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뜨기 책읽기

 


  만화책 《도라에몽》을 보면, 먼 앞날에서 살아가는 로봇인 도라에몽이 ‘오늘날’로 찾아와 진구라는 아이를 돕는데, 진구라는 아이는 매우 착하지만 멍청하고 재주가 없다. 도라에몽은 진구도 잘 하는 재주 한 가지는 있으리라 북돋우지만 진구는 늘 주눅이 드는데, 어느 날 문득 실뜨기만큼 누구보다 잘 한다고 깨달아 “나는 실뜨기 장인이다!” 하고 외치며 집에 문패까지 붙이는 이야기가 나온다.


  ‘실뜨기 장인’이라니 우습게 여길 사람이 있을는지 모른다. 곰곰이 돌이키면, 나 또한 어릴 적에 ‘이런 일이나 놀이는 나보다 잘 하는 사람 없어!’ 하고 외친 적 있다. 이를테면 ‘빨리 걷기’라든지 ‘빨리 마시기’라든지 ‘글씨 작게 쓰기’ 같은 여러 가지를 낑낑거리면서 한다. 동무 가운데에는 고무줄놀이를 누구보다 잘 하는 아이가 있고, 흙땅에 잔돌을 손가락으로 튕겨 금을 긋는 놀이를 누구보다 잘 하는 아이가 있다. 몇 미터 떨어진 데에서도 조그마한 동그라미에 척 들어가도록 돌을 튕기는 재주는 참 남달랐다고 느낀다. 멀찍이 떨어진 데에서도 작은 구슬을 던져 맞히는 재주도 참 대단하다고 느낀다. 딱지를 재빨리 접고, 또 이 딱지로 동무 딱지를 척척 뒤집는 재주도 참 훌륭하다고 느낀다. 끝도 없이 제기를 찬다든지, 축구공을 멀리 뻥뻥 찬다든지, 테니스공을 높이높이 던져 올린다든지, 종이비행기를 곧게 멀리 날린다든지, 연을 훨훨 날도록 띄운다든지, 윷이나 주사위를 잘 던진다든지, 참 손꼽히는 재주를 선보이는 동무가 많았다. 그러나, 나로서는 이런저런 재주가 좀처럼 가 닿지 못했다. 아, 하나 있던가. 오재미놀이를 할 때에 이쪽저쪽에서도 안 잡히고 끝까지 살아남는 재주 아닌 재주 하나 있었다. 오재미놀이를 하며 “난 오재미 하느님이야!” 하고 외친 일이 생각난다.


  이모저모 생각하고 머리를 짜낸다. 나는 참 어떤 뾰족한 재주가 없는 어린 나날과 푸른 나날을 보냈다. 공부를 뛰어나게 잘 하지 못했고, 글을 빼어나게 잘 쓰지 못했으며, 그림을 놀랍게 잘 그리지 못했다. 이럭저럭 하기는 하더라도 그저 그런 높이에서 맴돌았다. 문득 한 가지 떠오른다. 집에서 학교를 걸어서 오가는 아이가 거의 없기에, 이렇게 아침저녁으로 걸을 때마다 발걸음 재게 놀려 빨리 걷도록 용을 쓴다든지, 이 길에 기차길을 밟으면서 얕은 철길에서 비틀거리지 않고 오래도록 안 떨어지며 걷도록 애를 쓴다든지 해 보았다. 철길 동네에서 살던 동무라 해서 부러 철길밟기를 날마다 하지는 않으니, 이런 걷기 하나는 누구보다 잘 해내곤 했다. “난 철길에서 이백 걸음을 걷는다!”라든지 “나는 철길에서 천 걸음을 걷는다!”라든지 “난 철길을 빠르게 달린다!” 하고 외쳤다.


  또 한 가지 떠오른다. 50원 넣고 하던 오락실 오락 가운데 두어 가지는 언제라도 끝판까지 가서 오락실 사장님 비위를 거슬리곤 했다. ‘오락기계 가운데 두어 가지’만큼은 끝판임금 같은 이름을 얻었다. 나는 〈1942〉와 〈마계촌〉 끝판임금이었는데, 단돈 50원으로 두 시간 가까이 오락기계 하나를 붙잡고 뒤에 동무들을 구름같이 모이게 해 구경하도록 하다 보면, 사장님이 200∼300원을 쥐어 주면서 가게 밖으로 내쫓곤 했다. 그래서 내가 잘 하는 오락은 20분쯤 하다가 다른 동무한테 슬쩍 넘겨주며 오락실에서 안 쫓겨나려고 눈치를 보았다.


