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풀 책읽기

 


  빈 논에 풀이 가득하다. 빈 논이라 말하지만, 정작 빈 논은 아니다. 논에 볍씨를 심어 벼를 거두기에 벼가 자라지 않을 때에는 빈 논이라 말하는데, 벼를 베고 나서 겨울을 지나고 봄을 맞이한 논에는 숱한 들풀이 자라고 들꽃이 핀다.


  아직 괭이질이나 가래질을 받지 않은 논을 바라본다. 논자락 가득 메운 들풀을 바라보고 들꽃을 바라본다. 이렇게 수많은 들풀과 들꽃이 피어난 다음 논을 갈아엎으면 이 풀기운이 흙으로 스며들어 거름이 될까.


  사람은 밥을 먹어야 한다기에 논풀을 몽땅 뒤엎어 벼 한 가지를 심어 기르는데, 풀은 이 논에 얼마나 뿌리를 내리고 싶었을까. 문득, 참말 ‘빈 논’이라 하는 ‘묵은 논’을 떠올린다. 시골에 깃들던 사람이 숨을 다해 흙으로 돌아가고 나면 더는 손길을 타지 않아 묵는 논이 곳곳에 생기는데, 묵은 논은 한 해만 지나도 온통 풀밭으로 바뀐다. 묵은 논은 세 해쯤 지나면 제법 큰 나무가 자란다. 묵은 논은 열 해쯤 지나면 자그마한 숲이 된다.


  정원사나 조경사가 일구지 않아도 묵은 논은 다시 ‘자연’이 되어 천천히 숲을 이룬다. 사람이 따로 씨앗을 심거나 뿌리지 않아도 묵은 논은 싱그러운 풀과 꽃과 나무가 깃들며 새와 짐승이 보금자리를 틀 ‘자연’이요 ‘숲’으로 다시 태어난다.


  사람은 무슨 책을 읽는가. 사람은 어떤 삶을 꾸리는가. 사람은 어디에서 사랑을 속삭이는가. 논자락 풀들 앙증맞게 바람에 살랑이며 짙은 내음과 숱한 이야기를 흩뿌린다. (4345.4.17.불.ㅎㄲㅅㄱ)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페크pek0501 2012-04-17 13:44   좋아요 0 | URL
정원사나 조경사가 필요하지 않은, 자연의 생명력에 감탄하며...

숲노래 2012-04-17 21:20   좋아요 0 | URL
도시 공원도
자연 그대로 잘 살아가도록
예쁘게 보살피고 사랑한다면
참 좋으리라 생각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