떠날 수 없는 사람들 - 또 다른 용산, 집을 잃은 사람들의 이야기 평화 발자국 8
김성희 외 5인 글.그림 / 보리 / 2012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서울에서 떠날 때에 좋은 삶
 [만화책 즐겨읽기 131] 김성희·김수박·김흥모·심흥아·유승하·이경석, 《떠날 수 없는 사람들》

 


  서울이라는 곳은 대한민국에서 꽤 넓습니다. 그러나 서울이 제아무리 넓다 하더라도 이곳에서 살아가는 사람은 지나치게 많습니다. 지나치게 넓은 땅이고 지나치게 많은 사람들입니다. 그래서 서울에서는 돈을 벌 구멍이 다른 곳보다 훨씬 많다 할 테지만, 이만큼 돈을 못 벌거나 힘겨운 사람도 더욱 많다 할 수 있습니다.


  서울에서 돈구멍을 잘 뚫어 크거나 비싸다 하는 집에서 살림을 꾸리는 사람이 꽤 많습니다. 서울에서 돈구멍을 좀처럼 찾지 못해 자꾸자꾸 옆이나 뒤로 밀리다가는 그예 작은 보금자리 하나조차 누리지 못하며 쫓겨나는 사람이 참 많습니다. 꽤 배불리 살아가는 사람도 많고, 퍽 굶주리며 살아가는 사람도 많습니다. 좀처럼 두 사람들이 밥술을 나누지 못합니다.


  새 자동차가 끊임없이 팔립니다. 새 옷가지가 끊임없이 팔립니다. 새 아파트가 끊임없이 올라섭니다. 새 방송국이 끊임없이 생기고, 새 풀그림이 끊임없이 나옵니다. 새 연예인이, 새 영화가, 새 연속극이, 새 노래꾼이 끊임없이 나옵니다.


  이와 달리, 새 숲은 찾아볼 수 없습니다. 새 흙일꾼은 나타나지 않습니다. 새 멧새가 태어나 깃들 보금자리는 차츰 줄어듭니다. 새 골짜기나 냇물이 이루어질 틈이 없습니다.

 

 


- 남자가 야구나 축구에는 관심을 안 가질지언정, 설거지에는 관심을 가지기 바라는 아내. (10쪽)
- 이제 첫 이주민인 그 사람에게 가서 이렇게 말해 보라. ‘선생은 나무도 많이 심고, 울타리도 튼튼하게 쳐 두고, 우물도 파고, 창고와 주택도 지었습니다. 선생의 노동으로 인해 이 농장에 많은 가치가 생긴 것입니다. 그러나 선생의 땅은 이전만큼 비옥하지 않습니다. 선생의 노동으로 가꿔 온 모든 것들의 가치를 충분히 셈해 드릴 테니 모두 나에게 팔고 가족을 데리고 새로운 지역으로 다시 이주하는 것이 어떻겠습니까?’ 그러면 그 사람은 웃고 말 것이다. (28쪽)


  한국땅에서 서울은 너무 끔찍하게 부풀었습니다. 이 다음으로 부산이 끔찍하게 부풀었으며, 이 다음으로는 대구와 인천이 끔찍하게 부풀었고, 이 다음으로 대전과 광주와 울산이 끔찍하게 부풀었습니다. 뒤따라 수많은 도시들이 끔찍하게 부풀어오릅니다.


  끔찍하게 부풀어오르는 곳마다 가난하다는 사람들 작은 집이 헐립니다. 가난하다는 사람들 작은 집이 쉰 해가 넘는 삶터였든 백 해쯤 되는 삶자리였든 아랑곳하지 않습니다. 삶터를 빼앗긴 뒤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를 살피지 않습니다. 삶자리 잃은 사람들한테 고향이 이러쿵저러쿵 되거나 말거나 돌아보지 않습니다.


  그러고 보니, 이렇게 아파트 재개발로 시끌벅적하기 앞서, 적잖은 동화쟁이와 소설쟁이는 ‘고속도로 낸다며 논·밭·집·고향 잃은 사람들’ 이야기를 동화나 소설에 담았습니다. ‘댐을 놓는다며 논·밭·집·고향 빼앗긴 사람들’ 이야기를 동화나 소설로 그렸습니다.


  이제 ‘고속도로나 댐 때문에 고향을 잃거나 앗긴 사람들’ 이야기를 동화나 소설로 담거나 그리는 글쟁이는 찾아보기 어렵습니다. 고속도로를 놓아야 나라가 더 발돋움한다고 여깁니다. 댐을 놓아야 큰물을 막는다고 생각합니다. 고속철도를 놓으며 더 좋아진다고 생각합니다. 공항을 마련하고 공장을 늘려 한국 경제가 살아난다고 생각해요.

