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으로 보는 눈 156 : 다시 읽는 책


 《필립 퍼키스의 사진강의 노트》라는 책이 2005년에 처음 나왔습니다. 이러다가 지난해인가 지지난해쯤부터 더는 나오지 않았는데, 올 2011년 3월에 새판으로 다시 나옵니다. 다른 출판사에서 말끔한 새옷을 입고 새로 태어납니다. 2005년에 읽은 책이지만 여섯 해 만에 새로 선보이는 새책을 다시 장만해서 다시 읽습니다. 예전 책은 옆에 놓고 새로 나온 책을 읽으면서 새삼스레 밑줄을 긋습니다. 새로 나온 책을 읽으며 밑줄을 긋다가 예전에 읽던 책을 슬그머니 들춥니다. 어디 견주어 볼까? 오, 웬만한 곳에서 거의 비슷합니다. 책을 덮고 생각합니다. 조금 다른 데에서 밑줄을 긋는다면 내 생각이 바뀐 셈일까요? 예전과 오늘 같은 자리에서 밑줄을 긋거나 별을 그린다면 내 생각이 한결같은 셈일까요? 아니면 내 생각은 예나 이제나 틀에 박힌 채 고인 셈일까요? “이름이 없는 것은 상도 안 준다. 오로지 이름을 붙이는 것만이 관건이다. 읽기와 산수로만 지능이 평가된다. 감수성과 관찰력이 뛰어난 학생이 장학금을 받았던 적은 언제였던가(66∼67쪽)?”라는 대목에 밑줄을 그으면서 별을 하나 그립니다. 예전 책에는 이 대목에 별을 둘 그렸습니다. 열 해쯤 뒤에 이 책을 다시 읽는다 한다면, 그때에는 이 대목에 거듭 밑줄을 긋거나 별을 그릴 수 있을까 헤아려 봅니다. 그때까지 내 넋이 이와 같다면 나는 내 삶을 어떻게 일구는 사람일까 하고 되뇌어 봅니다.

 《강우근의 들꽃 이야기》라는 책을 서울마실을 하며 명륜동 인문사회과학책방 〈풀무질〉에 들렀을 때에 장만해서 읽습니다. 책방 〈풀무질〉에서는 이 책을 퍽 잘 보이는 자리에 예쁘장하게 얹어 놓습니다. 널리 보고 얼른 사서 읽으라는 뜻입니다. 제가 이 책을 사면서 〈풀무질〉에 있던 《강우근의 들꽃 이야기》는 다 팔립니다. 〈풀무질〉 일꾼은 책방에서 다 팔린 이 책을 더 주문해서 사람들한테 알릴까요. 이 책이 놓이던 자리에 다른 ‘안 팔리는’ 책을 얹을까요.

 그림을 그리는 강우근 님은 오늘날 도시사람이 눈여겨보지 않는 들꽃 이야기를 조곤조곤 들려줍니다. 참말 ‘오늘날 도시사람’이 안 들여다보는 이야기를 찬찬히 들려줍니다. 책을 읽다가 문득문득 궁금해집니다. 이 책을 읽을 사람은 ‘오늘날 시골사람’이 아닌 ‘오늘날 도시사람’입니다. 오늘날 시골사람은 굳이 이 책을 안 읽어도 들꽃을 찬찬히 헤아립니다. 아니, 들꽃보다는 들풀을 찬찬히 헤아립니다. 먹는 풀인지 살피고, 어떻게 먹는 풀인지 돌아봅니다. 도시사람만 이 책을 읽는다 할 텐데, 도시사람은 이 책을 읽고 나서 도시 둘레에 흐드러진 여느 들꽃이나 들풀을 어느 만큼 돌아볼 수 있을까요. 아니, 돌아보기는 할까 모르겠습니다.

 한낱 지식읽기로 그칠 책이 되지 않을까 두렵습니다. 도시사람한테 책 좀 그만 읽고 들꽃 좀 들여다보며 당신 삶을 되새기자 하는 이야기를 펼치는 《강우근의 들꽃 이야기》이지만, 막상 이 책은 지식쌓기 책으로 그칠 듯해 무섭습니다.

 그러나 천 사람 만 사람이 속내를 꿰뚫으며 사랑할 수는 없겠지요. 너무 바쁘고 매이며 고달픈 도시살이일 테니까요. 다문 한 사람이라도 도시에서 들꽃이나 들풀처럼 살아갈 수 있기를 비손합니다. (4344.4.7.나무.ㅎㄲㅅㄱ)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