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칼 나의 피 실천문학 시집선(실천시선) 92
김남주 지음 / 실천문학사 / 2001년 4월
평점 :
품절


 

흙과 꿈과 사랑을 노래하는 삶
[시를 노래하는 시 11] 김남주, 《나의 칼 나의 피》

 


- 책이름 : 나의 칼 나의 피
- 글 : 김남주
- 펴낸곳 : 실천문학사 (1987.11.15.)
- 책값 : 5000원

 


 겨울도 한철, 추위에 오슬오슬 떨며 옷을 두껍게 껴입는다지만, 머잖아 한 겹 두 겹 훌훌 털어낼 봄을 맞이하리라 생각합니다.

 

 겨울이니 춥기 마련입니다. 겨울이니 추위가 닥치기 마련입니다. 추운 겨울 따스히 나고자 여러모로 마음을 기울이기 마련입니다.

 

 지난밤, 물을 졸졸 틀어놓습니다. 따스한 남녘땅에서 물이 어는 일은 없으리라 생각하지만, 자칫 물이 얼면 어찌 손쓸 길이 없으니 졸졸 틀어놓습니다. 방 온도가 14도 밑으로 내려가는 날에는 물을 틉니다. 지난 12월과 올 1월 2월 석 달에 걸쳐 오늘로 세 번째 14도 밑으로 온도가 내려갑니다.

 

 마당에는 흰눈이 쌓였습니다. 지난 석 달에 걸쳐 마당에 눈이 쌓이기로는 오늘이 처음입니다. 내리는 듯 마는 듯하던 눈이요, 내리면 곧 녹는 눈이었는데, 간밤에는 아이 새끼손톱보다 조금 얕게 쌓입니다. 첫째 아이와 둘이서 뒤꼍으로 나가 한참 발자국놀이를 했습니다.


.. 그들은 척척박사이기에 무엇보다도 먼저 묻겠다 / …… / 팔레비와 소모사와 이 아무개와 박아무개가 / 제 스스로 물러났던가 ..  (나 자신을 노래한다)


 모처럼 얼어붙는 남녘땅 겨울날 새벽나절, 나는 부시시 일어나 빨래를 합니다. 이런 날씨에는 해가 쨍쨍 내리쬐는 마당에 빨래를 널더라도 꽁꽁 얼어붙습니다. 기저귀 빨래는 처음에는 얼다가도 이내 녹으면서 마르지만, 여느 옷가지는 얼어붙기만 할 뿐 마르지 않아요. 꽁꽁 얼어붙는 날씨에는 빨래를 조금씩 꾸준히 하면서 앞에 한 빨래가 마를 만하다 싶으면 걷어서 방바닥에 펼쳐 바싹 말립니다. 뒤이어 새 빨래를 합니다. 한꺼번에 많이 하면 말리기 수월찮으니 알맞게 나누어 빨래를 합니다. 이럭저럭 하루이틀 보내면 밀리는 빨래 없이 옷을 건사할 수 있습니다.

 

 밤에서 새벽으로 넘어가는 무렵 빨래를 하다가 문득 생각합니다. 옆지기 옷가지는 내 옷가지처럼 커다랗습니다. 두 아이 옷가지는 참말 작습니다. 아이들 바지나 웃도리 길이는 나와 옆지기 웃도리 소매 길이만큼 되지도 않습니다. 참 작고 짧아요. 이 작고 짧은 옷을 입으며 살아가는 아이들 또한 나와 옆지기하고 똑같은 넋이 깃든 목숨이 펄떡펄떡 숨쉽니다.

 

 작은 사람은 작은 기운을 내겠지요. 작은 사람은 큰 사람처럼 큰 기운을 낼 수 없겠지요. 큰 사람은 짐을 많이 짊어지면서 작은 사람을 업거나 안을 수 있다지만, 작은 사람은 짐을 짊어지기에도 벅차고 큰 사람을 업거나 안을 수 없겠지요.