 

 

 


- 가진 것 적어도 서로 오가며 음식도 나눠 먹고 집도 서로 고쳐 주면서 정을 나누던 동네, 용산 신계동. 작은 마을이지만 뉴타운 건설 전까지는 돈 없이도 넉넉하게 살고, 친척 없이도 화기애애한 주민들이었다. (44쪽)
- “엄마. 엄마.” “아, 왜 그래.” “일어나 보니 앞집이 없어졌어.” “너 어두울 때 와서 몰랐구나.” “어떻게 하루아침에, 몇 십 년 된 집을. 흔적도 없이 싹 사라졌네. 우리 집도 저렇게 되는 거야?” (52쪽)


  시골에서 살아가는 사람은 도시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이 굶주리지 않도록 하자며 등허리가 휩니다. 쌀, 보리, 옥수수, 배추, 무, 당근, 토마토, 배, 능금, 복숭아, 포도, 귤, 감, 미역, 김, 파래, 고등어, 오징어, 조기, 조개, 굴, …… 모두 시골사람이 거두어들여 도시사람을 먹입니다. 도시사람 스스로 이런저런 먹을거리를 스스로 마련하거나 찾거나 거두어들이지 못합니다.


  곰곰이 헤아려 봅니다. 날이 갈수록 ‘밥을 어떻게 먹는가’ 하는 이야기를 그릴 줄 아는 동화쟁이나 소설쟁이는 찾아볼 수 없습니다. 만화쟁이와 사진쟁이도 이와 엇비슷합니다. 하나같이 도시에서 살아가고, 하나같이 도시에서 생각합니다. 살아가는 터전에 따라 생각하고, 생각하는 길에 따라 이야기를 빚어요. 저마다 사랑으로 꿈꾸는 빛줄기를 보여줄 만하지만, 하나같이 사랑 없는 생채기와 얼룩과 응어리를 동화나 소설이나 만화나 그림이나 사진이나 노래나 춤이나 영화로 담고 맙니다.


  만화책 《떠날 수 없는 사람들》(보리,2012)을 읽다가 문득 떠올립니다. “가진 것 적어도 서로 오가며 음식도 나눠 먹고 집도 서로 고쳐 주면서 정을 나누던 동네, 용산 신계동(44쪽).”이라 하는데, 막상 이 만화책에서 ‘서로 오붓하게 사랑을 나누던 오순도순 살가운 모습’은 거의 나타나지 않습니다. 처음부터 끝까지 ‘철거 용역이 주먹과 발길을 휘두르는 모습’만 나타납니다.


  아픈 이야기를 보여주고, 생채기 난 자국을 드러내며, 얼룩진 슬픔을 그립니다. 고단한 삶을 보여주고, 고단한 이웃을 들여다보지 않는 차갑고 메마른 도시살이를 보여줍니다. 힘겨운 삶을 드러내며, 힘겨운 동무와 어깨동무하지 못하는 어둡고 그늘진 도시살이를 드러냅니다.


  그래도 이렇게 아프고 슬프며 지친 모습이나마 만화로 그려 남길 수 있어 고맙다 여길 만합니다. 이렇게 깨지고 다치며 짓밟히는 모습이라도 만화로 빚어 선보일 수 있어 고맙다 할 만합니다. 다만, 이뿐이에요.

 

 

 


- 이날 스무 명 가운데 열여덟 명이 119에 실려 가고 모두들 정말 심하게 다쳤어요. 갈비뼈가 부러져 여러 차례 수술 받은 사람도 있고 실명할 뻔한 사람도 있고. 그런데 용역 깡패 놈들은 어떤 처벌도 받지 않았죠. 이 일이 있은 뒤로 다 떠나고 단 세 가구만 남게 되었어요. (145쪽)


  지난 2011년 12월 즈음, 포스코에서는 우리 식구들 살아가는 시골마을 한켠에 화력발전소를 짓겠다고 밝혔습니다. 왜냐하면, 우리 시골마을은 대한민국에서 큰도시하고 아주 멀리 떨어진 한갓진 데거든요. 우리 시골마을하고 나란히 ‘새 화력발전소 건설 예정지’로 손꼽히는 곳은 전남 해남입니다. 고흥이랑 해남은 서울에서도 부산에서도 참 멀디먼 땅끝이에요. 대전에서도 멀고, 대구나 인천이나 광주에서도 참 멉니다.


  한편, 화력발전소를 짓겠다 하는 데는 고흥이랑 해남 바닷가예요. 화력발전소를 지으려 하는 고흥이랑 바닷가는 모두 국립공원입니다. 다도해 해상 국립공원이에요. 도시사람 쓸 전기가 모자라다며 국립공원으로 손꼽히는 시골마을 한복판에 화력발전소를 짓겠다고들 해요.


