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매방 : 승무 - 춤과 그 사람
정범태 사진, 구히서 글 / 열화당 / 1992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진은 바로 오늘 바로 여기에 있다
 [따순 손길 기다리는 사진책 20] 정범태, 《춤과 그 사람, 이매방 : 승무》(열화당,1992)



 아침부터 저녁까지 아이와 함께 지냅니다. 오늘날 여느 아버지는 어느 일터 하나를 붙잡아 새벽바람으로 일 나갔다가는 밤 늦게 돌아오곤 하지만, 저는 아이를 처음 배어 낳을 때부터 집에서 일하고 집에서 살림하며 집에서 아이를 돌보았습니다.

 아침부터 저녁까지 아이와 함께 지내다 보면, 아이한테서 느낄 좋으며 살가운 모습부터 궂으며 미운 모습까지 샅샅이 마주합니다. 주말에만 살짝 보는 아이가 아니라 날마다 보는 아이일 때에는 아침부터 저녁까지 아이 온 모습을 사진으로 담기 일쑤입니다. 제가 그림을 그리는 사람이라면 아침부터 저녁까지 아이 삶을 그림으로 그리느라 몹시 바쁠 뿐 아니라 팔이 빠질 만큼 힘들었으리라 생각합니다.

 예나 이제나 우리 삶터는 그닥 남녀평등이 이루어졌다고 느끼기 어렵습니다. 남자 권리와 여자 권리를 헤아린다는 이들치고 아이를 낳아 돌볼 때에 서로서로 어버이로서 어떻게 해야 즐거우며 좋은가를 살피는 사람이 매우 드뭅니다. 아이를 낳기 앞서도 남자 쪽 어버이인 아버지들은 집살림이나 사람살림을 마음쓰지 않습니다. 그렇다고 여자 쪽 어버이인 어머니라 해서 어머니가 되는 길을 제대로 마음쓴다고는 느끼기 어렵습니다. 아이를 배었으니 술담배를 줄이고 달 맞추어 병원에서 환한 불빛을 쬐며 회음부를 자르고 진통제를 맞추어 쑤욱 하고 아기를 잡아당겨서는 예방주사를 발바닥에 찰싹 꽂는다고 애낳이가 되지 않아요. 내 아이가 아닌 내가 어떻게 태어났으며, 내가 어떻게 태어나야 좋을는지를 생각한다면, 또 내 아이가 아닌 내가 어린 나날 어떻게 자라면 좋을까를 돌아보면서 내 아이를 마주할 수 있어야 참다이 애낳이를 한달 수 있습니다. 남녀평등이란 육아휴직이나 가사노동분담이 아니라 삶을 함께하는 길입니다.

 이제부터 제 사랑스러운 짝꿍보다 훨씬 오래 늘 곁에서 돌봐야 할 사람은 아이인 만큼, 아이하고 살아가려 한다면 내 삶을 크게 바꾸거나 아주 바꾸거나 새로 바꾸지 않고서는 아이를 맞이할 수 없어요.

 아이는 하루하루 새로운 모습입니다. 아니, 하루 사이에도 1분마다 1초마다 새로운 모습입니다. 아이는 끝없이 자라며, 끝없이 자라기 때문에 아이요, 우리 어른들처럼 키가 더 안 큰다든지 뼈가 더 굵어지지 않는다든지 하지 않습니다. 아이는 숨을 한 번 들이쉴 때마다 자랍니다.

 집에서 아이와 살아가며 아이 모습을 사진으로 담다 보면, 고작 하루치 아이 모습이라 하지만 백 장을 거뜬히 넘곤 합니다. 《윤미네 집》이라는 살가운 사진책이 한 권 있습니다만, 누구나 제 아이를 사랑하며 살아간다면 꼭 하루 동안 제 아이 모습을 아침부터 저녁까지 찍어서 사진책 하나 빚을 수 있습니다. 누구나 내 아이 이야기 하루치로 사진책 하나 빚을 만하며, 이름있는 사진쟁이이건 이름없는 사진쟁이이건 이러한 ‘내 아이 삶자락 이야기’ 사진책은 둘레 사람 누구한테나 아름다우며 빛고운 넋을 나누어 줍니다.

 사진기자 정범태 님은 사진기자로서 여러 가지 사진책을 내놓았습니다. 이 가운데 “춤과 그 사람”이라는 이름으로 내놓은 열 권짜리 사진책은 한겨레 옛춤을 오늘날에도 멋들어지게 추는 열 사람 이야기를 열 가지 이야기로 묶습니다. ‘한국 전통춤’이라는 이름을 붙여 그냥 한 권짜리 사진책으로 내놓아도 될 법하다 여길 수 있으나, 정범태 님은 굳이 한 사람 한 사람을 따로따로 나누어 낱권책으로 일굽니다. 한영숙 님은 살풀이요, 하보경 님은 밀양 북춤이요, 김숙자 님은 도살풀이요, 안채봉 님은 소고춤이요, 하면서 “춤과 그 사람” 열 권마다 춤쟁이 이름과 춤사위 이름을 하나하나 들면서 사진이야기로 선보입니다.