.. 피와 땀과 눈물을 나눠 흘리지 않고서야 / 어찌 나는 자유이다라고 말할 수 있으랴 / …… / 제 자신을 속이고서 ..  (자유)


 돈이 넉넉한 사람이 돈이 없거나 모자란 사람한테 돈을 나누는 일은 참 마땅하다고 느낍니다. 먹을거리 푸짐하게 갖춘 사람이 배고프거나 배곯는 이하고 밥을 나누는 일은 더없이 마땅하다고 느낍니다. 똑똑하거나 슬기로운 사람이 어리숙하거나 어리석은 사람하고 앎·넋·꿈을 나누는 일은 몹시 마땅하다고 느낍니다.

 

 내가 글을 쓰는 까닭은 달리 있지 않습니다. 내가 더 갖춘 앎이 있으면 나눕니다. 내가 더 읽은 책이 있거나 내가 더 생각하는 꿈이 있거나 내가 더 깨달은 이야기가 있으면 스스럼없이 글을 써서 나눕니다.

 

 누군가는 나처럼 글을 쓸 테고, 누군가는 글솜씨 없다며 입으로 알콩달콩 말잔치를 베풀겠지요. 누군가는 그림을 그릴 테고, 누군가는 사진을 찍을 테며, 누군가는 춤과 노래를 들려주겠지요.

 

 누군가는 맛난 밥을 차립니다. 누군가는 빨래를 합니다. 누군가는 바느질이나 뜨개질을 합니다.

 

 누군가는 호미질을 하고, 누군가는 괭이질을 하며, 누군가는 삽질을 합니다. 누군가는 그물을 던지고, 누군가는 도끼를 찍으며, 누군가는 나물을 다듬습니다.


.. 셋이라면 더욱 좋고 / 둘이라도 떨어져 가지 말자 / 함께 가자 우리 이 길을 / 앞에 가며 너 뒤에 오란 말일랑 하지 말자 / 뒤에 남아 너 먼저 가란 말일랑 하지 말자 / 열이면 열 사람 천이면 천 사람 어깨동무하고 가자 ..  (함께 가자 우리 이 길을)


 눈이 덮인 마을은 고요합니다. 들쥐도 들고양이도 발소리를 내지 않습니다. 멧새도 들새도 어디에선가 따사로이 잠을 잘 테고, 멀찍이 떨어진 한길을 오가는 자동차는 보이지 않습니다.

 

 바람이 자는 밤나절 하늘을 올려다봅니다. 큰보름이 지났으나 달빛은 아주 밝습니다. 다른 철에는 보름이 지나면 달빛이 이내 사그라들지만, 큰보름 앞뒤로는 보름달 아니어도 달빛이 몹시 밝아요. 마을 곳곳 어두운 데 없이 환하게 비춥니다.


.. 누가 허리 꺾인 네 상처에 / 꽃잎 대신 철가시바늘을 꽂아놓았느냐 ..  (학살 2)


 구름이 지나갑니다. 구름이 달을 가립니다. 구름이 걷힙니다. 달이 다시 환합니다. 구름은 또 흐릅니다. 달빛은 살짝 가리고, 달빛이 살짝 가린다지만 보름달 빛살은 온누리 골고루 퍼집니다.

 

 달빛이 맑고 밝은 밤에는 그림자가 매우 짙습니다. 달빛을 머금은 그림자는 등불이 만드는 그림자와 견줄 수 없이 매우 짙습니다. 전깃불 그림자는 달그림자하고 나란히 서지 못합니다. 전깃불 그림자는 조금만 떨어져도 아스라히 사라지고, 달그림자는 내가 어디에 서든, 내가 무엇을 하든, 내가 어떻게 몸짓을 하든, 내 모든 결과 무늬에 따라 그림자를 빚습니다.

 

 아이를 안고 고샅을 걸으면 아이를 안은 내 모습이 논자락에 펼쳐집니다. 아이와 손을 잡고 마당을 노닐면 아이 손을 잡은 내 모습이 후박나무 그림자와 함께 마당을 가득 채웁니다.


