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전거쪽지 2011.6.30.
 : 집일에 치이는 일꾼이 장마당 마실



- 요즈음 들어 몹시 갑갑하다고 느낀다. 둘째가 태어난 뒤로 더없이 오래도록 집일에 얽히기 때문이 아니다. 집일을 도맡기로는 첫째가 태어난 뒤로도 이와 같았다. 돌이켜보면, 집에 아이가 둘일 때에는 아이가 하나일 때보다 훨씬 고되다 할 만한데, 집일이 많고 끝없기 때문에 고되지 않다. 둘레 사람들이 집일을 너무 모르기 때문에 고되면서 갑갑하다. 내 몸이 힘들거나 벅차기에 집일을 하며 기운이 빠지지 않는다. 오늘날 거의 모든 사람들은 ‘남자가 집일을 도맡는’ 줄 생각조차 하지 않는데다가 ‘여자라 해서 집일을 더 잘 알지’ 못한다. 생태와 환경을 걱정한다는 일꾼이라 해서 집일을 더 아끼거나 사랑한다고 느끼지 못한다. 진보와 평화와 평등을 바라는 일꾼이기에 집일을 더 즐기거나 좋아하면서 얼마나 고된 한편 보람이 가득한가를 느끼지 못한다. 나로서는 말로만 읊는 남녀평등이나 여남평등은 달갑지 않다. 가사노동분담이라는 말마디도 내키지 않는다. 집안일을 나누어 할 수 없다. 집안일은 누구나 다 할 줄 알아야 한다. 집에서 살아가는 식구라면 서로서로 집안일을 해야 한다. 어른은 어른대로 하고, 아이는 아이대로 할 집일이다. 집에서 한솥밭을 먹는 살붙이라 하면서 집일을 모른다면 집식구라 일컬을 수 없다고 느낀다.

- 사람들은 왜 집일을 모를까. 사람들은 왜 집일을 헤아리지 않을까. 사람들은 왜 집일을 하찮게 여길까. 사람들은 왜 집일하고 동떨어진 채 살아갈까. 내가 하지 않으면 다른 누군가 맡아야 할 집일이다. 하루 한두 시간을 거든다든지, 서너 시간을 거든대서 집안 모양이 나아질 수 없다. 아침에 일어나서 저녁까지 꾸준히 보살피거나 건사해야 할 집일이다.

- 날마다 열두 시간은 들여야 비로소 집이 집다울 수 있다고 느낀다. 그러나 나는 날마다 열두 시간까지 들이지는 못한다. 다른 일이 있기도 하고, 집식구 밥벌이를 해야 하며, 요사이에는 살림집과 도서관을 옮겨야 하는 터라 책짐을 싸느라 집일에 알뜰히 품을 들이지 못한다.

- 애 엄마 미역국을 끓여 먹이고, 장마철 사이 살짝 하늘이 갠 때를 살펴 기저귀를 잔뜩 빨아 바깥에 넌 다음, 둘째를 씻기고 나서 장마당 마실을 생각한다. 너무 늦으면 안 된다고 생각하지만, 자전거를 마당에 내놓고 아이를 태운 때는 네 시 반.

- 부지런히 달린다. 집으로 돌아올 때가 늦지 않도록 서둘러야 한다고 느낀다. 그러나 허둥지둥 다니고 싶지는 않다. 차근차근 발판을 밟으면서 앞으로 나아간다. 금왕 읍내로 가는 오르막을 달리면서, 아이가 뒤에 앉아 부르는 노랫소리를 듣는다. 오르막에서 땀이 뻘뻘 나지만, 왼쪽과 오른쪽으로 펼쳐지는 푸성귀밭과 능금밭과 복숭아밭을 바라보면서, 이 밭에는 무엇이 있고 저 나무에는 무엇이 열린다고 꾸준히 이야기한다. 지날 때마다 거듭 이야기하고, 볼 때마다 새삼스레 이야기한다.

- 어느새 첫째 꼭대기에 닿다. 이제 서른일곱 나이로 아이를 수레에 태우며 다니기란 퍽 만만하지 않은데, 요즈음 한 주에 두 차례쯤 아이랑 읍내 자전거마실을 하면서 가만히 돌아보면, 처음 아이랑 다닐 때보다 한결 수월하게 잘 다닌다고 느낀다. 오르막에서 기어 넣기도 꽤 가볍다. 곧 마흔 나이가 되는데, 마흔 나이가 되더라도 자전거를 달리는 기운은 조금씩 나아질 수 있는 셈인가. 만화영화 〈알프스 소녀 하이디〉에 나오는 할아버지는 퍽 늙은 할아버지인데에도 홀로 나무를 베고 지며 갖은 일을 도맡는다. 스스로 어떻게 살아가려 하느냐에 따라 몸 또한 잘 따라오는 셈일까.

