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으로 보는 삶
 ― 사진을 찍어랏


 

 춤추고 노래하며 하모니카를 부는 네 살 딸아이가 작은 사진기를 들고 아버지한테 달려옵니다. 아버지가 쓰는 ‘큰’ 사진기로 찍지 말고, 아이가 쓰는 ‘작은’ 사진기로 찍어 달라 합니다. 아버지가 쓰는 큰 사진기에는 동영상찍기가 없고 아이가 쓰는 작은 사진기에는 동영상찍기가 있습니다. 아이는 작은 사진기로 동영상을 담아 달라고 바랍니다.

 

 “벼리야, 사진을 안 찍어도 되잖아. 그냥 즐겁게 노래하고 춤추면 돼.” 그러나 아이는 애써 제 모습을 찍어 달라 바랍니다.

 

 새벽 한 시 오십오 분. 잘 자던 아이가 낑낑댑니다. 쉬 마려워 낑낑댑니다. 옆에서 어머니가 아이보고 일어나라 합니다. 아이는 아버지를 부릅니다. 아이 어머니는 아이 스스로 일어나서 쉬를 누도록 해야 한다고 말합니다. 그러나 아버지는 버릇처럼 잠을 깨고 일어나고 맙니다. 아이가 되든 옆지기가 되든, 깊은 밤이건 한낮이건 곁에서 무얼 거들라며 부르면 달려가 버릇합니다.

 

 아이는 쉬를 누고 자리에 눕습니다. 이불을 여밉니다. 아버지는 다시 눕지 않습니다. 기지개를 켜고, 셈틀을 켭니다. 오늘 하루 찍은 사진을 갈무리합니다. 어제 찍은 사진은 어제 갈무리하지 못했습니다. 이틀치 사진이 이백팔십 장이 넘습니다. 어디 멀리 나다니지 않고 집에서 네 식구 복닥이는 삶을 담은 사진입니다. 세 식구일 때에도 세 사람 삶을 사진으로 날마다 백 장 즈음 담았고, 네 식구일 때에도 네 사람 삶을 사진으로 나날이 백 장 남짓 담습니다. 엊저녁에는 딸아이가 춤과 노래와 하모니카를 실컷 보여주는 바람에 사진을 더 많이 찍었습니다.

 

 아이가 춤추고 노래하며 하모니카 부는 모습을 담은 사진을 하나하나 들여다봅니다. 참 밝고 귀엽습니다. 참 웃기고 재미납니다. 이 아이가 아버지보고 사진을 찍어 달라고 달려오는 일을 번거롭게 여긴 적은 없습니다. 너무 많이 찍을 수는 없고, 애써 모두 찍을 수 없으니, 때때로 손사래를 칩니다. 그런데, 아이를 찍은 사진을 가만히 바라보면서 좀 달리 생각합니다. 아니, 이렇게 즐거이 노는 아이라 한다면 더 찍을 수 있지 않나. 아이가 무대를 스스로 만들어 놀 때에는 따사로이 바라보면서 찍고, 아이를 업거나 아이 손을 잡으며 놀 때에는 사진기를 들 수 없으니 서로 따사롭게 바라보며 마음으로 아이 삶을 담으면 돼요.

 

 아버지가 “이제 그만 찍자, 그만 찍어.” 하고 손사래를 치니, 아이는 한손으로 하모니카를 불면서 한손으로 사진기를 들이밉니다. 그래, 내가 어떻게 너한테 이기겠니. 왼손으로는 작은 사진기를 들고 동영상을 켭니다. 오른손으로는 큰 사진기를 들고 단추를 누릅니다. 작은 사진기 동영상에는 오른손으로 단추를 누르며 내는 소리 ‘찰칵’이 함께 담깁니다. (4344.12.16.쇠.ㅎㄲㅅㄱ)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