.. 한 나라의 대통령이란 자가 / 외적의 앞잡이이고 / 수천 동포의 학살자일 때 / 살아 남은 사람들이 있어야 할 곳 / 그곳은 어디인가 ..  (살아 남은 자들이 있어야 할 곳)


 달이 있고 별이 있는 하늘을 올려다봅니다. 흙이 있고 풀이 있는 땅을 내려다봅니다. 하늘은 까만 빛깔에서 노랗게 보랗게 발갛게 물들다가는 파아랗게 물들며 아침이 찾아옵니다. 겨우내 땅은 누렇다가 하얗다가 다시 누렇게 바뀌다가는 금세 푸르게 물들며 따스한 기운 가득합니다.

 

 내 마음속에 봄을 그리는 꿈이 있기에 봄이 찾아옵니다. 한여름 무더위, 내 마음속에 겨울을 그리는 꿈이 있어서 겨울이 찾아옵니다.

 

 사람들 따스한 사랑이 하나둘 모여 따순 날씨가 됩니다. 사람들 차디찬 미움과 시샘과 꾐수가 얼크러져 차디찬 날씨가 됩니다.

 

 그냥 더운 날이나 그냥 추운 날은 없다고 느껴요. 마음이 차가울 때에 차가운 날씨요, 마음이 따사로울 때에 따사로운 날씨예요.

 

 내 삶에 따라 달라지는 날씨입니다. 내 넋을 돌보는 삶에 따라 바뀌는 날씨입니다. 내가 살아가는 매무새에 따라 이리저리 움직이는 날씨입니다. 어디에서 무엇을 어떻게 하는가에 따라 널뛰는 날씨입니다.

 


.. 삼팔선은 삼팔선에만 있는 것이 아니다 / 뜨는 해와 함께 일어나고 / 지는 달과 함께 자며 / 일하면 일할수록 가난해지는 농부의 팍팍한 가슴에도 있고 ..  (삼팔선은 삼팔선에만 있는 것이 아니다)


 사랑스러운 날씨라서 사랑을 한결 짙게 느낀다고도 하지만, 내 가슴에 사랑꽃이 흐드러질 때에 비로소 사랑스러운 날씨입니다. 내 가슴이 사랑이라면, 비가 오든 눈이 오든 바람이 불든 구름이 끼든 사랑스러운 날씨입니다. 내 가슴이 사랑 메말라붙어 차디차거나 메마르거나 쓸쓸한 빈터라면, 해가 나든 해가 기울든 비가 오든 비가 멎든 메말라붙거나 차디차거나 메마르거나 쓸쓸한 날씨입니다.

 

 내 마음으로 읽으면서 느끼는 날씨입니다. 내 가슴으로 다스리는 날씨입니다. 내 마음으로 읽으면서 느끼는 삶입니다. 내 가슴으로 다스리는 삶입니다. 내 마음으로 읽으면서 느끼는 사람이고 마을이며 보금자리예요.


.. 더는 잃을 것이 없는 우리 농민들에게 소중했던 것 / 그것은 / 돌이었다 낫이었다 창이었다 ..  (돌과 낫과 창과)


 씨앗을 심는 흙일꾼들 마음은 혼자 배부르려는 마음일 수 없습니다. 같이 먹고 같이 나누며 같이 흐뭇한 삶을 꿈꾸는 마음입니다.

 

 씨앗을 심는 흙일꾼들한테까지 돈을 심으려 하는 등쌀 때문에, 흙일꾼들은 그만 풀약을 쓰고 비료를 쓰며 항생제를 씁니다. 누구보다 잘 알고 느끼는 흙일꾼들부터 ‘유전자 건드린 씨앗’을 돈을 치러 사서 쓰고 맙니다. 곡식과 열매를 거둔 다음, 이 곡식과 열매 가운데 씨앗을 갈무리해서 이듬해에 새로 심지 못하고 말아요. 볍씨를 갈무리하더라도 모판에 비료를 쳐서 빽빽하게 자라도록 한 다음 기계에 앉혀 논바닥에 기계로 밀 뿐입니다. 사람이 먹는 곡식을 어떻게 간수하며 보살펴야 하는가를 그만 흙일꾼 스스로 잊고 맙니다.

