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하철 헌화가 - 번역가 이종인의 책과 인생에 대한 따뜻한 기록
이종인 지음 / 즐거운상상 / 2008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번역을 잘하는 길이 있다면
 [책읽기 삶읽기 95] 이종인, 《지하철 헌화가》(즐거운상상,2008)

 


 새로운 책이 태어납니다. 먼저 태어난 책이 즐거이 힘겨이 고마이 숨을 잇다가는 어느결에 조용히 숨을 거두면서 새책방 책꽂이에서 슬그머니 사라집니다. 새책방이라는 곳이 새로 나오는 책들을 모조리 건사하려고 크기를 키우는 일이 드뭅니다. 도서관이라는 데가 새로 나오는 책을 알뜰히 건사하겠다며 건물을 늘리는 일이 드뭅니다. 이 나라에서는 새로 나오는 책에 발맞추어 묵은 책들은 하나둘 자리를 내주며 어디론가 사라져야 합니다.

 

 내가 살아온 나날을 가만히 되짚습니다. 나는 우리 네 식구와 함께 살면서도 여러 차례 살림집을 옮겼습니다. 네 식구 살림집을 처음 옮기던 인천 골목동네에서는 더 시골스러운 골목집으로 옮겼고, 아예 시골로 옮긴 이듬해를 지나고 새해를 맞이한 다음에는, 더 깊다 하는 시골로 옮겼습니다. 그런데 이런 집옮기기를 살피자니, 시골스러운 살림도 시골스러운 살림이지만, 책을 건사하는 자리가 늘 더 넓어지고 커집니다.


.. 장모님은 내가 ‘믿을 만한 직장에 다니는 보통 남자’라는 점 하나만 보고서 딸을 나에게 줄 생각을 하셨다는 것이다 … 아내는 신혼 9개월 동안 도곡동의 영동아파트에서 단둘이 살던 시절을 제외하고는 고생의 연속이었다. 당시 건설회사를 다니던 나는 결혼 9개월 만에 사우디아라비아로 파견되어 3년 동안 헤어져 살아야 했다 … 내가 없는 동안 아내는 매운 시집살이를 했다. 그때 아내가 보낸 편지들은 사우디아라비아 생활을 견디게 해 준 큰 힘이었는데 ..  (32∼33쪽)


 앞으로 더 넓고 큰 데로 또 옮겨야 할 일은 없으리라 굳게 믿으며 오늘 네 식구 살아가는 보금자리를 아끼고 싶습니다. 새로 옮길 살림살이가 아니라, 튼튼히 뿌리내리면서 나중에 책자리를 새로 마련해서 늘리는 길을 꿈꾸고 싶습니다. 책에 따라 옮기는 삶이 아니라, 사람이 사랑스레 어우러지는 터에서 책이 나란히 어여삐 꿈날개를 펴도록 마음과 힘을 쏟고 싶어요.


.. 1994년 봄, 세 번째이자 마지막 직장인 한국 브리태니커를 그만두고 집에 돌아와 어머니와 아내에게 이제 번역을 하면서 생계를 꾸려 가겠다고 말하자 두 사람은 아주 난감해 했다 … 결국 아내는 내가 전업 번역가 생활을 시작하는 것과 거의 비슷한 시기에 아동복 가게를 내어 생활 전선에 뛰어들었다 ..  (56∼57쪽)


 어머니나 아버지가 책을 읽으며 마음을 다스리면, 아이는 저절로 곁에서 책을 읽으며 마음을 다스립니다. 다만, 책만 읽는다면, 그저 책에만 파고든다면, 온통 책에만 마음을 빼앗긴다면, 아이들은 어버이 책읽기 삶을 기쁘게 받아안지 못해요. 삶이 있고 책이 있어야 해요. 삶으로 녹아드는 책읽기여야 해요. 삶을 알뜰히 꾸리면서 책을 즐기는 나날이어야 해요.

