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 스스로 느끼는 대로 사진을 찍는다
 [따순 손길 기다리는 사진책 26] 로버트 코왈크직(Robert Kowalczyk), 《Morning Calm》(Dawn press,1981)

 


 1969년에 평화봉사단과 함께 한국에 와서 세 해 동안 영어를 가르쳤다고 하는 로버트 코왈크직(Robert Kowalczyk)이라고 하는 분은 1972년부터 일본 교토에서 살면서 사진을 찍고 대학교수로 일했다고 합니다. 바지런히 찍은 사진은 일본과 한국과 미국에서 선보였고, 이 가운데 한국에서 담은 한국 이야기를 《Morning Calm》(Dawn press,1981)이라는 책에 담아 일본과 미국에서 나란히 펴냅니다. 이 사진책은 로버트 코왈크직 님으로서는 첫 사진책이라 하는데, 이 사진책 뒤로는 네팔 카트만두와 포카라 골짜기를 다니며 사진을 찍었다고 해요. 이분은 ‘명희(Myung-Hee)’라는 분하고 혼인해서 ‘킴벌리(Kimberlye)’라는 아이 하나를 두었답니다. 사진책 《Morning Calm》에 담은 수채그림은 옆지기 명희 님이 그렸답니다. 이와 같은 이야기는 모두 사진책 《Morning Calm》 책날개에 영어로 적힙니다. 로버트 코왈크직이라고 하는 분 발자취는 한국땅에서 거의 찾아볼 길이 없습니다. 한국사람들 삶자락 담은 사진책을 내고 사진잔치를 열며 한국 아가씨랑 혼인해서 아이를 낳기도 했으니, 한국이라는 나라를 퍽 사랑하며 아끼리라 보는데, 다른 잘 알려진 숱한 ‘한국에 뿌리내리는 외국사람’과 달리, 이분 이름은 깊이 숨겨집니다.

 

 

 

 

 

 그러나, 한국에는 헌책방이 있고 주한미군이 있습니다. 한국땅 헌책방 가운데 이 사진책을 받아들여 예쁘게 꽂은 데가 있었습니다. 주한미군 도서관은 부대에 새로 들어오는 병사가 읽을 수 있도록, 미군부대가 들어선 나라가 문화와 예술과 삶이 어떠한가를 알려주거나 가르치려고 온갖 책을 두루 갖추기’ 마련입니다. 이렇게 갖춘 책들이 좀 묵거나 낡으면 ‘주한미군 부대가 있는 나라 헌책방’에서 돌려읽힐 수 있게끔 내놓습니다. 지난 1960∼70년대뿐 아니라 1980∼90년대에도, 2000∼10년대까지도, 주한미군 도서관은 한국땅 헌책방에 ‘꽤 좋으며 괜찮은 미국책’을 꾸준히 많이 내놓습니다.

 

 내 손으로 들어온 사진책 《Morning Calm》은 ‘US Army camp Red Cloud’에서 흘러나왔습니다. ‘붉은구름 미군부대’라 할 텐데, 서울 용산에 있다고 합니다. 도서관 대출종이가 그대로 있어 이 사진책을 얼마나 읽었는가 살필 수 있는데, 1983년 1월 24일에 도서관에 들였고, 이때부터 꾸준히 읽힌 다음 2001년 7월 3일을 끝으로 더는 읽히지 않습니다.

 

 

 

 

 

 곰곰이 생각하면, 이 사진책 《Morning Calm》에 실린 한국 모습은 1970년대입니다. 1981년에 나온 사진책 모습은 끝없는 새마을운동과 경제개발에 발맞추어 하루가 다르게 바뀌거나 무너집니다. 1990년대로 접어들 무렵이면 꽤 아스라이 멀어진 옛이야기로 여길 만한 모습이에요. 2000년대가 될 무렵이면 좀 생뚱맞게 여길 만한 모습일 수 있어요. 미국땅에서 한국땅 미군부대에 새로 찾아오는 군인한테는 1970년대 모습을 담은 1981년 사진책이 더는 쓸모있다 하기 어렵습니다. 2000년대와 2010년대 미군부대에서는 새로운 ‘한국 이야기 깃든 모습 담은 사진책’을 갖추려 하겠지요. 게다가 이 사진책은 도시가 아닌 시골을 보여줍니다.

 

 문득, 조지 풀러라는 미국사람이 한국전쟁 언저리에 찍은 무지개빛 사진을 담은 《끝나지 않은 전쟁》(눈빛,1996)이라는 사진책이 떠오릅니다. 한국전쟁 무렵 한국땅 모습과 여느 한국사람 이야기가 이 작은 사진책에 꽤 알뜰히 실립니다. 게다가 까망하양 사진이 아닌 무지개빛 사진입니다.