 

 흙일꾼한테 돈마음을 심은 도시사람은 스스로 흙을 밟지 않습니다. 스스로 흙을 밟지 않으니, 볍씨가 무엇이고 볏모를 어떻게 나도록 하며 볏모를 어떻게 논에 심어야 하는가를 헤아리지 않습니다. 볍씨와 볏모와 볏가리를 살피지 못해요. 오직 돈으로 쌀을 돌아봅니다. 값이 싼가 비싼가, 유기농인가 아닌가, 저농약인가 아닌가, 친환경인가 아닌가, 이런저런 대목은 살피지만, 막상 볍씨일 때부터 얼마나 어떻게 사랑받은 씨앗이요, 이 씨앗에 어떤 땀과 삶과 꿈을 담아 논바닥에 심는가를 깨닫지 않습니다.


.. 나는 자유의 편에 서 있다고 / 나는 불의에는 반대한다고 / 입을 열어 한번 당당하게 말하지 못하게 되는 것일까? / 쥐꼬리만한 봉투 때문에 / 보잘것없는 지위 때문에 ..  (지위)


 돈 때문에 풀약을 칩니다. 돈 때문에 비료를 뿌립니다. 돈 때문에 항생제를 씁니다. 돈 때문에 씨앗 유전자를 과학자들이 건드리고 농협에서 이 씨앗을 사고팝니다.

 

 돈 때문에 모내기와 모심기와 벼베기를 도시사람들 누구나 스스로 하려고 나서지 않습니다. 돈 때문에 회사나 공공기관 일을 쉬지 못합니다. 돈 때문에 전철이나 버스를 멈추지 못합니다. 돈 때문에 4대강 삽질을 그치지 않습니다. 돈 때문에 수출과 수입이 끊이지 않습니다. 돈 때문에 자동차를 만들고, 돈 때문에 손전화기 만들며, 돈 때문에 공장을 세우고 고속도로를 닦습니다.

 

 오직 돈 때문입니다. 오직 돈 때문에 관광산업을 말합니다. 오직 돈 때문에 친환경 농산물이라는 이름을 붙입니다. 오직 돈 때문에 대학교로 보내려 합니다. 오직 돈 때문에 영어를 가르치고 배웁니다. 오직 돈 때문에 정치가 갈리고, 신문사와 방송사가 들썩입니다.

 

 그런데, 참말 돈 때문이라면, 참다운 돈을 찾거나 밝히거나 나누는 길을 가야 할 텐데요. 참말 돈 때문이라면, 옳게 벌고 옳게 쓸 돈을 제대로 깨달아 착한 일자리 바른 일거리를 찾아야 할 텐데요.


.. 감옥들은 부자들이 그들의 재산을 지키기 위해 만들어졌다 / 그리고 이들은 감옥을 채우기 위해 경찰과 검사를 만들었으며 ..  (사실)


 지난날에는 대학생들이 농촌봉사활동이라는 이름을 걸고 철 따라 시골마을로 흙일을 하러 갔습니다. 오늘날에는 대학생들이 농촌봉사활동을 할까요. 중·고등학교 아이들은 수행평가나 자원봉사 같은 점수따기를 하고자 시골마을 흙일 봉사활동을 하기는 하나요.