  아이 어머니가 뜨개하는 실을 조금 잘라 ‘뜨기실’을 마련한다. 첫째 아이를 무릎에 앉히고는 먼저 실뜨기를 보여준다. 나도 어린 날 실뜨기 놀이를 했다고 가만히 떠올린다. 그러나 나는 실뜨기 놀이를 몹시 못 했다. 금세 요 모양 조 모양 만드는 동무들이 부럽기도 하고 놀랍기도 했으며 궁금하기도 했다. 어쩜 저렇게 손가락을 잘 놀릴까. 어쩜 저렇게 여러 모양을 쉬 만들 수 있을까.


  동무 가운데에는 실 아닌 고무줄로 실뜨기, 이른바 고무줄뜨기를 하는 녀석이 있었다. 속옷에 넣는 노란 고무줄 끝을 묶은 다음 손가락에 꿰어 끝없다 싶도록 늘리며 고무줄뜨기를 하는데, 저러다 고무줄이 틱 끊어질까 무섭다고 느껴, 동무녀석이 고무줄뜨기를 하면 슬슬 뒤로 물러나 멀리 떨어져서 구경했다.


  내가 실뜨기를 참 못 했다고 떠올리고 보니, 가위질도 그렇게까지 잘 하지는 못 했다고 떠오른다. 집에서 신문종이로 가위질을 끝없이 해 보고, 이모저모 종이접기나 ‘종이 오려 붙여 무언가 만들기’를 수없이 하는 동안 가위질 솜씨가 이럭저럭 모양새 나쁘지 않을 만큼 되었지만 썩 잘 한다고 할 수 없다. 어느 날 국민학교 미술 시간인데, 동무 가운데 어느 하나 가위질을 놀랍도록 잘 했다. 따로 콤파스로 동그라미를 그리지 않고도 콤파스로 동그라미를 그려 가위질을 하는 아이들보다 훨씬 매끄럽고 반듯하게 동그라미를 오려 내곤 했다.


  능금을 잘 깎는다든지 참외를 잘 깎는 칼솜씨도 늘 부러웠다. 누군가는 ‘많이 깎으’면 으레 는다고 하는데, 나는 많이 해도 안 늘었다. 많이 안 해도 익숙하게 잘 하던 한 가지라면, ‘땅콩 껍질 빨리 까며 속껍질 안 벗겨지게 하기’쯤? 굴러오는 공을 뻥 차는 일도 잘 못하고, 멈춘 공을 높이 차는 일도 잘 못한다. 제기를 스무 차례 넘게 찬 적이 없다. 손발 쓰는 몸놀림이 참 굼뜨거나 힘들었다. 체육을 하며 춤추기를 배울 때에 내 몸짓이 참 웃겼다고들 한다. 내가 보여주는 국민체조 몸놀림은 그야말로 우스개였다고 하는데, 나는 내 모습을 본 적 없으니 모른다(고 생각하고 싶다). 나는 체육을 하며 달리기가 가장 좋았다. 아무것도 안 하고 그저 앞을 바라보며 숨을 찬찬히 고르며 오래오래 달리기가 나한테 가장 맞다고 느꼈다. 오래달리기 하나만큼은 학교에서 첫손이나 두손에 들 만큼 야무지게 달렸다. 이 결은 군대로 이어져, 군대에서 1500명 남짓 몇 킬로미터를 한꺼번에 오래달리기를 시킬 때에 내가 2등하고 몇 분 사이를 벌리면서까지 1등으로 들어온 적 있다.


  첫째 아이가 실뜨기 놀이를 즐기는 모습을 바라본다. 아버지보고도 실뜨기를 해 보라 말한다. 어린 날부터 참 젬병이던 실뜨기인데 나더러 해 보라니, 참 착하고 예쁜 말이다만, 선뜻 내 두 손에 실을 꿰지 않는다. 잘 하건 잘 못 하건 어찌 되든 손가락 사이에 꿰고 함께 놀아 주면 좋을까. 아이가 실뜨기를 배운 지 사흘째인데, 아직 망설인다. 나도 실뜨기를 같이 할까. 골이 살짝 아프지만, 아이랑 함께 놀며 살아갈 아버지인걸. 못 하면 못 하는 대로 함께 놀면 될 노릇 아닌가. 기운을 내자. (4345.4.5.나무.ㅎㄲㅅㄱ)

 


댓글(2)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카스피 2012-04-06 00:32   좋아요 0 | URL
ㅎㅎ 된장님도 도라에몽을 즐겨 읽으셨나 봐요.저도 이책이 넘 재미있더군요^^

숲노래 2012-04-06 01:48   좋아요 0 | URL
도라에몽은
참 아름다운 만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