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골집 책읽기


 이른아침부터 저녁까지 거의 쉬지 않고 뛰어노는 아이를 바라본다. 둘째가 태어날 날을 손꼽으면서 마무리지을 온갖 집일을 건사한다. 모처럼 일요일 햇살이 아침부터 포근하면서 바람이 조용하다고 느껴, 지난겨울 아이가 입던 두툼한 겉옷 세 벌을 빨기로 한다. 한 벌씩 빨아 마당 빨랫줄에 넌다. 오늘은 한 벌만 빨고 이듬날에 또 한 벌, 모레에 다시 한 벌을 빨까 생각했지만, 모레이든 글피이든 날이 좋으리라고는 알 수 없다. 오늘 몰아서 다 해야 마음이 홀가분하다.

 생각해 보면, 이듬날이든 모레이든 글피이든 다른 빨래를 해야지. 둘째가 태어날 때에 누일 깔개를 찾고, 겨우내 덮은 이불과 깔개를 빨아야지. 내 겉옷과 옆지기 겉옷도 빨아야지. 빨래만 헤아려도 아직 다 끝마치려면 멀었다. 어느 한 가지도 미룰 수 없다. 빨래 한 가지만 하더라도 무척 많은데, 집일을 하느라 아이하고 못 놀기 일쑤일 테지만, 아이는 이제 혼자서 마당 이쪽에서 저쪽으로 신나게 달음박질을 치며 소리치고 논다. 세 살 적까지만 하더라도 빨래하는 아버지 곁에서 물놀이를 했음직한 아이가, 물놀이보다 더 재미난 뜀박질을 찾은 듯하다. 마당 한쪽 끝에서 민들레 노란 꽃송이나 냉이 하얀 꽃송이를 뜯는다. 날마다 뜯고 또 뜯어도 꽃은 흐드러진다. 아이가 날마다 수십 송이씩 꺾는다 하더라도 날마다 수백 수천 송이씩 새로 피고 진다.

 우리 식구가 인천에서 살던 때에는 아버지가 날마다 골목마실을 여러 시간 하는 동안 아이는 골골샅샅 누비면서 골목꽃을 구경했다. 골목꽃을 구경하며 걷던 때에는 꽃을 가만히 들여다보기만 했다. 골목이웃이 애써 어여삐 키우는 꽃을 함부로 꺾을 수 없다. 공무원이 찻길에 심는 꽃은 그다지 꺾을 만하다고 느끼지 못한다. 골목길 틈바구니에서 자라는 민들레나 개불알꽃이나 냉이꽃이나 망초꽃은 먼지를 듬뿍 뒤집어쓰곤 해서 고운 빛깔이 또렷하지 못하다.

 멧자락 시골집에서는 들꽃이나 들풀이 먼지를 뒤집어쓸 일이 드물다. 아니, 먼지를 뒤집어쓸 일이란 없다. 바람이 부는 대로 흩날리고 나부끼며 춤춘다. 바람결에 따라 뒤집어지는 나뭇잎이 반짝거린다. 도시에서는 아래쪽 나뭇가지를 모조리 잘라내어 나무가 어떻게 자라는가를 옳게 살피기 힘들다. 멧골짝에서 자라는 나무를 굳이 가지치기 하는 사람이란 없다. 이럴 겨를도 없고, 이렇게 한대서 누가 돈을 주지도 않지만, 숲속 나무를 가지치기할 까닭부터 없다.

 나뭇잎이 어디에서 돋아 어떻게 흐드러지는가를 고스란히 들여다본다. 아이가 나뭇가지를 꺾거나 나뭇잎을 뜯거나 꽃잎을 딴대서 걱정할 일이 없다. 꺾거나 뜯은 잎과 가지는 흙한테 돌려주면 된다. 흙한테 돌려주면 흙이 살아날 거름이 될 테고, 나무한테 돌아가는 밥이 되겠지.

 시골집에서 살아가는 아이한테 자연그림책은 거의 쓸모가 없다. 왜냐하면, 어떤 자연그림책이건 시골에서 태어나 살아가는 아이가 읽도록 엮거나 쓰거나 만들지 않으니까. 어떤 자연그림책이건 도시에서 태어나 살아갈 아이가 읽도록 엮거나 쓰거나 만드니까.

