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골신문 읽기 1 : 1만 원입니다
네 식구 면으로 마실을 다녀온다. 우체국에 들를 일이 있어 열두 시 반 즈음 길을 나선다. 열두 시 반에는 읍내에서 우리 마을 앞을 거쳐 면내로 가는 버스가 떠나니, 조금 걷다 보면 군내버스를 만나리라 생각하며 시골길을 걷는다. 동백마을에서 신기마을 거쳐 원산마을 앞을 지날 때까지는 바람 한 점 없이 포근한 낮. 원산마을 지나 호덕마을로 들어설 무렵에는 바람이 싱 분다. 아이, 차갑구나. 문득 뒤를 돌아보니 군내버스가 싱싱 달려온다. 옳거니, 아이들 태우고 버스에 타자.
버스삯 1100원씩 2200원을 내고 탄다. 우체국에 들러 아이들 세뱃돈을 통장에 넣는다. 둘째 아이 통장 뒤쪽이 읽히지 않아 새로 해야 한다며 서류를 떼야 해서 면사무소에 가기로 한다. 면사무소에서 서류를 떼며 〈고흥신문〉 한 부 얻는다. 집으로 돌아오는 길도 군내버스를 타며 2200원을 낸다. 마을 어르신을 버스에서 뵙는다. 아침에 버스 타고 나와서 동창모임 사람들하고 어울려 논 다음 낮 즈음 해서 버스 타고 집으로 돌아오신다고, 2200원이면 즐거이 놀 수 있다고 말씀한다.
아이들과 복닥이며 지친 몸을 두 시간 즈음 드러누워 풀고는, 낮에 면내에서 챙긴 〈고흥신문〉을 읽는다. 오로지 고흥군에서만 받아서 읽을 수 있는 이 신문에는, 〈농어민신문〉 같은 데에서조차 읽을 수 없는 이야기가 실린다. 생각해 보면, 전라남도 지역신문이더라도 고흥이나 장흥 이야기를 알뜰히 담지 못한다. 광주에서 나오는 지역신문이라지만 고흥이나 화순 이야기를 알차게 담을까. 서울에서 나온다는 중앙일간지에서는 고흥이든 담양이든 시골마을 이야기를 어느 만큼 담으려나.
“한우파동, 사료값 인상 생산비도 못 건져”라는 이름이 붙은 글을 읽는다. 마을 어르신들 모인 자리에서 ‘소값이 3만 원이니 어쩌니’ 하는 말을 곧잘 들었기에, 뭔 소리인가 했다. 신문글을 읽으니, 참말 소값이 지난 12월부터 폭삭 주저앉아, 젖소 수컷은 지난 2011년 12월에는 2만 4천 원이었고, 새해 1월부터는 1만 원이란다. 한우 암컷은 아직 360만 원이라지만 지난해에는 438만 원이었고 그러께에는 630만 원이었단다. 그러면, 세 해 앞서나 네 해 앞서는 얼마였을까. 틀림없이 해마다 떨어지는 소값이었으니까, 다섯 해 앞서나 여섯 해 앞서는 더 높았겠지. 그리고, 해마다 소값이 폭삭 주저앉는다며 시골마을 어르신들 모두 눈물을 흘렸겠지.
이러한 이야기가 얼마나 중앙일간지에 실리나 궁금하기에 인터넷을 켜고 살펴본다. 중앙일간지에서는 소값이 얼마에서 얼마로 떨어졌는가 하는 이야기를 찾아볼 길이 없다. ‘소값 폭락’이나 ‘소값 파동’이라는 말마디는 보여도, 정작 소값이 얼마나 되는가를 옳게 알아보고 제대로 다루는 글은 거의 찾아볼 길이 없다.
그러면, 중앙일간지를 읽을 도시사람은 소값이 어떠한가를 어느 만큼 알까. 소 한 마리를 ‘고기를 얻을 만큼’ 기르기까지 사료를 얼마나 먹여야 하고, 어떻게 돌봐야 하는가를 어느 만큼 살갗으로 헤아릴까.
그래, 젖소 수컷 한 마리에 1만 원. 그러면, 이 젖소 수컷 한 마리를 잡을 때에 돈을 얼마나 치러야 할까. 젖소 수컷을 팔아야 하는 시골사람은 돈 한 푼을 쥐기는커녕 외려 돈을 물어야 하는 판이다. 그렇다고 구덩이를 파고 날목숨을 죽일 수 있을까. 시골마을에서 스스로 소를 잡아 먹도록 할 수 있을까.
소값이 떨어지는 까닭은 딱 하나이다. 한미자유무역협정 때문이다. 그런데 한미자유무역협정을 맺으려 하는 까닭은 경제발전이 된다고 여기기 때문이다. 경제발전을 꾀하는 이 나라인 까닭에 자동차 공장은 밤새 불을 밝히고, 손전화 만드는 공장 또한 쉴새없이 돌아간다. 사람들은 원자력발전소나 화력발전소에서 만든 전기를 쓰는 전자제품을 집안 가득 들이고, 회사에서 달삯쟁이로 한삶을 누린다. 고기집에서 고기값이 떨어질 일은 없다. 아마, 고기집에서는 수입 소고기 아닌 한국 소고기를 다룬다면 훨씬 적은 값으로 장만해서 더 비싼 값으로 팔 수 있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