 

 맛나게 밥을 짓고 나서 배부른 몸을 쉬면서 책을 읽습니다. 신나게 옷을 빨래하고 널고 개고 옷장에 넣고 나서 기지개를 켜면서 책을 읽습니다. 아이들 먼저 재우고 나서 십 분쯤 눈에 힘을 주면서 책 몇 쪽 펼치며 같이 잠듭니다. 홀로 볼일 보러 도시로 살짝 다녀올 때에 버스길이나 기차길에서 책을 읽습니다.

 

 좋은 삶이기에 좋은 책을 살피며 좋은 이야기를 얻습니다. 좋은 이야기 얻은 좋은 책을 발판 삼아 내 하루를 좋은 나날이 되도록 더 좋은 힘을 냅니다.

 

 지식을 쌓으려고 책을 읽지 못합니다. 책을 읽는들 지식이 쌓이지 않습니다. 자격증을 따거나 시험에 붙거나 무엇무엇을 꾀하며 책을 읽는 사람이 많다지만, 막상 책을 읽어 자격증을 따거나 시험에 붙을 수 없어요. 책은 자격증도 시험문제도 돈도 자기계발도 아니거든요. 책은 오로지 책을 쓴 사람과 책을 읽는 사람들 삶을 빛내는 좋은 길동무이거든요.

 

 길동무로 느끼지 못한다면 책을 읽어 본들 삶이 나아지지 않아요. 길동무로 삼지 않는다면 책을 많이 파거나 다루거나 내거나 만지더라도 책으로 일구는 사랑씨앗이 무엇인지 알아채거나 느끼거나 받아들이지 못해요.

 

 책이 마음밥이 된다면, 내 마음을 따사로이 보듬으면서 내 삶을 더욱 힘차게 일구는 발판이 되기 때문이에요. 몸을 살찌우는 밥을 지나치게 먹거나 너무 덜 먹어서는 몸이 버티지 못하듯, 마음을 살찌우는 밥이라면 한켠으로 치우쳐서 먹으면 안 될 뿐 아니라, 마음밥을 먹으면 이렇게 먹은 대로 삶을 사랑스레 돌봐야지요. 마음을 살찌우는 밥이라면 어떠한 밥(책)을 찾아서 먹어야 할까요. 몸을 살찌우는 밥을 아무것이나 아무렇게나 장만해서 입에 쑤셔넣어도 되지 않겠지요. ‘자기계발’을 한다며 밥을 아무렇게나 먹어도 되나요. ‘자격증’이나 ‘시험문제’에 맞추어 아무 밥이나 함부로 먹어도 되나요.

 

 우리들은 누구나 돈이 아닌 삶을 바라보며 하루하루 사랑할 수 있어야 해요. 돈이 아닌 삶을 아끼면서 마음을 살찌울 책을 손에 쥐어야 해요.


.. 이 책들을 읽을 때마다 우리 조상이 이 아름다운 글들을 전부 한글로 썼더라면 얼마나 좋을까 하는 아쉬움을 억누르기가 어려웠다. 특히 문집총간에 들어 있는 수많은 명사들의 한문 문집을 보면서 이것들이 처음부터 한글로 씌어졌더라면 아니, 하다못해 번역이라도 되어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 하는 생각도 들었다 ..  (141쪽)


 번역하는 이종인 님이 내놓은 산문책 《지하철 헌화가》(즐거운상상,2008)를 읽습니다. 번역하는 이야기랑, 이종인 님이 살아온 나날을 찬찬히 들려주는 이야기를 싣는 산문책입니다. 이종인 님은 대단한 사람이 아니요, 대단한 책을 옮긴 사람이 아닙니다. 이 산문책 또한 대단하지 않아요.

 

 대단한 글을 쓰는 사람은 없습니다. 대단한 책 또한 없습니다. 저마다 아끼거나 사랑할 좋은 터전에서 좋은 삶을 누리면서 쓰는 글이고 엮는 책입니다. 나라밖에서 나온 이와 같은 ‘좋은 터전에서 좋은 삶을 누리면서 쓴 글’을 한글로 옮기는 일 또한 ‘더 좋은 일’이 아니라, 수수하면서 투박한 삶이에요.


