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전거쪽지 2011.3.19.
 : 고개 넘어 피자 나르기



(17:27) 옆지기가 피자 먹고 싶다 말한다. 피자라니, 피자라면 읍내 버스역 건너편에 있는 피자집에서 만드는 피자일 테지. 우리 집 물이 아직 녹지 않아, 녹지 않는다기보다 땅밑에서 무언가 잘못되지 않았나 싶은데, 집에서 물을 못 쓰니 옆지기는 몸을 씻을 수 없다. 몸을 씻으러 읍내 목욕탕으로 가야 한다. 읍내 목욕탕에서 시원하게 씻고 나서 피자를 먹고 싶다는 이야기이다. 오늘 집안을 쓸고닦으며 치우느라 읍내마실을 나가지 못했으나, 피자는 얼마든지 사다 나를 수 있다. 자전거를 타고 얼른 다녀오겠다고 말한다. 아이도 자전거 함께 타고 싶다 이야기하지만, 아이한테는 미안하지만 집에 있으라 이른다. 왜냐하면 피자를 사서 짐수레에 담아야 모양이 깨지지 않으니까. 아이를 태우면 피자 놓을 자리가 없다. 부리나케 옷을 갈아입고 자전거를 도서관에서 꺼낸다.

(17:38) 숯고개에 닿다. 피자 두 판을 사러 읍내로 나가느라 깔딱고개를 하나 넘는다. 읍내 가는 길은 가방에 비었으니 몸이 가볍다. 돌아오는 길은 이것저것 사서 가방에 채울 테니 몸이 무겁겠지. 옆지기는 자동차들이 해코지할까 봐 걱정되니 수레를 달아야 하지 않느냐 얘기했다. 짐수레 무게가 꽤 나가니까 이 수레를 달고 깔딱고개를 넘으면 땀이 뻘뻘 난다. 그러나, 피자를 가방에 넣으면 한쪽으로 뭉그러질 테니까 짐수레를 달아야 한다. 어찌 되든 짐수레를 뒤에 달았기 때문에 자동차들이 옆으로 꽤 크게 에둘러 가며 빵빵거리지는 않는다. 오르막에서 입이 아닌 코로 숨을 들이마신다. 코로 두 번 마시고 입으로 한 번 뱉는다.

(17:49) 음성 읍내에 닿다. 공부를 마친 듯한 고등학교 아이들이 쳐다본다. 이 아이들로서는 자전거에 수레를 단 모습을 본 적이 없을 테지. 이 아이들이 나이를 더 먹어 아이를 낳으면 나처럼 수레를 장만해서 아이를 태우고 다닐까. 아마, 이 아이들 거의 모두는 ‘손쉽게 자가용을 장만해’서 싱싱쌩쌩 내달리기만 하지 않을까.

(17:50∼18:07) 피자집에 닿아 피자 두 판을 주문한다. 15분이 걸린단다. 엊그제 장날이 지났기에 델타마트라는 데에 가다. 마트 쓰레기통에 쓰레기 두 봉지를 넣는다. 시골자락으로 쓰레기 걷으러 쓰레기차가 오지 않기 때문에 읍내로 가지고 와서 버린다. 시골에서는 빈병이건 페트병이건 종이건 나누어 내놓을 수 없다. 가져가는 사람이 없으니까. 다문 한 달에 한 번이라도 면사무소 일꾼이 돌아다니며 걷어야 하지 않을까. 시골 면사무소나 읍사무소는 여느 때 보면 다들 한갓지게 노닥거리는데, 읍과 면 곳곳을 돌며 쓰레기걷이를 해야 하지 않나 생각한다. 읍사무소나 면사무소 일꾼은 늘 건물 안쪽에서만 지내기에, 막상 시골 공무원으로 일하면서도 저희 읍이나 면이 얼마나 넓고, 시골자락 사람들 살림살이를 도무지 모른다. 읍사무소나 면사무소 일꾼이 한 사람씩 돌며 읍과 면을 골골샅샅 누비지 않고서야 참다이 시골 공무원으로서 일할 수 없다고 느낀다. 표고버섯하고 곤약하고 땅콩하고 마늘하고 사다.

(18:08) 피자를 받아서 짐수레에 넣다. 아이를 태우며 춥지 말라고 덮는 이불로 피자를 여민다. 이렇게 하면 흔들리지 않으면서 집에까지 따뜻하게 할 수 있겠지.

(18:10) 읍내 신호등에서 신호를 한참 기다린다. 읍내에는 차도 얼마 안 다니는데 신호등이 없어도 되리라 생각하지만, 신호등이 없을 때에 천천히 느긋하게 오갈 자동차는 찾아보기 어렵겠지.