 

 지난주 면내 우체국에 편지를 부치러 찾아가니, 면내 고등학생인지 중학생인지 겨울방학 봉사활동 점수를 따려고 찾아와서는 우체국 청소를 하는 모습을 보았습니다. 끔찍하구나 싶어 차마 쳐다보지 못했습니다. 청소가 무슨 봉사활동이라고요. 청소는 집에서 늘 제 어버이와 함께 즐기는 삶이어야지요. 시골마을 아이들이라면 시골마을 아이들다이 제대로 봉사활동을 해야지요. 아니, 시골마을 아이들이니 시골마을 어버이와 이웃들이 날마다 늘 하는 일을 곁에서 거들며 배워야지요. 바닷가에서 아이들 어버이나 이웃과 함께 매생이를 거두고 굴을 까야지요. 물고기를 다듬고 그물을 꿰어야지요. 곡식을 갈무리하고 된장을 뜨고 새끼를 꼬아 매달아야지요. 참말 일다운 일을 거들거나 함께하면서 삶을 배워야지요. 점수를 따지 말고 사랑을 나누어야지요. 학교에서 시키는 봉사활동이 아니라 스스로 우러나오는 꿈을 키워야지요.

 

 문득 생각합니다. 도시 아이들 모두 시골마을로 철 따라 이레씩 보내야 하지 않겠느냐고 생각합니다. 적어도 철 따라 이레씩 시골에서 지내야 하지 않겠느냐고 생각합니다. 모를 심으러, 김을 매러, 벼를 베러, 곡식을 갈무리하러, 철마다 이레쯤 스스로 땀흘리는 일과 삶과 사랑을 몸으로 느끼도록 해야 이 나라가 아름다이 거듭나지 않을까 하고 생각합니다.


.. 형제여 내 바라나니 서재에서 자유를 노래하지 말라 / 형제여 내 바라나니 학교에서 진리를 구하지 말라 / 형제여 내 바라나니 교회에서 예수를 찾지 말라 / 형제여 내 바라나니 법정에서 정의를 구하지 말라 ..  (희망에 대하여 2)


 아이가 태어나면 시골로 보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예전에는 제대로 살피지 못했으나, 이제는 이렇게 느끼고 생각합니다. 새로 태어난 아이를 사랑스레 기리거나 아끼거나 보살피자면, 이 아이들 모두 시골로 보내고, 아이들 어버이 또한 시골로 가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육아휴직으로는 어림도 없어요. 육아휴직이 아닌 시골살이를 해야 합니다. 시골에서 아이들이 흙을 밟도록 하고, 어버이 또한 흙을 밟아야 합니다. 아이들은 흙이 베푸는 선물을 물려받고, 햇살과 바람과 눈비와 푸나무가 베푸는 선물을 이어받아야 합니다. 들짐승과 날짐승이 베푸는 선물을 함께 받아먹으면서 아이들 마음밭 사랑씨앗이 무럭무럭 크도록 이끌어야 한다고 생각해요. 이러는 동안 아이들 어버이는 이제껏 생각하지 못하거나 느끼지 못하던 참사랑과 참삶을 시나브로 알 수 있겠지요.


.. 올라가고 / 내려오지 않는다 / 올라가고 올라가고 올라가고 / 내려오는 사람은 아무도 없다 / 여기서 저기까지 / 밭둑에서 논둑까지는 / 성한 다리 성한 팔은 하나도 없다 ..  (고향 3)


 아이들 이끌고 읍내마실을 하다 보면, 옆지기랑 아이들 다 함께 면내마실을 하거나 마을돌기를 하다 보면, 네 식구 즐거이 흙을 밟고 거닐 만한 데가 없다고 곧 깨닫습니다. 흙 있는 자리는 논이나 밭인데, 다른 사람 땅인 논밭을 함부로 밟기 어렵습니다.

 

 싱그러이 숨쉬는 흙을 밟고 살가이 풀이 자라는 흙을 느끼지 못하고서야 사람이 사람다울 수 있겠느냐 싶습니다. 공장에서 밥을 만들어 주지 않으니까요. 공장에서 옷을 만들어 주거나 집을 만들어 주지 않으니까요. 공산품 먹을거리가 넘친다지만, 어떠한 공산품이라 하더라도 ‘흙에서 태어’납니다. 흙이 없고서야 어떠한 공산품도 태어날 수 없어요.

