뒷차와 책읽기
서울 홍대 앞에서 전철을 내린다. 사람들이 참 미어터진다. 계단을 오르는 사람 가운데 안 바쁜 사람은 아주 느리게 걷는다. 느리게 걸으면서 뒷사람 가운데 바쁜 이가 있든 말든 아랑곳하지 않는다. 느긋하게 걸을 때에는 자리를 조금만 차지하면서 한쪽으로 붙으면 얼마나 좋을까. 한복판을 널따랗게 차지하며 여럿이 손을 나란히 잡으면서 걸으니, 이리 빠져나가지도 못하고 저리 빠져나가지도 못한다. 미적거리는 앞사람 궁둥짝만 멀뚱멀뚱 올려다보면서 무거운 가방을 짊어진 채 끙끙거려야 한다.
나 또한 이 미어터지는 사람들하고 똑같이 미어터지는 한 사람이다. 나 또한 사람물결을 이루는 한 사람이다. 바깥으로 나와도 길에는 사람으로 꽉 찬다. 참 놀란다. 언제 보아도 놀라는 모습이다. 서울에는 어인 사람이 이렇게나 많을까. 이렇게나 많은 사람들이 이 좁은 곳에 어쩜 이렇게 복닥거리면서 서로서로 만나거나 사귀거나 어울릴 수 있는지 궁금하다.
사람숲을 헤치고 만화책방에 들어간다. 만화책 28000원어치 고른다. ㅇ출판사에서 새로 나온 만화책 두 권을 살까 하고 집어들다가는 150쪽이 안 되는 얄팍한 판인데 자그마치 12000원이나 붙은 모습에 깜짝 놀란다. 얌전히 내려놓는다. ㅇ출판사는 무슨 만화책을 이렇게 비싸게 찍어서 내놓을까. 더 값나가는 종이에 만화를 찍는다고 만화책 품격이 올라가는가. 여느 만화책은 물건값이 올랐어도 요즈음 4200원인데, ㅇ출판사는 왜 이리 비싼값을 버젓이 붙이는가. 여느 만화책 세 권 살 만한 값을 양장도 아니요 애장판도 아니며 빛깔그림이 들어간 만화도 아니면서 지나치게 비싸게 값을 붙인다.
망원역에서 만나야 할 사람이 있다. 책값을 셈한 다음 가방에 넣는다. 헐레벌떡 달려서 길을 건넌다. 푸른불이 깜빡거릴 때에 겨우 찻길 한복판 버스타는곳에 들어선다. 히유, 한숨을 돌린다. 어느 버스를 타야 하나 살핀다. 버스길 알림판을 여러 곳에 붙이면 좋으련만 한쪽에만 붙여놓아서 들여다보기 참 힘들다.
271번 버스를 탄다. 버스가 들어올 때부터 안에 사람이 꽤 많이 탔다. 타도 되나 고개를 갸웃하는데, 내리는 사람이 제법 된다. 그러면 타고 되겠구나. 두 정류장을 더 가니, 내리는 사람은 적고 타는 사람만 많다. 버스를 모는 일꾼이 새로 타려는 사람들한테 이야기를 한다. “뒷차 금방 오니까 뒷차 타세요. 너무 밀려요.” 그렇지만 뒷차를 기다려 타려는 사람은 아무도 없다. 모두 이 버스에 오른다. 가뜩이나 미어터지는 버스는 더욱 미어터진다.
내가 버스에 타려 할 때에 버스 일꾼이 뒷차를 타라 했다면 나는 어떻게 했을까. 바삐 가야 한다면 그냥 탔을까. 곰곰이 헤아린다. 음, 나도 그냥 버스에 오르는 사람 가운데 하나였을까. 옆지기하고 아이랑 함께 마실을 와서 서울버스를 타야 하는 몸이었으면 어떠했을까. 아무래도 나는 미어터지는 차를 타지 말고 텅 빈 뒷차를 타라는 버스 일꾼 말을 따랐으리라 생각한다. 그런데, 이렇게 뒷차를 기다리다 보면 ‘버스 일꾼 말처럼 뒷차가 금세 오기’도 하지만 ‘한참 기다려도 뒷차는 올 생각을 않는’ 때가 있다. 만나기로 한 사람이 있어 때를 맞추어 가야 하기는 하지만, 서울에는 버스도 많고 차도 많으니까 그냥 기다려 보겠지. 그러나, “뒷차 타셔요” 하는 말을 곧이곧대로 믿기가 힘들다고 느낀다. 겪어 보니 그렇다.
시골집으로 옮기기 앞서를 떠올린다. 아직 인천에서 살아가던 때, 식구들과 함께 마실을 간다며 시내버스를 기다리던 일을 떠올린다. 시내버스에 사람이 꽉 차면 으레 이 꽉 찬 차를 보냈다. 좀 홀가분한 뒷차를 기다렸다. 꽉 찬 버스가 지나가면 으레 뒷차는 텅 비기 마련이요, 곧 새로 오기 일쑤인데, 이러하지 않을 때도 꽤 되지만, 홀가분한 뒷차가 금세 오는 적도 잦다.
나는 새로 나오는 책을 그때그때 읽는 일을 좋아한다. 이와 함께, 새로 나오는 책을 한두 해쯤 묵힌 다음 읽는 일도 좋아한다. 때로는 다섯 해나 열 해쯤을 기다린 끝에 읽기도 한다. 모든 새로 나오는 책을 모두 그때그때 맞추어 읽을 수 없기 때문이요, 내 마음밭을 차분히 가다듬은 다음에 읽어야 할 책이 있기 때문이다.
아직 내 가슴이 어느 책 하나를 받아들일 만큼 넉넉하지 못하다고 여긴다면, 책상맡에 오래도록 꽂기만 한다. 때로는 나중에 사자고 생각한다. 요사이는 나중에 사자고 생각하기보다는, 어찌 되든 사 놓고 보기 일쑤이다. 요사이는 한두 해쯤 지나고 나서 품절이 된다든지 새책방 책시렁에서 자취를 감추는 책이 퍽 많기 때문이다. 헌책방에서는 한 번 지나치면 두 번 다시 못 만나는 책이 매우 많기도 하다.
그때그때 새로 나오는 흐름에 맞추어 읽는 책은, 새로 나온 느낌을 곱씹으면서 즐겁게 읽는다. 몇 해쯤 묵힌 다음 읽는 책은, 이 책이 참말로 내가 오래도록 곁에 두면서 읽을 만한 책인가를 돌아보면서 즐거이 읽는다.
어떠한 책이든 한 번 읽고 치운다면 읽을 만한 책이 아니라고 생각한다. 어떠한 책이든 한 번 읽고 나서 두 번 세 번 잇달아 읽는다든지, 한두 해 뒤에 다시 읽고프다고 생각할 만큼 되어야 비로소 읽을 만한 책이라고 생각한다. 열 번쯤 되풀이해서 읽는다든지, 여러 사람하고 돌려읽을 만한 책이 아니라면, 처음부터 살 만한 값이나 보람이나 뜻이 없다고 생각한다.
나는 뒷차 기다리기를 좋아한다. 앞차를 타고 먼저 간다고 해서 나쁘지 않다. 사람들 물결이 앞차로 쏠리면서 버스타는곳에 미어터지던 사람이 싹 줄어 호젓해지는 느낌이 좋고, 한결 홀가분한 뒷차를 가뿐히 타면서 창밖을 느긋하게 내다보는 느낌이 좋다. (4344.3.5.흙.ㅎㄲㅅ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