 생각하지 못하면서 가장 어설픈 우격다짐으로 스스로를 채찍질하기만 해요.


- ‘시오리 씨. 오늘 난 처음으로 당신에게 솔직해질 겁니다. 당신에게 진정한 성의를 보여 드리죠. 이 이상 당신을 불행하게 만들지 않기 위해서라도.’ (141쪽)
- ‘처음 그 애 공연을 본 순간, 그 애가 무대에서 필사적으로 살아가는 모습에 마음을 빼앗기고 말았어요. 내게는 없는 살아 있는 열정 같은 걸 느꼈죠. 그런 느낌은 태어나서 처음이었어요.’ (149쪽)
- “(시오리 씨) 당신은 아름답고 총명하고 멋진 여자예요. 하지만 같은 하늘을 바라봐도 당신과 난 보고 있는 것과 느끼는 방식이 전혀 다릅니다. 전 하늘의 별을 찾고, 당신은 도시의 야경에 감동하니까요. 결혼을 해도 분명 서로를 이해하지 못할 때가 많을 겁니다.” (154쪽)

 


  스스로를 채찍질하면 여러모로 솜씨나 재주를 키울 수 있습니다. 어느 만큼 갈고닦는다 할 만합니다. 그러나, 삶도 사랑도 믿음도 꿈도 이야기도 ‘채찍질하기’나 ‘갈고닦기’로는 즐기지 못해요. 이래서야 누리지 못해요. 이렇다면 나눌 수조차 없어요.


  억지스레 어느 한 사내하고 짝을 짓겠다고 하는 ‘시오리’ 또한 스스로 누릴 꿈과 사랑과 아름다움이 무엇인지를 못 깨달아요. 스스로 옭아매는 사슬이 시오리 스스로뿐 아니라 제 식구들과 이웃과 동무까지 얼마나 옭아매는가를 깨닫지 않아요.


  옭아매어서는 사랑이 될 수 없고, 옭아맨다고 붙잡힐 사랑은 없으며, 옭아맬 때에는 내 삶조차 늘 조마조마하면서 두려울 뿐이에요.


  사랑은 어깨동무예요. 사랑은 두레예요. 사랑은 따순 손길이에요. 사랑은 고운 눈길이에요. 사랑은 밥 한 그릇 나누는 작은 밥상이에요. 만화책 《유리가면》 마흔여덟째 권에서는 스스로 좋은 이야기 누리지 못하는 사람들 가냘픈 몸짓이 춤을 춥니다. 마흔아홉째 권에서는 이 슬프며 고단한 굴레가 씻길 수 있을는지, 앞으로도 내내 이어질는지 궁금합니다. (4345.6.16.흙.ㅎㄲㅅㄱ)

 


― 유리가면 48 (미우치 스즈에 글·그림,서수진 옮김,대원씨아이 펴냄,2012.7.15./4500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