 시골집에서 살아가는 어른한테 생태환경을 다룬 책은 그다지 도움이 안 된다. 왜냐하면, 어떤 생태환경책이건 시골에서 태어나 살아가는 어른이 읽도록 엮거나 쓰거나 만들지 않으니까. 어떤 생태환경책이건 도시에서 태어나 살아갈 어른이 읽도록 엮거나 쓰거나 만드니까.

 옆지기와 아이와 내가 인천 골목동네에서 살아가던 때를 돌이킨다. 이무렵 장만해서 읽던 자연그림책 가운데 몹시 아름다우면서 가슴으로 촉촉히 젖어들던 책이 얼마 안 된다고 떠오른다. 그때에는 도시내기였지만, 도시내기 눈으로 들여다보더라도 자연그림책을 너무 지식으로만 다루기 때문에 썩 도움이 되지 않았다. 사랑스러운 자연을 사랑스레 마주하면서 나 스스로 사랑스러운 자연으로 녹아들도록 이끄는 자연그림책은 좀처럼 만날 수 없었다. 어른으로서 읽던 생태환경책도 매한가지이다. 왜 어른 스스로 생태와 환경이 몸으로 녹아드는 삶이 되는 이야기를 담는 생태환경책을 엮거나 쓰거나 만들지 못할까.

 나는 인문책을 가까이하지 못한다. 오늘날 한국땅 인문책은 거의 모두 지식책에 머물기 때문이다. 사람들 삶을 착하거나 따스하거나 아름다이 돌보는 나날을 적바림하는 인문책은 너무 드물어, 인문책이 그닥 손에 잡히지 않는다.

 4대강을 반대해야 하거나 88만 원 세대를 달래야 하거나 입시지옥을 걱정해야 하거나 재벌 권력과 교회 권력을 꾸짖어야 하거나 이명박을 나무라며 진보정치를 꿈꾸어야 하는 책은 인문책이라고 느끼지 않는다. 이러한 책은 모두 지식책이라고 느낀다. 4대강은 지식이 아닌 삶으로 살피면 이런 통계 저런 수치란 모두 부질없다. 더욱이, 4대강뿐 아니라 작은 도랑과 실개천은 어떠하고. 얕은 멧자락이나 너른 들판은 어쩌지? 사람들은 4대강에 파묻혀 정작 내 보금자리 자그마한 숲과 들과 멧골이 파헤쳐지며 사라지는 모습은 생각조차 하지 않는다. 88만 원 세대만 있겠는가. 50만 원 어린이와 40만 원 어버이도 있다. 모두들 대학교 졸업장 때문에 다투니까 입시지옥인데, 모두들 대학교에 안 가면서 사람답게 살아가자고 다짐하면 된다. 재벌 회사에 들어갈 생각을 안 하면서 내 작은 마을에서 내 작은 일거리를 찾아서 조용히 살아가면 된다. 예배당 십자가가 아닌 마음속 하느님을 믿으며 섬기면 된다. 이명박을 나무란다지만 내 살림집에서 내 살림살이를 사랑스레 일구지 못한다면 진보도 개혁도 번혁도 이루지 못한다.

 아이는 꽃을 꺾어 머리에 핀하고 함께 꽂아 달라고 내민다. 아이 머리에 꽃을 꽂아 준다. 아이는 머리에 꽂은 꽃이 떨어지는 줄 느끼지 못하면서 신나게 달음박질을 치며 논다. 몇 시간쯤 달음박질을 치며 놀다 보면 머리에 꽂던 꽃이 어찌 된 줄 모르지만, 꽃이 사라진 줄 알면 새로 꺾어서 한손에 쥐며 또 달음박질을 친다. 우리 집에는 자가용이 없고, 아버지는 운전면허가 없으며, 어머니는 장롱면허이면서 둘째를 밴 몸이라 적성검사를 받으러 갈 겨를이 없다. 자동차 없는 널따란 마당과 숲 사이에서 골짜기 물소리를 들으면서 마음껏 논다. 저녁나절에는 모두 지쳐서 아이한테 그림책 한 권 읽어 줄 기운조차 없이 곯아떨어진다. (4344.5.15.해.ㅎㄲㅅㄱ)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