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으로 보는 삶
― 사진으로 보는 삶
나는 어디를 가든 사진기를 갖고 갑니다. 따로 사진 찍을 만한 일이 있든 없든 노상 사진기를 챙깁니다. 짐을 실어 나를 때에도 사진기를 두릅니다. 무논에 들어가 손으로 모를 심을 때에도 목에는 사진기를 걸었습니다. 사진 찍을 오른손은 안 쓰고 왼손으로만 모를 심었어요. 갓난쟁이를 안고 한두 시간 마실을 하더라도 목에 사진기를 겁니다. 네 살 아이랑 둘이 읍내 마실을 다녀오며 가방 가득 먹을거리를 장만하고는 무거운 발걸음을 옮기면서 새근새근 잠든 아이는 품에 안으면서도 어깨에는 사진기를 걸쳤어요. 우체국에 가든 빵집에 가든 면사무소에 가든 사진기는 내 어깨에 있습니다.
내 어깨나 목에 걸린 사진기를 보는 분들은 으레 묻습니다. “사진 찍으셔요?” “사진가셔요?” 나는 사진작가는 아니라고 이야기합니다. 무어 찍을 만한 모습이 있느냐고 여쭈면 “언제라도 찍고 싶은 모습이 있으면 찍어요.” 하고 이야기합니다. 무슨 사진을 찍느냐고 여쭈면, “집에서 아이들 찍어요. 아이들 찍는 사진으로도 찍을 사진이 아주 많아요.” 하고 이야기합니다.
내 첫째 사진감은 ‘헌책방’입니다. 그러나, 아이를 낳고 시골로 살림집 옮기면서 헌책방 마실을 좀처럼 못 하고, 헌책방 마실을 좀처럼 못 하니까 헌책방 사진을 거의 못 찍는 나날입니다. 내 둘째 사진감은 ‘인천 골목길’입니다. 그렇지만, 인천을 떠난 지 이태가 되고 보니 인천 골목길을 찍을 일이 없어요.
내 셋째 사진감은 저절로 옆지기랑 아이들이 됩니다. 나는 내 살붙이를 사진으로 담으면서 살아갑니다. 나까지 네 식구로 지내기 앞서 늘 자전거로 움직였기에 틈틈이 자전거를 사진으로 담기도 했는데, 아이를 자전거수레에 태워 자전거마실을 하며 찍는 사진도 퍽 즐겁습니다.
내 몸이 고단하지 않다면, 무너질 듯 힘겹거나 벅차지 않다면, 나는 우리 집에서 우리 아이들 사진을 백 장 남짓 쉽게 찍습니다. 아이들 눈빛과 눈길과 낯빛과 얼굴 모두 사랑스러워요. 사랑스러우면서 따사로운 이야기를 사진 하나에 깃들이고 싶어 사진기 단추를 눌러요.
시골자락 조그마한 집에서 《아프가니스탄 산골학교 아이들》이라는 사진책을 보면서 생각합니다. 이야, 이 일본 사진쟁이는 아프가니스탄에서 해맑고 착한 아이들을 두루 만나며 사랑스럽고 따사로운 사진을 얻는구나, 참 좋다. 그래서 나는 우리 집에서 태어나 자라는 아이들을 바라보면서 ‘얘들아, 너희 아버지는 너희를 바라보며 사랑스러움과 따사로움을 느끼기에 너희를 담는 아버지 사진은 사랑스러움과 따사로움이 묻어날 수 있으면 즐겁고 넉넉해.’ 하고 생각합니다.
이불쓰기 놀이를 하는 두 아이를 바라보며, 아니, 동생이랑 이불쓰기 놀이를 하며 밤잠을 미루고 노는 첫째 아이 예쁜 짓을 바라보며, 몇 시인데 잠을 안 자니 하며 걱정스레 말하다가도 사진기를 집어들지 않을 수 없습니다. 나는 우리 집에서 ‘내 아이 다큐사진’을 날마다 신나게 찍습니다. (4344.11.2.물.ㅎㄲㅅ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