 

 

 

 

 

 

 

 

 무지개빛 사진으로 들여다보는 1950년대 첫머리 여느 한국사람 모습은 ‘그리 지저분하’거나 ‘그닥 꾀죄죄하’지 않습니다. 가난하고 끼니 잇기 수월찮은 한국 어린이일 텐데 입성은 그럭저럭 수수합니다. 햇볕에 그을리고 흙땅을 밟는 흙빛 얼굴입니다. 까망하양 사진으로만 들여다본다면 자칫 ‘많이 시커멓게만’ 보일 얼굴이겠으나, 무지개빛 사진으로 들여다보니 아주 싱그러우며 튼튼해 보이는 ‘흙빛’ 얼굴이요 차림이에요.

 

 사진책 《Morning Calm》은 까망하양 사진입니다. 이 사진에 나오는 어른이나 어린이도 자칫 ‘많이 시커멓게만’ 보인다고 여길 수 있습니다. 그러나, 로버트 코왈크직 님은 당신이 마주하는 한국사람을 ‘그리 추레하’게 바라보지 않습니다. ‘그닥 꾀죄죄하’게 보이는 모습으로는 찍지 않아요. 당신이 좋아하는 결을 살려 사진을 찍습니다. 당신이 사랑하는 이웃을 헤아리며 사진으로 옮깁니다. 그러고 보면, 로버트 코왈크직 님은 한국 아가씨와 짝을 지었습니다. 한국을 사랑하면서 한국 아가씨하고 짝을 지었을 테고, 한국을 사랑하는 손길과 마음길로 두 사람 뜻을 사진책 한 권에 곱게 실었겠지요.

 

 

 

 

 

 

 

 

 “The pure, uncluttered atmosphere of the Korean countryside seemed capable of reaching buried chords in the heart of modern man. Nostalgia? Yes. but, also something more than a mere longing for things past. For the feelings presented by the people and places of the Korean coutryside are touching not because they are lost, but because they are here, some where, amid the problems and complexities of our lives. Perhaps in order to see these very important values we must in some way change the focus of our vision and allow ourselves the benefits of true gifts offered.”라는 말마디를 곰곰이 되새깁니다. 로버트 코왈크직이 사진으로 담은 한국 모습은 평화봉사단으로 한국에 왔을 때인 1969년부터 1971년까지 바라본 모습입니다. 새마을운동과 경제개발이 한창 불타오르던 무렵이기도 하고, 시골마을 사람들 삶이 배어나는 사진이지만 이런 자국이 곳곳에 살짝 스며들곤 합니다. 고즈넉하면서 어여쁜 시골마을이지만, 이러한 시골마을까지 ‘슬픈 도시 물질문명’이 파고들려 해요. 돈을 더 벌라고, 돈을 더 쓰라고, 기계를 더 들이라고, 텔레비전을 보라고, 자꾸자꾸 무언가를 부추깁니다. 흙을 일구며 살아오던 이 겨레는 서로서로 돕고 아끼면서 살림을 곱게 꾸렸는데, 이 고운 살림을 스스로 저버리도록 무언가 자꾸 꼬드기며 시골을 망가뜨립니다.

 

 

 

 

 

 로버트 코왈크직 님 ‘한국 시골 사진’은 이 대목 이 갈림길에 선 모습을 보여줍니다. ‘사라지려 하기에 더 예쁘게 감싸’지 않습니다. 미국에서는 벌써 잊혀지거나 사라지고 만 모습이기에 꿈 같은 모습이라고 추켜세우지 않습니다. 좋은 터전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은 좋은 모습을 보여준다고 사진으로 말합니다. 맑은 터전에서 지내는 사람들은 맑은 모습을 보여준다고 사진으로 얘기합니다.

 

 살아가는 빛이 드러나는 사진입니다. 살아가는 빛을 가만히 살펴 찬찬히 선보이는 사진입니다.

 

 1969∼1971년 사이에는 이무렵대로 아름다운 빛이 이 땅에 감돌았으리라 생각합니다. 어느덧 이때부터 마흔 해를 지난 2010년대에는 2010년대대로 아름다운 빛이 이 땅에 감돌리라 생각합니다. 다만, 옛날과 오늘날은 다릅니다. 옛날과 같은 모습을 오늘날에 찾아볼 수 없습니다. 옛날은 옛날대로 아름다이 느끼며 누리는 삶입니다. 오늘날은 오늘날대로 어여삐 느끼며 누리는 삶이에요. 옛날에도 수도물을 마셔야 하던 사람들이 있고, 오늘날에도 맑은 냇물을 마시는 사람들이 있어요. 옛날에도 자가용을 몰던 사람들이 있으며, 오늘날에도 두 다리로 걷거나 자전거를 타는 사람들이 있어요.

 

 

 

 

 

 아름답게 얼크러지는 꿈을 꾼다면 아름답게 일구고 싶은 사진을 찍을 수 있습니다. 사랑스레 어깨동무하는 꿈을 꾼다면 사랑스레 일구고 싶은 사진을 찍을 수 있습니다. 넋이 삶이 되고, 삶이 사진으로 열매를 맺습니다. (4345.2.28.불.ㅎㄲㅅㄱ)


― Morning Calm (로버트 코왈크직 사진,Dawn press 펴냄,1981)

 

 

 

 

 

 

 

 

 

 

 

 

 

 

 

조지 풀러 사진책은 알라딘에 있어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