 

 흙에서 거두고서야 비로소 공장이 움직입니다. 흙에서 일구어 얻은 다음에야 비로소 도시가 섭니다. 흙에서 가꾼 사랑이 있기에 사람이 숨을 쉴 수 있어요.


.. 그리하여 우리네 들판으로 하여금 / 더 이상 도시의 곡물지대가 되도록 하지 말자 / 그리하여 우리네 마을로 하여금 더 / 더 이상 도시의 상품시장이 되도록 하지 말자 / 그리하여 우리네 아들딸로 하여금 / 이 세상 잘난 놈들의 값진 고용살이 되도록 하지 말자 ..  (농부의 일)


 김남주 님 시집 《나의 칼 나의 피》(실천문학사,1987)를 읽습니다. 사람들은 김남주 시인을 일컬어 으레 ‘혁명전사’라 말하지만, 나는 김남주 시인은 혁명전사라 말할 수 없다고 느낍니다. 아니, 혁명전사이기는 혁명전사입니다. ‘낫을 들고 쟁기를 들어 흙을 일구는 혁명전사’입니다. 김남주 시인부터 스스로 낫을 들고 쟁기를 들어 살림을 꾸리는 흙일꾼이 되는 혁명전사예요.


.. 흔해빠져 아무도 눈여겨보지 않으면서도 / 내가 없으면, 일분 일초도 없으면 / 세상은 순식간에 죽음의 바다, 나는 농민이다 ..  (농민)


 김남주 시인한테 ‘농민시인’이라는 이름도 걸맞지 않습니다. 애써 이름을 붙이려면 ‘혁명전사’가 맞습니다만, 어디에서 누구랑 무엇을 하는 혁명전사인가 하고 따지면, 바로 시골마을 조그마한 집에서 살붙이들과 땅을 일구는 흙빛 눈물이랑 흙내음 웃음 꽃피우는 혁명전사 시인이에요.

 

 흙을 노래하기에 낫을 듭니다. 흙을 꿈꾸기에 쟁기를 듭니다. 흙을 부여잡고 디디기에 혁명을 외칩니다. 흙하고 한몸뚱이가 되어 얼크러지기에 전사로 거듭나요. 흙에 입맞추고 흙에 몸을 누이기에 어여쁜 사람입니다.


.. 암흑의 / 시대의 / 시인의 일 그것은 무엇일까 / 침묵일까 / 관망일까 / 도피일까 / 밑 모를 한(恨)의 바다 넋두리일까 ..  (시인이여)


 해마다 한 차례쯤 김남주 시인 시집을 새로 읽으며 생각합니다. 아직 도시에서 살아가던 지난날에는 그야말로 머리로만 김남주 님 시를 읽으려고만 했다고 느낍니다. 이제 시골마을로 살림을 옮겨 살아가는 오늘날에는 조금씩 머리 아닌 몸으로, 생각 아닌 손발로 김남주 님 시를 만날 수 있다고 느낍니다.

 

 다만, 내 삶터는 시골마을이나, 내 몸뚱이는 아직 시골사람이 아닙니다. 날마다 기쁘게 밟을 흙땅을 제대로 마련하지 못했어요. 아이들과 마음껏 뛰놀며 부여잡을 흙땅을 넉넉히 건사하지 못했어요.

 

 이제 나는 어떻게든 오천 평을 마련하자고, 오백 평이나 쉰 평이라도 먼저 마련하자고, 우리들부터 예쁘게 살아갈 좋은 흙집과 흙땅과 흙터로 흙누리를 이루자고 생각합니다. 이렇게 흙꿈을 꾸는 흙사랑을 시나브로 이룬다면, 나와 옆지기와 아이들은 언젠가 흙사람이 되어 흙빛 고이 감도는 흙이야기인 《나의 칼 나의 피》를 참다이 받아들일 수 있으리라 생각합니다.


