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 안 써야 우리 말이 깨끗하다
(2037) 예년의 1 : 예년의 일처럼
그러고 보니 더욱더 우리 사협이 예년의 일처럼 되풀이하고 있는 작품에 대한 평가 자세는 문제가 있는 것이 될 수밖에
《고영일-대한민국의 사진을 말하다》(한울,2011) 27쪽
“되풀이하고 있는”은 “되풀이하는”으로 다듬으면 되고, “작품에 대(對)한 평가(評價) 자세(姿勢)는”은 “작품을 평가하는 자세”나 “작품을 바라보는 매무새”나 “작품을 읽는 눈”이나 “작품을 살피는 잣대”나 “작품을 가르는 틀”로 다듬을 수 있습니다. “문제(問題)가 있는 것이 될 수밖에”는 “문제가 될 수밖에”나 “문제가 있다고 할 수밖에”나 “말썽거리가 있다고 할 수밖에”나 “잘잘못이 있다고 할 수밖에”로 손질해 봅니다.
‘예년(例年)’ 뜻을 살펴보면, “(1) 보통의 해 (2) 일기 예보에서, 지난 30년간의 기후의 평균적 상태를 이르는 말”이라고 합니다. 곰곰이 살피니, “보통의 해”를 뜻한다는 자리에도 곧잘 쓰는구나 싶으면서, 날씨를 알리는 자리에서 참 자주 쓰는구나 싶어요. 쓸 만하니까 쓸는지 모르지만, 알맞게 쓸 만한 낱말을 옳게 살피지 못하며 그냥 쓰는구나 싶어요.
예년의 일처럼 되풀이하고 있는
→ 늘 있는 일처럼 되풀이하는
→ 해마다 늘 되풀이하는
→ 늘 되풀이하는
→ 언제나 되풀이하는
→ 자꾸 되풀이하는
→ 버릇처럼 되풀이하는
…
잘 생각하면 잘 쓸 낱말을 깨달을 수 있습니다. 잘 헤아리면 글 하나 잘 쓸 수 있습니다. 글을 잘 쓰거나 말을 잘 하는 사람은, 예쁘거나 멋지다 싶은 낱말을 골라서 쓰지 않습니다. 내 마음을 환하게 드러내는 낱말을 슬기롭게 느낍니다. 내 사랑을 따스히 나눌 말투를 살뜰히 헤아립니다.
해마다 어떤 일을 되풀이한다면 ‘언제나’ 되풀이하는 셈이면서 ‘자꾸’ 되풀이하는 셈입니다. 어떤 ‘버릇’이 된 셈이요, ‘삶’으로 뿌리내렸다 할 만합니다.
좋게 바라본다면 “즐겁게 되풀이하는” 모습입니다. 안 좋게 바라본다면 “얄궂게 되풀이하는” 모습이에요.
이 자리에서는 “얄궂게 되풀이하는” 모습입니다. “슬프게 되풀이하는” 모습입니다. “안타깝게 되풀이하는” 모습입니다.
으레 되풀이하는
한결같이 되풀이하는
…
한국땅에서 한국말을 쓰는 이들이 즐겁게 말을 아낄 수 있기를 빕니다. 예쁘게 말을 돌보고, 착하게 말을 보살필 수 있기를 바랍니다. 알차게 말열매 맺고, 씩씩하게 말나무 가꾸며, 싱그러이 말잎 우거지도록 애쓸 수 있기를 비손합니다. (4345.6.3.해.ㅎㄲㅅㄱ)
* 보기글 새로 쓰기
그러고 보니 더욱더 우리 사협이 해마다 안타깝게 되풀이하는 작품 평가 매무새는 말썽이 있을 수밖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