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심기 어린이


 첫째 아이는 곧 석 돌을 맞이한다. 석 돌을 맞이하는 아이와 함께 살아오면서 이 아이가 얼마나 몸과 마음으로 잘 느끼거나 아는가를 날마다 새롭게 깨닫는다. 아이가 모르는 일이란 없다. 어버이가 못 알아채거나 둘레 어른이 안 알아챌 뿐이다.

 아이가 물가를 거닌다. 그렇지만 물에 들어가지 않는다. 둘레 어른이나 언니 오빠 가운데 물에서 저를 아끼면서 즐거이 놀아 줄 만한 사람이 없는 줄 알기 때문이다. 장난걸기는 장난을 거는 쪽에서는 재미날는지 모르지만, 장난을 받는 쪽에서는 못마땅하거나 싫을 수밖에 없다.

 멧골학교 어린이와 어른이 손으로 모심기를 하던 어제, 아이는 논둑에서 얼쩡거리기만 한다. 아이한테는 무논 또한 똑같은 물가이다. 아이한테 무논은 퍽 깊은 물이요, 진흙이 폭폭 빠지니 아이로서는 자칫 숨을 거둘까 두렵다 느낄 수 있다.

 아이가 손으로 모를 알맞게 뜯어 진흙을 폭폭 밟으면서 물속에 손을 포옥 담그면서 살짝 쏙쏙 꽂는 모심기를 네 살 나이에 겪으면 퍽 좋으리라 생각했다. 그러나, 아이한테는 모심기가 되든 그냥 물놀이가 되든 헤엄치기가 되든, 아이가 물에서 걱정없이 놀거나 어울릴 수 있다고 깊이 느끼기 앞서는 논에 들어올 수 없겠지.

 볍씨에서 쑥쑥 올라온 모를 조금씩 뜯어 무논에 심으며 생각한다. 손모는 허리가 끊어지도록 하는 일이다. 쉴 수 없는 일이고, 서둘러 끝낼 일이다. 이 고된 일을 하는 사람들은 둘레에서 노래를 부르거나 춤을 추며 기운을 북돋는 누군가 있어야 하리라. 노래를 듣고 춤사위를 느끼면서 등판으로 내리쬐는 햇살을 잊고, 모를 꽂을 때마다 쿡쿡 쑤시는 허리를 잊어야 하리라.

 이제 거의 모든 논에서 논을 갈아엎거나 논삶이를 하거나 가을걷이를 하거나 볏짚을 털거나 하는 온갖 일은 기계가 맡는다. 모심기 또한 기계가 알뜰히 재빨리 해낸다. 손을 쓰는 일은 어리석다. 손을 써서 할 바에는 모든 일을 손을 써서 해야 할 테지. 자가용을 몰면서 무논에 손모를 심을 수는 없다. 아니, 자가용을 몰면서도 얼마든지 무논에 손모를 심을 수는 있다. 그러나 손모를 심는들 자가용을 모는 삶을 멈추지 않는다면, 무엇을 느끼거나 받아들일 수 있는지 잘 모르겠다.

 걷고 뛰고 달리고 서고 눕고 박차는 두 다리로 꼿꼿하게 살아가면서 흙과 물과 벼와 해와 숨을 손으로 받아들인다. 모를 심은 손으로 아이 볼을 쓰다듬는다. 모를 심은 손으로 아이 머리카락을 빗은 다음 두 갈래로 묶는다. 모를 심은 손으로 아이를 품에 안는다. 모를 심은 손으로 아이를 눕히고 이불을 여미어 밤잠을 재운다. (4344.6.7.불.ㅎㄲㅅㄱ)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