.. 사랑만이 / 겨울을 이기고 / 봄을 기다릴 줄 안다 ..  (사랑 1)


 그러니까, 김남주 님한테 당신 칼은 당신 낫이며 쟁기요 호미입니다. 김남주 님한테 당신 피는 당신 흙이며 햇살이고 눈비입니다.

 

 썩썩 베는 낫질이 시로 태어납니다. 쿡쿡 엎는 쟁기질이 시로 거듭납니다. 콕콕 쪼는 호미질이 시라는 숨결을 얻습니다.

 

 칼춤이란 호미춤입니다. 칼노래란 낫노래입니다. 칼바람이란 쟁기바람입니다.

 

 고운 햇살 받아먹은 곡식과 푸성귀를 거두어 먹는 사람은 새로 태어납니다. 싱그러운 목숨을 온몸으로 받아들이며 빛나는 몸뚱이로 다시 태어납니다. 빛나는 몸뚱이는 빛나는 넋입니다. 빛나는 넋은 빛나는 말입니다.

 

 그예 김남주 님은 차갑고 어두우며 풀포기 하나 없는 감방에 갇혀야 했으나, 스스로 흙사람이라는 꿈을 잊지 않았기에 시를 썼어요. 메말라붙은 시멘트바닥이 동서남북 꽁꽁 둘러싸고 쇠사슬과 쇠몽둥이와 쇠창살로 얽혀야 했으나, 스스로 흙사람이라는 사랑을 언제나 되새겼기에 시를 남겼어요.


.. 내가 손을 내밀면 / 내 손에 와서 고와지는 햇살 / 내가 볼을 내밀면 / 내 볼에 와서 다스워지는 햇살 / 깊어가는 가을과 함께 / 자꾸자꾸 자라나 / 다람쥐 꼬리만큼은 자라나 / 내 목에 와서 감기면 / 누이가 짜준 목도리가 되고 / 내 입술에 와서 닿으면 / 그녀와 주고받고는 했던 / 옛추억의 사랑이 되기도 한다 ..  (창살에 햇살이)


 사랑하고 싶습니다. 살아가고 싶습니다. 생각하고 싶습니다. 나는 내 칼을 쥐고 싶습니다. 나는 내 피를 물려주고 싶습니다. (4345.2.9.나무.ㅎㄲㅅㄱ)

 


댓글(2)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진주 2012-02-09 10:13   좋아요 0 | URL
언젠가 김남주 시인 육성으로 녹음된 시를 들었어요. 시는 제목도 잊어버렸는데 그 목소리는 기억나요. 카랑카랑하면서도 힘있는 목소리였죠.

오옷! 이것이 1000번째 느낌글인가요!

오신지 얼마 안 되었는데 언제 이렇게 많이 쓰셨을까요! 처음에 산들보라 똥기저귀며 식구들 빨래거리를 일일이 손빨래 하시는 보고 모니터 이 편에서 얼마나 놀랐게요. 하긴 그땐 님 서재에 와선 그런 인사치레도 남길 수 없었죠. 왠지 맞춤법이나 낱말을 한 톨도 틀리지 않고 맞게 써야 할 것 같아서..ㅎㅎ 서재 마실 다니시는 된장 님을 보면 이제 이 동네 주민 다 되셨구나 싶어요^^ 주민이 뭐예요? 터줏대감이신걸요.<--악..터줏대감도 '임자'로 벼루어야 하나요?(터줏대감이 일본식 말이라고 하던데 정말인가요?)

숲노래 2012-02-09 10:17   좋아요 0 | URL
저한테도 김남주 육성 시낭송 테이프 있었는데,
어느 날 누가 훔쳐갔어요 ㅠ.ㅜ

목소리를 듣고 나서는
시읽기가 한결 달라졌어요.
그 목소리를 떠올리며
이 대목은 또 어떻게 읽는가 하고
생각할 수 있었거든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