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끼 드롭스 1
우니타 유미 지음, 양수현 옮김 / 애니북스 / 2007년 12월
평점 :
절판


 


 오줌 싸 주니 이불 빨래
 [만화책 즐겨읽기 130] 우니타 유미, 《토끼 드롭스 (1)》

 


  첫째 아이랑 처음 함께 살던 나날을 떠올립니다. 첫째 아이는 이불에 참 자주 쉬를 누었습니다. 천기저귀를 대더라도 늘 대야 하니까, 오줌을 누고 나서 곧장 갈아 주더라도 고추가 발개지기 마련입니다. 이제 막 쉬를 누었으니 다문 10분이라도 알몸으로 있으라 하는데, 이렇게 열어 놓았을 때 어김없이 쉬를 누곤 했습니다. 밤에 자면서 쉬를 푸지게 누어 이불까지 흥건히 젖기 일쑤였습니다. 여름에 태어난 첫째는 겨우내 두꺼운 이불을 자주 빨도록 이끌었어요.


  둘째 아이는 첫째 아이와 달리 아직 이불에 쉬를 거의 안 합니다. 그러나 둘째도 첫째처럼 오줌가리기를 할 무렵에는 어김없이 이불에 쉬를 할 테지요. 돌이 지나면 낮에는 기저귀를 푼 채 지내도록 하고 쉬를 누일 텐데, 이때에 이불이며 방바닥이며 책꽂이이며 온갖 곳에 쉬를 할 테지요.


  아이들 똥오줌 때문에 이불을 빨아야 하면, 이제 아침부터 두 팔이 욱씬욱씬 저리겠구나 하고 생각합니다. 이불을 빨래하면서, 아이들아 너희들 얼른 자라서 너희 이불을 너희가 신나게 밟으며 빨아 주렴, 하고 생각합니다.


  그래도, 너희가 이불에 똥도 누고 오줌도 누니 이불을 자주 빨아 보송보송 포근히 덮고 잘 수 있겠지요. 아버지 몸은 고단하고 고달프며 고되지만, 아버지 어릴 적에도 이불에 얼마나 자주 똥오줌을 누었을까 하고 돌아봅니다.

 

 


- 어느 화창한 가을날, 나는 외할아버지의 부음을 듣고 휴가를 얻어 고향집에 내려갔다. 그런데 그곳에는 처음 보는 여자아이가 있었다. (7∼8쪽)
- 말인즉슨 혼자 살던 방년 79세의 외할아버지가 가족들 몰래 첩을 두고 아이까지 만들었다는 것이다. 만약 아버지에게 첩이나 숨겨둔 자식이 있었다면 솔직히 나도 심란했겠지만, 글쎄, 뭐랄까, 외할아버지가 그랬다면 왠지 용서가 될 것 같은 마음이 든달까. 오히려 제법이시라는 생각마저 들었다. (11∼12쪽)


  돌을 앞둔 둘째 아이는 하루에 네 차례 안팎 똥을 눕니다. 볼볼 기어다니던 아이 손을 만질 때에 차갑네, 하고 느끼면 어김없이 쉬를 누었거나 똥을 누었습니다. 아침 일곱 시 반 무렵 잠에서 깨어 꽁꽁거리는 아이가 엉덩이를 실쭉샐쭉 흔들며 아버지한테 기어오면, 나 똥 누었으니 얼른 기저귀 갈고 밑 씻어 주셔요, 하는 뜻입니다.


  밤에 자다가 쉬를 누면 으앙 하고 자지러질듯 울면서 기저귀를 다 갈도록 울음을 그치지 않습니다. 그런데 아침에 일어나서 볼볼 기어다니며 놀 때에는 바지까지 축축히 젖도록 쉬를 두어 차례 누고도 암 말을 안 해요. 요 녀석, 밤에만 그렇게 울어대지 말고, 낮에 낑낑거리기라도 해야 알아차리지 않겠니.

 

 


- ‘친아버지가 죽었는데 이렇게 내버려둬도 되나? 죽었단 것도 제대로 안 가르쳐 준 거 아냐? 내가 여섯 살 때 죽는다는 걸 이해했었나?’ (15쪽)
- ‘이 회의의 주제는 린을 누가 맡아 주느냐……가 아니었나? 회의니 뭐니 하면서 그럴듯한 말들을 늘어놓고 있지만, 결국 이 사람들의 결론은 처음부터 정해져 있는 거 아냐?’ (23쪽)
- ‘엄마의 존재를 전혀 모른다는 건 어떤 기분일까?’ (158쪽)


  아이들과 살아가는 나날이란 아이들과 몇 미터 안쪽에서 하루 내내 지내는 나날입니다. 아이들이 안 보이는 데로 가서 무얼 할 수 없습니다. 아이들 또한 제 어버이가 안 보이는 데에 있으려 하지 않습니다. 서로 마주보거나 서로 느낄 만큼 가까운 데에서 숨결과 목소리 모두를 느끼며 함께 지냅니다.