- 오르막이 힘들면 길면서 가파르다고 느낀다. 오르막이 썩 힘들지 않으면 짧으면서 판판하다고 느낀다.

- 눈으로는 앞을 보거나 뒷거울로 자동차들 움직임을 살핀다. 발로는 내가 달리는 이 길이 내 몸에 어떠한가를 느낀다. 발판이 무겁다고 느끼면 안장에서 일어나 더 힘을 낸다. 이렇게 하고도 발판이 무거우면 기어를 넣는다. 눈으로 앞을 바라볼 때에 언덕이나 오르막이라서 기어를 넣어서는 안 된다고 자꾸 생각한다. 다 아는 일이라 하더라도 그때그때 다시금 생각한다. 언덕은 자전거 발판을 밟은 내 다리가 언덕이라고 느껴야 언덕이다.

- 뒷거울로 아이를 바라보다가 노래하며 노는 짓이 귀여워 뒷거울을 사진으로 찍어 보자고 생각한다. 흔들리기도 하지만 한두 장쯤 살릴 수 있겠지.

- 금왕 읍내를 오가자면 네찻길을 다니는 자동차가 너무 많을 뿐 아니라, 이 네찻길에서 자동차들은 ‘빨리 달리기 내기’라도 하듯 무시무시하게 달린다. 자전거 곁을 너무 아슬아슬하게 달린다. 오르막에서 기운이 빠지며 손목이 살짝 삐끗하다가 왼쪽으로 조금 꺾이면 무시무시하게 내달리는 자동차에 받힐까 걱정스럽다. 수레에 앉은 아이도 아버지가 이렇게 느끼는 줄 똑같이 느끼리라 본다.

- 금왕 읍내 장마당에서 느타리버섯과 알배추와 두부와 새우살과 양배추를 산다. 따로 더 살 먹을거리는 없다. 빵집에 들른다. 아이가 케익을 보더니 케익 노래를 부른다. 돌이켜보니, 오늘 6월 30일은 우리 식구가 인천을 떠나 시골자락으로 살림집을 옮긴 날이다. 케익을 언제 먹었는 지 생각나지 않는데, 오늘 모처럼 사 볼까.

- 집으로 돌아가는 길에 아이는 무척 졸리면서 잠을 안 잔다. 수레에서 자꾸자꾸 “케익 먹고 싶은데.” 하고 말하기에 “집에 가서 어머니하고 함께 먹어야지.” 하고 이야기한다. 몇 번 더 “케익 먹고 싶은데.” 하다가는 “케익 어머니하고 먹어요?” 하고 묻더니, 이내 “케익 집에 가서 어머니하고 먹어요?” 하고 묻는다. 오르막에서 땀을 비오듯 쏟는데, 이때에도 아이는 다시금 묻는다. 물이 되어 뚝뚝 떨어지는 땀방울로 범벅이 된 얼굴은 아마 시뻘겋겠지. 헉헉대는 숨을 몰아쉬다가 살살 고르며 “집에 가면 어머니하고 먹을 수 있으니까 조금만 참아 주셔요.” 하고 말한다.

- 마을 어귀에 들어서다. 비닐을 씌우지 않은 감자밭은 장마비에 흙이 다 쓸리면서 감자가 다 죽고 만 듯하다. 비닐을 씌운 곳은 장마비에도 흙이 쓸리지 않는 듯하다. 이제 시골마을에서는 비닐을 안 쓰면 흙을 일굴 수 없을까.

- 집에 닿다. 두 아이를 씻기고 나서 아버지도 씻는다. 밥상을 차리느라 부산을 떠는데, 아이는 케익을 먹고프다며 끝없이 노래를 부르고 케익 상자를 만지작거리다가 그만 케익을 엎는다. 아버지는 아이를 꾸짖고, 아이는 서럽게 운다. 밥상을 다 차리고 나서 밥을 먼저 먹은 뒤 케익을 먹는다. 케익을 먹는 모습을 바라보니 언제 울었느냐는 듯한 얼굴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