.. 당시 서울 시내 헌책방이라면 어디든 다 가 보겠다고 생각하던 어느 날 우연히 중대 앞을 지나다가 허름한 헌책방 하나를 발견했다. 오래 전이라 서점의 이름은 기억이 나지 않으나 아주 착하게 생긴 아주머니 한 분이 가게를 보고 있었다. 몇 권의 책을 고르니 아주머니가 내 눈치를 보면서 가격을 말하곤 너무 비싸게 부르지 않았느냐고 물어 보는 것이었다. 분명 싼값이었는데 나는 더 깎아 달라고 했던 것 같다 ..  (142∼143쪽)


 나는 《지하철 헌화가》를 읽으며 다른 어느 글보다 헌책방 나들이를 즐긴 삶을 찬찬히 읽습니다. 찬찬히 읽다가 몇 군데에서 아차 싶도록 아픕니다. 이종인 님은 헌책방에서 곧잘 에누리를 하는 분이었군요. 헌책방에서 책방 일꾼이 부르는 책값을 함부로 깎지 말자는 이야기를 붙이기도 하지만, 막상 이종인 님은 당신도 모르게 책값 에누리를 하기도 했다고 스스럼없이 털어놓습니다.

 

 누구나 이와 비슷해요. 헌책방에서 에누리 안 하며 기쁘게 책값을 고스란히 치르는 사람이란 아주아주 드물어요. 거의 없다시피 해요. 헌책방은 책을 싸게 사는 곳이 아니라, ‘어느 한 사람 손을 거쳐 어느 한 사람 집에서 빠져나온 책’을 사고파는 곳이에요. ‘어느 한 사람 손을 거쳤으되 어느 한 사람 집에 더는 머물 수 없는 책’이 흘러나와 이 책들을 고이 모시거나 섬기거나 다루면서 사고파는 헌책방이에요.


.. 외국어 실력이 곧 번역 실력은 아니다. 번역을 시작하려는 많은 사람들이 이렇게 오해하고 있는데 그런 사람일수록 자신의 번역 실력을 테스트 받는 것이 필요하다 ..  (59쪽)


 외국말을 잘한대서 번역을 잘할 수 없습니다. 거꾸로, 한국말을 잘한대서 국어교사나 국어학자 노릇을 잘한달 수 없어요. 더구나, 외국말 잘하고 한국말 잘하기에 번역이나 통역을 잘할 수 있을까요.

 

 나는 생각합니다. 번역이든 통역이든 하려면 말만 잘해서는 안 돼요. 사람으로서 됨됨이가 착하고 아름다울 수 있어야 해요.

 

 대통령은 아무나 할 수 없어요. 일하는 솜씨가 틀림없이 있어야 하고, 웬만큼 똑똑하기도 해야 할 테지만, 이보다 훨씬 더 대수로운 대목은 대통령 되려 하는 사람이 참말 착하고 아름다운가예요. 착하고 아름답지 않다면 대통령이 되어서는 안 되고, 공무원이 되어서도 안 되며, 교사가 되어서도 안 돼요.

 

 착하고 아름답지 않다면 어버이 노릇을 해서도 안 되며, 동무 구실조차 할 수 없으며, 장사꾼이 될 수도 없어요. 착하고 아름다울 때에 비로소 출판사 편집자 일을 합니다. 착하고 아름다울 때에 바야흐로 번역쟁이 일을 맡고, 만화쟁이가 되며, 노래쟁이 글쟁이 춤쟁이 사진쟁이 영화쟁이 같은 길을 걸어요. 무엇보다 온누리 지구별에서 더할 나위 없이 착하고 아름다운 넋이기에 흙을 만지며 흙에서 목숨을 거두는 일꾼으로 살아갈 수 있어요. (4345.1.8.해.ㅎㄲㅅㄱ)


― 지하철 헌화가 (이종인 글,즐거운상상 펴냄,2008.1.10./1만 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