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량한 말 바로잡기
(1139) 설명 1 : 긴 설명은
.. 이 글에 대해서도 긴 설명은 하지 않겠다 .. 《이오덕-삶·문학·교육》(종로서적,1987) 138쪽
“이 글에 대(對)해서도”는 “이 글도”나 “이 글을 놓고도”나 “이 글을 두고도”로 다듬습니다.
설명(說明) : 어떤 일이나 대상의 내용을 상대편이 잘 알 수 있도록 밝혀 말함
- 새 기획안에 대한 설명이 끝나자 질문이 쏟아졌다 /
친구의 설명만으로는 문제가 이해되지 않아서 /
책에는 국어학의 주요 용어들이 잘 설명되어 있다 /
신자들에게 교리를 설명하다 / 학생들에게 인수 분해에 대해 설명해 주셨다
긴 설명은 하지 않겠다
→ 길게 말하지 않겠다
→ 길게 밝혀 말하지 않겠다
…
잘 알 수 있도록 밝혀 말하는 일이 ‘설명’이라고 합니다. 그러면 한 마디로 ‘밝혀 말하다’라 하면 어떨까 싶습니다. 아예 ‘밝혀말하다’를 한 낱말로 삼을 수 있고요. ‘밝혀말하기’처럼 써도 괜찮으리라 봅니다. ‘-말하기’를 뒷가지로 삼으면, ‘새겨말하기-깊이말하기-거듭말하기-가려말하기’처럼 적어 볼 수 있습니다.
설명이 끝나자 → 이야기가 끝나자
친구의 설명만으로는 → 동무가 해 준 말만으로는
잘 설명되어 있다 → 잘 풀이되었다
교리를 설명하다 → 교리를 들려주다
인수 분해에 대해 설명해 주셨다 → 인수 분해를 알려주셨다
“밝혀서 말하다”나 ‘밝혀말하다’로 적어도 괜찮고, ‘말하다’나 ‘이야기하다’로 적어도 괜찮습니다. 자리에 따라서 ‘들려주다’나 ‘알려주다’를 넣기도 하고, ‘풀이하다’를 넣기도 합니다.
이 글을 놓고 길게 이야기하지 않겠다
이 글을 길게 다루지 않겠다
다른 이가 쓴 글이나 책이 어떠한가를 밝히는 자리에서는 ‘다루다’라는 낱말을 넣으면 제법 어울립니다. ‘살피다’를 넣어도 어울리며, ‘살펴보다’도 퍽 어울립니다. (4339.8.24.나무./4341.7.11.쇠.ㅎㄲㅅㄱ)
알량한 말 바로잡기
(1571) 설명 2 : 설명해 주었다
.. 미유키 선생님은 코끝에 땀방울이 송송 맺힌 채 큰 소리로 설명해 주었다 .. 《하이타니 겐지로/김은하 옮김-우리 모두 가위바위보!》(예꿈,2008) 60쪽
아마 초등학교 교과서에도 ‘설명’이라는 한자말이 실리리라 생각합니다. 유치원이나 어린이집 교사들 또한 ‘설명’이라는 한자말로 아이들한테 ‘이야기’를 ‘들려주’거나 ‘풀이하’리라 생각합니다.
무언가를 ‘말하’거나 ‘밝히’거나 ‘알리’는 자리에서도 으레 ‘설명’이라는 한자말을 쓰리라 생각합니다.
어쩔 수 없다지만, 학교에서는 ‘설명문’을 읽힙니다. 설명하는 글이라서 설명문이라 하지만, 설명이란 풀이하는 일이나 밝히는 일입니다. 쉽게 생각하자면 이야기하거나 말하는 일을 한자말 설명으로 가리킵니다.
곰곰이 생각하면, 한국에서 한국 어린이한테 한국말을 가르치는 자리에서는 ‘설명문’ 아닌 ‘밝힘글’이라는 이름을 지어 가르쳐야 마땅합니다. 뭉뚱그려 설명문이라 하지 말고, 풀이글·밝힘글·알림글·얘기글이 어느 자리에서 어떻게 달리 쓰이는가를 찬찬히 헤아리면서 옳고 바르게 가르쳐야 합니다.
큰 소리로 설명해 주었다
→ 큰 소리로 이야기해 주었다
→ 큰 소리로 얘기해 주었다
→ 큰 소리로 풀이해 주었다
…
어른으로서 아이한테 이야기해 줄 노릇입니다. 어른으로서 아이가 들려주는 생각을 귀담아 들을 노릇입니다. 서로서로 좋은 생각을 밝히고, 서로서로 기쁜 넋을 알릴 노릇입니다. 아름다운 꿈을 이야기하고, 아름다운 사랑을 꽃피울 노릇이에요.
큰 소리로 잘 알려주었다
큰 소리로 차근차근 들려주었다
큰 소리로 똑똑히 이야기했다
차근차근 말하면 돼요. 똑똑히 이야기하면 돼요. 잘 알려주면 돼요. 우리들 좋은 터에서 우리들 좋은 넋을 우리들 좋은 말에 담아 착하고 참다우며 곱게 주고받으면 돼요. (4345.1.16.달.ㅎㄲㅅ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