  아이가 무얼 바라는지 아이가 말하지 않아도 헤아립니다. 아이가 입을 오물오물 꽁알꽁알 하는 소리를 다 알아듣습니다. 그러나 짐짓 모르는 척합니다. 아이가 똑바로 말하도록 기다립니다. 아이한테 제대로 말하라고 이릅니다. 마음으로 알아들으니 말을 않더라도 얼마든지 아이가 입으로 털어놓기 앞서 찬찬히 이루어 줄 수 있지만, 이렇게 하는 일이란, 아이가 무럭무럭 씩씩하게 자라도록 이끄는 어버이 구실은 아니겠지요.


  때로는 심부름을 시키고, 때로는 나 혼자 말없이 집일을 하면서 아이가 곁에서 함께 하도록 부릅니다. 다 마른 빨래를 개면서, 자 여기 네 옷이니 네가 개렴, 하고 내밀기도 하고, 아이는 스스로, 이 옷 내 옷이야, 하면서 하나하나 집어 가서 조물딱거리며 갭니다.


  첫째 아이는 퍽 말끔히 빨래를 개기도 하지만, 어수룩하게 구기기도 합니다. 말끔히 갤 때에는 참 잘 갰다고 얘기합니다. 어수룩하게 구기면, 애써 빨아서 말렸는데 이렇게 구기면 어떡하니 하고 얘기합니다.


  둘째가 기저귀에 쉬를 해서 갈아야 할 때면 첫째 아이가 뽀르르 달려가서 새 기저귀 한 장을 가져옵니다. 첫째 아이가 딴청을 부리며 안 가져온다 싶어 아버지가 일어나서 가져올라치면 어느새 팩 일어나 휙 달려오면서, 내가 가져갈게, 하고 외칩니다. 오늘 아침에는 어머니가 둘째 기저귀를 벗기며 갈려 할 때에 첫째 아이가 말없이 기저귀 한 장을 가져옵니다. 따로 시키지 않았으나 아이가 으레 스스로 나서서 가져옵니다. 예쁜 아이요, 사랑스러운 아이입니다. 착한 아이요, 다부진 아이입니다.

 

 


- “린은 당신들이 생각하는 것보다 똑똑하고 야무진 애예요. 적어도 당신들보다는 제대로 된 어른으로 클 겁니다. 린! 이런 삭막한 데는 애들이 있을 곳이 못 돼. 우리 집에 올래?” (25∼26쪽)
- 썰렁하기 그지없던 내 방은 먼지덩어리가 굴러다니는 일도 없어지고 잡지 나부랭이들이 구석으로 치워졌으며. (66쪽)
- “갈아입으면 그만이야.” “화 안 내?” “물론! 화낼 일도 아니고 비웃을 일도 아냐. 뭣보다 네가 안 그러면 이불도 잘 안 갖다 널고, 커버도 누레질 때까지 안 빨거든.” (125쪽)


  어느 집에서 태어나 자라는 어느 아이라 하더라도 모두 사랑스러운 아이라고 느낍니다. 어느 마을에서 동무를 사귀며 어느 고장말을 쓰는 아이라 하더라도 저마다 어여쁜 아이라고 느낍니다.


  아이들은 유치원에 다녀야 사회를 배우지 않습니다. 아이들은 어린이집을 거쳐야 똑똑해지지 않습니다. 아이들은 초·중·고등학교를 밟아야 아이 스스로 좋아할 만한 삶길을 찾아나서지 않습니다.


  아이들은 유치원이든 어린이집이든 학교이든 따로 안 다녀도 됩니다. 아이들은 언제나 사랑을 받아먹을 수 있으면 됩니다. 아이들은 더 똑똑하지 않아도 됩니다. 아이들은 영어를 잘하지 않아도 되고, 아이들은 시험성적이 빼어나지 않아도 됩니다. 아이들은 자격증을 안 따도 되며, 아이들은 큰회사나 공공기관 일꾼으로 뽑히지 않아도 됩니다.


  아이들은 누구보다 제 어버이한테서 사랑을 물려받을 수 있으면 됩니다. 아이들은 이웃과 예쁘게 사귀고 동무랑 즐거이 어우러질 수 있으면 됩니다.


  책은 안 읽어도 돼요. 흙을 느끼고 바람을 마시며 물을 헤아릴 수 있으면 돼요. 학원은 몰라도 돼요. 햇살을 좋아하고 구름을 읽으며 별빛을 누릴 수 있으면 돼요. 사람들 복닥거리는 도시로 나아가야 하지 않아요. 스스로 먹는 밥과 스스로 입는 옷과 스스로 살아가는 집을 어떻게 건사하면서 어떻게 아낄 때에 좋은 삶인가를 깨달을 수 있으면 돼요.

 

 


- “애들은 어른들이 기분 안 좋으면 자기를 야단친다고 생각한다구.”(177쪽)
- “아빠가 된 게 아니라, 린에 대해서만 어찌어찌 맞춰 주게 된 거야. 다른 애들은 전혀 모르겠어.” (186쪽)


  우니타 유미 님 만화책 《토끼 드롭스》(애니북스,2007) 첫째 권을 읽습니다. 큰도시 여느 회사원으로 일하는 서른 살 아저씨가 갑작스레 만나서 함께 살아가야 하는 대여섯 살 어린이와 복닥이는 이야기를 다룹니다. 서른 살 아저씨는 아이와 살아가는 나날이란 생각조차 한 일이 없습니다. 아이와 살아가기는커녕 아가씨와 사랑을 속삭이며 누리는 나날조차 생각을 못했다고 합니다.