(18:15) 읍내를 빠져나온다. 용산리 쪽으로 접어든다. 읍내로 나올 때에는 느끼지 못했는데, 집으로 돌아가는 길은 얼굴바람이다. 아까는 등바람이었나 보다. 얼굴로 제법 세게 부딪히는 바람을 느낀다. 길바닥에 짐승 주검 몇이 보인다. 아주 떡이 된 주검은 벌건 자국만 길바닥에 남긴다. 음성읍에서 생극면으로 이어지는 이 길을 두찻길에서 네찻길로 넓힌다며 한창 길 한쪽을 뜯는다. 여느 때에 이 두찻길을 오가는 자동차는 매우 적은데, 애써 네찻길로 넓혀야 하는지 알쏭달쏭하다. 자동차가 많이 다니면 모르지만, 오가는 차가 명절날조차 막히는 일이 한 번도 없을 이런 데에서 왜 길을 더 넓혀야 할까. 이렇게 길넓히기 할 돈이 있으면, 시골사람들 농사일을 돕는 데에 써야 할 텐데.

(18:20) 오르막에서 체인이 빠지다. 못물 옆길 가파른 자리를 다 올라와서 기어를 낮추는데 픽 빠진다. 자전거를 세워 기어를 맞추다. 손에 또 기름이 묻는다. 다시 자전거에 오르려다가, 이렇게 멈춘 김에 자전거 모습이랑 내 수첩에 쪽글을 적바림해 놓은 모습을 사진으로 담는다. 어쩌면, 체인 빠진 일이 퍽 고맙다 할 만하다. 다시 자전거에 오르면서 생각한다. 자전거를 타는 사람은 사진을 못 찍는다. 자전거를 타는 사람조차 사진을 못 찍는다. 나처럼 사진기를 목걸이로 걸고 한손으로 손잡이를 쥐고 한손으로 사진을 찍을 수는 있다. 그러나 스쳐 지나가는 모습 가운데 내 마음 사로잡는 곳을 제대로 느끼거나 제대로 찍지는 못한다. 언제나 스쳐 지나가는 사진만 찍을 뿐이다. 달리던 자전거를 멈추어야 하고, 달리던 차를 멈추어야 하며, 달리던 걸음을 멈추어야 한다. 걸어다니면서도 사진을 못 찍는다. 걷던 걸음을 멈추어야 비로소 사진을 찍는다. 숨을 크게 들이마시고 몇 초쯤 숨을 멎은 다음 조용히 단추를 눌러야 한다. 사진찍기를 하려는 사람이라면, 자동차를 타서는 안 된다. 사진찍기를 하려는 사람이라면, 두 다리로 걸어야 하고, 어쩔 수 없는 때에만 자전거를 타고 움직여야 한다.

(18:28) 숯고개 오르막에 닿다. 시골길 걷는 시골 아이랑 어머니를 본다. 자전거로 고개를 넘기 때문에, 시골 아이가 제 어머니한테 조잘조잘 말을 거는 목소리를 듣는다. 자동차로 달리는 사람들은 이 고운 목소리를 들을 수 없겠지. 멧자락 비탈논 개구리들이 깨어나 왁왁 우는 소리 또한 자동차를 모는 동안 들을 수 없을 테고. 자동차를 타는 동안 듣는 소리란 자동차 소리에다가 자동차에 붙인 작은 텔레비전이 들려주는 소리뿐이다. 바람소리도 새소리도 사람소리도 물소리도 들을 수 없는 자동차란 무엇일까. 자동차가 지나갈 때면 차바람이 불어 자전거가 흔들린다. 차바람을 일으키는 자동차는 마주 걷거나 마주 자전거를 달리는 사람들이 애먹는 줄을 조금도 느끼거나 알아채지 못한다.

(18:30) 집으로 돌아가는 깔딱고개에서 자꾸 자전거를 쉬며 사진 몇 장 찍는다고 하다가 너무 늦을까 걱정스럽다. 내리막에서 발판을 더 힘껏 밟는다. 조금 앞서 오르막 한켠에 쓰레기봉투 몇이 나뒹구는 모습을 보았는데, 시골길을 걷거나 자전거로 오가는 사람은 쓰레기를 길바닥에 버리지 않는다. 아니, 버릴 수 없지. 자동차로 길을 달리는 사람들은 창밖으로 아무렇지 않게 쓰레기를 휙휙 내던진다. 잘못해서 쓰레기가 창밖으로 날려 갔다 한들 자동차를 멈추어 제 쓰레기를 줍는 사람이 있을까. 가만히 보면, 요즘 아이들은 어른들 흉내를 내듯 ‘걸어다니며 길바닥에 아무렇지 않게 쓰레기 버리기’를 하기도 한다.

(18:37) 드디어 집에 닿다. 피자는 식지 않았다. 그런데 옆지기가 사 오라는 피자가 아니란다. 옆지기는 아무것도 안 든 피자를 하나 사라고 했는데, 나는 엉뚱하게 사고 말았다. 피자 사다 나른다며 고개 넘어 마실을 다녀오느라 몸을 부리면서, 정작 제대로 사다 나르지 못하다니, 참, 나 스스로 할 말이 없다. 땀으로 흠뻑 젖은 옷을 갈아입다.
 

 

 그나저나, 다들 배가 불러서 얼마 못 먹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