 정범태 님은 사진책 머리말에 “사십여 년 동안 ‘이 소중함들을 어떻게 간직할 것인가’라는 나 자신에게 던진 이 질문에 대한 답변”으로 사진책을 묶었다고 밝힙니다. 이 소담스럽거나 대수롭거나 놀랍거나 아름답거나 거룩하거나 살뜰한 춤사위를 홀로 알기에는 아쉬울 분더러 홀로 필름에만 얹혀 놓기에는 안타까웠으리라 생각합니다.

 나누고 싶기에, 보이고 싶기에, 또 함께 즐기거나 누리고 싶기에, 사진이란 무엇인가를 말하면서 사진으로 무엇을 할 수 있는가를 몸소 느끼고 싶기에 “춤과 그 사람” 열 권이 태어날 수 있었구나 생각합니다.

 다만, 정범태 님 스스로 밝히듯 “그러나 나는 그들의 춤 그릇과 움직임만을 이곳에 풀어 놓을 뿐 그들의 길고도 깊은 한의 이야기로 묶인 정신세계는 내가 가지고 있는 카메라로는 담아낼 수가 없었음을 고백해야겠다”는 말처럼, 춤쟁이 넋과 얼은 이 사진책에 담지 않습니다. 한편, “현대화에 발맞추어 변질되어 가는 우리 춤들 중에서 원형에 가장 가까운 몸짓들을 이 책에 담았다는 자부심은 있다”는 말처럼 한겨레 옛춤을 있는 그대로 잘 담습니다.

 사진책 《춤과 그 사람, 이매방 : 승무》이건 《춤과 그 사람, 김덕명 : 양산 사찰학춤》이건 《춤과 그 사람, 강선영 : 태평무》이건, 이와 같은 춤사위가 어떠한 가락에 따라 어떠한 멋과 몸짓으로 이루어지는가를 살뜰히 보여주는 정범태 님 사진책입니다. 이와 함께 이러한 춤사위마다 어떠한 넋과 얼이 깃들었는가는 짚지 못하는 정범태 님 사진책이에요.

 사진기자 정범태 님이 머리말에서 밝히는 말마디를 그저 ‘고개숙이기’로만 여겨서는 안 된다고 느낍니다. 정범태 님은 정범태 님으로서 할 수 있는 온힘과 온땀을 들여 이 사진책 열 권을 이룹니다. 나머지 몫, 그러니까 오늘날까지 이들 춤쟁이가 춤사위를 꾸준히 잇는 길과 결을 고이 살펴, 이들 춤쟁이 넋과 얼을 사진으로 알뜰히 담아 ‘한겨레 춤사위를 즐기는 사람들은 어떠한 넋으로 어떠한 사랑을 어떠한 얼에 따라 어떠한 몸짓으로 펼치는가’를 보여줄 만한 새로운 사진을 선보여 준다면, 남보다 먼저 한겨레 춤쟁이 모습을 사진으로 담은 사람으로서 고마우며 기쁘겠다는 이야기로 읽어야 한다고 느낍니다.

 《춤과 그 사람, 이매방 : 승무》를 비롯한 춤사위 사진책 열 권은 이 나라에서 사진길을 걷는 젊은이한테 물려주는 선물이자 빛이자 열매입니다. 우리가 이 땅에서 찾아나서면서 밝히거나 나눌 이야기가 참으로 많은데, 이 가운데 춤 하나만 꼽아도 춤꾼마다 사뭇 다르며 서로 놀랍도록 아리따운 모습이 넘치니, 이러한 춤길에서 사진길을 길어올릴 수 있다고 물려주는 선물입니다. 누군가는 이매방 님 발자취 하나만 좇을 수 있고, 누군가는 강선영 님 발자국 하나만 살필 수 있겠지요. 한 사람 발자취만 좇더라도 사진책으로 열 권 스무 권이 태어날 만합니다. 춤꾼 한 사람이 마흔 해 예순 해를 춤사위에 넋을 실어 춤을 빚는다면, 사진꾼 한 사람은 마흔 해 예순 해를 사진사위에 넋을 실어 사진을 빚을 수 있습니다. 춤쟁이 한 사람이 하루 한 자리에서 펼치는 춤놀이를 가만히 바라보면서, 사진쟁이 한 사람은 하루 한 자리에서 느끼는 춤놀이 이야기를 한 자리에서 필름 열 통이든 스무 통이든 쓰면서 사진놀이 한 자락 일굴 수 있습니다. 또한, 젊은 사진쟁이 누군가는 ‘까망하양 빛깔로 담는 춤 사진’을 넘어 ‘무지개 빛깔로 싣는 춤 사진’을 꽃피울 수 있어요.

 책상맡으로 스미는 햇볕 흐름을 좇으면서도 사진책을 하나 마련할 수 있습니다. 시골집 우리 텃밭에 비치는 햇살을 새벽부터 밤까지 돌아보며 사진책 하나 엮을 수 있습니다.

 이야기는 늘 우리 둘레에 있습니다. 삶은 바로 내 손으로 일굽니다. 사진기를 쥔 내 손은 내가 이름난 쟁이가 아니더라도 빛납니다. 사진기 단추를 어루만지는 내 손가락은 내가 손꼽히는 꾼이 아니어도 예쁩니다. 사진은 바로 오늘 바로 여기에 있습니다. (4344.3.23.물.ㅎㄲㅅㄱ)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