  서른 살 아저씨는 보육원을 찾느라 애먹습니다. 바야흐로 초등학교에 들어가야 하는 줄 헤아리지 못합니다. 집구석 치우느라 바쁘고, 아이한테 무엇을 먹이고, 아이한테 무엇을 보여주며, 아이한테 무슨 말을 들려주어야 하는가를 놓고 이리 부딪히고 저리 깨집니다.


  그런데, 갑자기 맡아야 하는 아이라서가 아니라, 남녀가 사랑을 속삭여 낳은 아이를 놓고도, 오늘날 이 나라 여느 아저씨들은 이 아이들하고 어떻게 살아가야 좋은가를 좀처럼 생각하지 못하거나 아예 깨닫지 않으면서 지내지 않느냐 싶기도 해요. 아이들하고 어떤 밥을 먹고, 아이들하고 어떤 옷을 입으며, 아이들하고 어떤 집에서 살아야 서로 아름다우며 좋은가를 돌아보지 못해요. 아이를 낳기까지 어른으로서 어떤 삶을 꾸리며 어떤 넋으로 어떤 일을 했는가를 헤아리지 못해요.

 

 


- ‘허걱! 애 데리고 아침 지하철 타기도 참 못해먹을 짓이네.’ (52쪽)
- 엄마도 그런 말을 했었지. ‘지금까지 내가 얼마나 희생해 왔는지 아무것도 모르면서!’ 왠지 모르게 그 말이 가슴 한구석에 걸렸다. 곱씹어 보면 그건 엄마는 우리들을 건사하기 위해 희생을 감수했다는 뜻인데, 애 키우는 게 다 그런 건가? (87쪽)


  도시 한복판에서 아이를 데리고 전철을 타는 일이란 참 못해먹을 짓입니다. 겪어 보았으면 누구나 느끼리라 생각합니다. 그런데, 도시 한복판에서 아이를 데리고 전철을 타는 일뿐 아니라, 어른으로서 도시 한복판에서 전철을 타는 일마저 참 못해먹을 짓이 아니랴 싶어요. 느긋하게 오가는 전철길이 아닌 끔찍하다 여기는 지옥철이 된다면, 아이한테도 어른한테도 참 슬픈 길이에요. 아이가 먹기에 나쁜 밥이라면 어른이 먹기에도 나쁜 밥입니다. 아이가 보거나 듣기에 안 좋은 이야기라면 어른이 보거나 듣기에도 안 좋은 이야기이기 마련입니다.


- “그렇구나. 할아버진 이 꽃을 제일 좋아했지.” (19쪽)


  만화책 《토끼 드롭스》 첫째 권을 덮으며 생각합니다. 이 만화책을 그린 분은 그림을 참 못 그리는구나 싶습니다. 어설프며 어수룩한 그림이 곳곳에 드러납니다. 그렇지만 나는 이 만화책을 즐겁게 읽습니다. 그림은 못 그려도 되니, 이야기를 담아 주면 되거든요. 이야기는 없으면서 그림만 예쁘장하대서 만화책을 즐거이 읽지는 못해요. 그림결은 삐뚤빼뚤하거나 엉망진창과 가깝다 하더라도 이야기가 살가우면서 빛난다면 기쁘게 넘기는 만화책으로 삼을 수 있어요.


  초점이 어긋나거나 흔들린 사진이라 하더라도 이야기 예쁘게 담았으면 아주 아름답습니다. 초점이 잘 맞고 안 흔들린 사진이라 하더라도 이야기 하나 밍숭맹숭하거나 아예 없다면 조금도 볼 만하지 않습니다.


  삶은 빈틈이 하나 없는 나날이 아닙니다. 모든 것을 빠짐없이 갖추어야 어버이 노릇을 하지 않습니다. 모든 것을 빠짐없이 잘 해내야 예쁜 아이가 아닙니다.


  사랑스레 살아가면서 사랑을 물려주는 어버이입니다. 사랑을 받아먹으며 사랑스레 웃고 떠들며 노는 아이입니다.


  오줌을 싸 주니 이불을 빨아요. 낑낑거리니 한 번 더 안아요. 졸립다 하니 자장노래를 불러요. 밤에 잠을 잘 이루지 못하니 내 배에 엎드리도록 한 뒤 토닥토닥 재워요. 배고프다고 울어대니 젖떼기밥을 먹이고 어머니젖을 물려요. 심심하다고 하니 함께 손을 맞잡고 춤도 추고 공놀이도 하고 달리기도 하며 들판을 누벼요.


  좋아하는 마음으로 서로 빙긋 웃으며 살아가는 좋은 삶벗인 살붙이예요. (4345.3.13.불.ㅎㄲㅅㄱ)


― 토끼 드롭스 1 (우니타 유미 글·그림,양수현 옮김,애니북스 펴냄,2007.12.5./8000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