겹말 손질 330 : 버림받은 유기견
.. “그 개는 버림받은 유기견인데, 나쁜 녀석들이 괴롭히는 걸 보고, 사쿠라 형이 말리러 갔다가 싸움이 벌어져서.” .. 《후지모토 유키/김진수 옮김-녀왔어 노래 (1)》(대원씨아이,2011) 16쪽
“괴롭히는 걸 보고”는 “괴롭히는 모습을 보고”나 “괴롭히는 짓을 보고”로 다듬습니다.
유기견 : x
유기(遺棄) : 내다 버림
- 시체를 유기하다 /
불의에 침묵하는 것은 지성인의 사회적 책임을 유기하는 행위이다
버림받은 유기견인데
→ 버림받은 개인데
→ 버려진 개인데
…
요사이 퍽 쉬 들을 수 있는 ‘유기견’이라는 낱말인데, 이 낱말은 국어사전에 안 실립니다. 국어사전 올림말 다루는 법을 살피면, 국어사전에 안 실린 ‘유기견’은 띄어서 적어야 알맞습니다. 그러나 이 낱말을 ‘유기 견’처럼 띄어서 쓰는 사람은 없어요. 어쩌면 ‘유기견’은 붙여서 적어야 알맞다 할는지 모르는데, “버려진 고양이”를 가리킬 한자말 ‘유기猫’는 어떻게 될까요. 소를 버릴 사람은 없을 테지만, ‘유기牛’는 어떻게 바라보아야 할까요. ‘유기鳥’나 ‘유기豚’은 또 어떻게 다루어야 할까요.
사람이 집에서 예쁘게 여기면서 기르다가 내다 버렸기에 ‘버린 짐승’이라 일컫습니다. 곰곰이 생각하자면, ‘유기견’을 한 낱말로 삼아서 쓰는 말법이라 할 때에는 ‘버린짐승’ 또한 한 낱말로 삼는 말틀을 세울 수 있어야 합니다. 그리고, ‘버린짐승’에서 가지를 칠 ‘버린개’와 ‘버린고양이’도 새로운 낱말로 삼을 수 있어야 올발라요.
시체를 유기하다 → 주검을 버리다
불의에 침묵하는 것은 지성인의 사회적 책임을 유기하는 행위이다
→ 나쁜 짓에 입다문다면 지성인으로서 질 몫을 내다 버리는 셈이다
→ 나쁜 짓에 눈감는 모습은 지성인이 짊어질 몫을 내팽개치는 꼴이다
…
개나 고양이는 처음부터 그저 개나 고양이입니다. 길개나 길고양이 아닌 개나 고양이입니다. 들개나 들고양이 또한 아닌 개나 고양이예요.
사람들은 개와 고양이를 집개와 집고양이로 바꿉니다. 이러다가는 내다 버려 ‘버린개’와 ‘버린고양이’로 바꾸고 말아요.
다시금 생각한다면, 말짓기를 돌아볼 때에는 ‘버린짐승’과 같은 꼴을 세우는 일이 걸맞다 할 터이나, 굳이 이렇게 말틀을 세우기보다는 “버림받은 개”처럼 적바림하기만 하면 넉넉하리라 느낍니다.
“그 개는 버림받았는데”나 “그 개는 버려졌는데”처럼 적으면 돼요. “그 개는 기르는 임자가 없는데”라든지 “그 개는 돌보는 사람이 없는데”처럼 적을 수 있어요. (4344.12.15.나무.ㅎㄲㅅ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