홀가분하게 쓸 글


 글 하나 써 주면 좋겠다는 편지가 그제 왔다. 오늘이나 이듬날 인천으로 마실을 해야 하기 때문에 얼른 일을 끝내야겠다 생각하면서, 새벽녘 편지 하나를 띄운다. 나는 늘 글을 쓰는 사람이니까 글 하나 쓰는 일은 어렵지 않다고 이야기를 적는다. 편지를 보내고 나서 곰곰이 생각한다. 바로 이 자리에서 써 볼까? 곧바로 글을 쓴다. 원고지 20∼25장 사이로 글을 쓰면 좋겠다 했고, 한 시간쯤에 걸쳐 원고지 22장짜리 글을 마무리짓는다. 다 쓴 글을 한 번 죽 읽으면서 잘못 적은 곳 하나를 손볼 뿐, 딱히 더 다듬지 않는다. 이 글을 받은 쪽에서 어찌저찌 고쳐 달라 한다면, 그때에는 새로 써야지. 나는 예전부터 글을 고쳐서 쓰지 못한다. 어느 대목 하나 고쳐 달라 하면, 그쪽에서 알아서 고치라 하거나, 나 스스로 아예 새글을 쓴다. 좀 모자라거나 아쉬울 글이든 퍽 괜찮거나 좋다 싶은 글이든 나로서는 다 내 글이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이렇게 쓴 글이든 저렇게 쓴 글이든 나중에 낱권책으로 묶으려고 생각할 때에는 통째로 고쳐쓰기 일쑤이다. 마음이 바뀌기 때문일까. 글쎄, 이는 아니라고 느낀다. 예전에 옆지기한테 제대로 말을 못했는데, 제대로 말을 못한 까닭은 나 스스로 아직 제대로 깨닫거나 알아채지 못했기 때문이리라. 내가 잡지사나 신문사 같은 데에 보내는 글은 새로 하나 쓰되 글을 다듬거나 고치지 않으면서 낱권책 글만큼은 고쳐서 쓰는 까닭이란, 신문이나 잡지에 싣는 글은 ‘꼭 이때까지 느낀 대로 써서 꼭 이때에만 읽고 새기는 글’이다. 낱권책에 싣는 글은 ‘낱권책이 나오는 어느 한때로 그치는 글’이 아니라, 적어도 열 해나 스무 해를 웃도는 글이 된다. 그래서 낱권책을 낸다 할 때에는 내가 앞으로 살아갈 열 해나 스무 해 앞날까지 돌아보면서 더 가다듬거나 추스른다. 그런데, 낱권책에 실을 글을 이렇게 가다듬거나 추스른다면, 여느 때에 쓰는 글도 이렇게 해야 옳지 않을까. 여느 때에도 열 해나 스무 해 앞서를 헤아리며 조금 더 알뜰히 여미어야 하지 않을까. 찬찬히 생각해 본다. 이 또한 맞는 말이다. 그러나, 여느 때에는 여느 때대로 내가 오늘까지 살아온 마음과 몸에 걸맞게만 이야기를 풀고 싶다. 오늘은 오늘 느낌과 삶 그대로만 쓴다. 오늘 하루가 모여 내 삶이 되고, 내 삶은 내 글로 태어난다. 낱권책은 내 삶이라기보다 내 아이한테 물려주는 선물이다. 선물과 삶은 다르다고 느낀다. 내가 꾸리는 삶으로 오늘 하루를 살거나 살림을 돌본다. 오늘 하루를 살거나 살림을 돌보며 틈틈이 아이 몫을 떼어서 남긴다. 글은 늘 홀가분하게 쓴다. 낱권책 또한 홀가분하게 내 글을 고친다. 아직 엉성한 텃밭이지만, 우리 텃밭에 들이는 땀은 그날그날 들일 뿐 더 들이지 못한다. 날마다 힘닿는 대로만 힘을 들인다. 이듬날 줄 거름을 오늘 줄 수 없다. 다음달 뽑을 풀을 오늘 어찌 뽑겠나. 오늘은 오늘 이야기만을 쓴다. 아직 아이는 깨지 않았으나, 곧 깰 듯하다. 오늘 글쓰기도 이제 곧 마쳐야 할 듯하다. (4344.4.7.나무.ㅎㄲㅅㄱ)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