  이 나라 건설부 하는 일을 살피면, 국립공원 한복판에 굴을 파고 하늘차를 놓습니다. 국립공원 멧자락 올라가기 좋도록 아스팔트길을 길게 내고 주차장 넓게 마련합니다. 제주섬은 통째로 아름다운 삶터라 한다지만, 제주섬에 새 해군기지를 마련한다며 시끄럽습니다. 맑은 물을 마시지 않으면 누구라도 말라비틀어지고 말 테지만, 남녘땅 굵은 물줄기뿐 아니라 시골자락 조그마한 냇물줄기마저 시멘트를 퍼부어 물길을 반듯하게 펴느라 돈과 품을 아주 엄청나게 들여요.


  이런 나라 이런 건설부인 만큼, 새 아파트를 도시 한켠에 더 높직하게 올리려 하면서, 가난한 달동네 마을을 한꺼번에 밀어붙여 없애는 일쯤이야 아무것 아니라 여길 만합니다. 가난한 사람한테든 가멸찬 사람한테든, 오래도록 뿌리내려 사랑할 고향을 마련하지 못하도록 밀어붙이거나 내몰려 하는구나 싶어요. 가난한 사람한테나 가멸찬 사람한테나, 집을 집으로 여기지 않고 부동산으로 여기도록 몰아붙이려 하는구나 싶어요.

 

 


- “학생들 서명 좀 부탁해요.” “집이 강제로 철거돼서 서명운동 하고 있어요. 부탁해요.” “아줌마들! 여기서 뭐하는 거예요?” “서명 받는데? 학생은 뭐야?” “저 이 학교 총학생회장인데요, 여기서 이런 거 하면 안 돼요!” “아니, 학생! 대학생이면 어려운 사람과 함께하고 도와줘야지!” “저희는 비운동권 총학생회라서 이런 거 반대해요. 여기서 서명운동 같은 거 하지 마세요! 빨리 가세요, 가!” (159∼160쪽)


  가만히 헤아려 봅니다. 서울에서 살아가는 사람이라면, 가난하거나 가난하지 않거나 고향마을을 둘 수 없습니다. 신림동이든 봉천동이든 현저동이든 이문동이든, 어느 동네라 하더라도 서울사람한테는 고향마을이 되기 어렵습니다. 어느 한 곳에서 쉰 해 일흔 해를 뿌리내려 살았다 하더라도 언제 어떻게 삶자리를 빼앗긴 채 떠나야 할는지 모릅니다. 돈이 많고 집이 크다 하더라도 재개발 테두리에 들면 모두 꼼짝없이 떠나야 합니다. 아파트에서 산다 하더라도 서른 해만 지나면 다른 새 아파트로 떠나야 할 판입니다. 무슨무슨 팰리스가 쉰 해나 일흔 해를 버틸까요. 무슨무슨 캐슬이 여든 해나 백 해를 이을 수 있을까요. 아파트를 짓는다며 쫓겨난 사람이든, 아파트를 지어 들어온다는 사람이든, 서울에서는 모두 고향 없는 사람입니다. 느긋하게 쉬며 아이들한테 물려줄 좋은 보금자리를 꾸리지 못하는 사람입니다.


  고향도 삶도 보금자리도 없는 이런 서울인데, 사람들은 왜 고향을 떠나 서울로 가려 할까 궁금합니다. 고향도 삶도 보금자리도 마련할 수 없는 이런 서울에서, 사람들은 왜 고향으로 돌아갈 생각을 품지 못하나 궁금합니다.


  너무 뚱뚱해진 서울에서 벗어나야 삶길이 열릴 텐데요. 지나치게 뚱뚱해진 서울에서 풀려나야 삶자리가 마련될 텐데요.


  빼앗긴 권리를 찾는 일도 크고 대단합니다. 그런데, 삶을 찾고 사랑을 나누는 나날을 누리는 일이란 더없이 크고 대단합니다. ‘떠날 수 없는 사람들’이 ‘서울을 홀가분하게 떠나는 사람들’이 될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저마다 제 고향마을 품에 안길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저마다 새 고향마을 찾아 동해로 김해로 옥천으로 예천으로 벌교로 삽교로 양양으로 밀양으로 구례로 삼례로 고흥으로 장흥으로, 아름다운 보금자리를 찾아나서며 뿌리내리면 좋겠습니다. 사람들 스스로 서울을 떠나 서울이 홀쪽해지면, 서울에서 권력과 주먹과 돈을 휘두르던 이들은 그만 제풀에 지쳐 쓰러지겠지요. (4345.3.23.쇠.ㅎㄲㅅㄱ)


― 떠날 수 없는 사람들 (김성희·김수박·김흥모·심흥아·유승하·이경석 글·그림,보리 펴냄,2012.1.20./12000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