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 우리말 바르게 손보기 ㉠ 잘못 쓰는 말을 왜 돌아보는가


 잘 쓰는 말이 되려면 내 마음이나 뜻을 잘 나타내는 말이 되어야 합니다. 잘못 쓰는 말이라 한다면 내 마음이나 뜻을 제대로 나타내지 못한 말입니다.

 말을 하거나 글을 쓰는 나 혼자만 잘 안다 해서 잘 쓴 말이나 글이 되지 않습니다. 내 말을 듣는 사람이나 내 글을 읽는 사람이 함께 잘 알아듣도록 말을 하거나 글을 써야 잘 쓴 말이나 글입니다.

 어린 동생한테 말을 건다고 생각해 보셔요. 말사랑벗이 좋아하는 영화나 노래나 취미 이야기를 할머니한테 들려준다고 헤아려 보셔요. 말사랑벗은 좋아할는지 모르나, 말사랑벗한테서 이야기를 듣는 사람한테는 낯설거나 영 모를 이야기를 ‘어떠한 말’로 들려주는지를 곱씹어 보셔요.

 학교에서 말사랑벗을 가르치는 분들은 어떤 말투와 낱말로 교과서를 가르치는지 짚어 보셔요. 집에서 어버이가 쓰는 말은 어떠한지 되뇌어 보셔요. 동무들끼리 주고받는 말이랑, 동네에서 흔히 듣는 말이랑, 신문이나 책이나 교과서에 적힌 글이랑, 가만히 견주어 보셔요.

 모든 말과 글은, 첫째, 잘 알아들을 수 있게끔 써야 합니다. 잘 알아듣기 힘들게 썼다면 옳지 못한 말이나 글이라 할 수 있습니다.

 모든 말과 글은, 둘째, 옳고 바르게 써야 합니다. 말법을 옳게 맞추고 말투를 바르게 가다듬어야 합니다.

 모든 말과 글은, 셋째, 슬기롭고 착하게 써야 합니다. 어영부영 말할 때에는 어영부영 듣고 맙니다. 어설피 말하니까 어설피 듣습니다. 모든 잘잘못은 말이나 글을 처음 꺼낸 사람한테서 비롯합니다. 슬기롭게 말을 한대서 꼭 슬기롭게 듣는다 할 수 없으나, 슬기롭게 받아들여 주기를 바라면 슬기로이 말하는 넋을 추슬러야 합니다. 착하게 말한다 하더라도 착하게 듣지 않는 사람이 많으나, 착하게 어깨동무하기를 꿈꾸면 착하게 말하는 얼을 다스려야 좋아요.

 말하기와 글쓰기 밑틀은 이 세 가지로 넉넉하다고 느낍니다. 여기에 몇 가지를 덧붙인다면, 맞춤법까지 잘 맞추고 띄어쓰기를 알맞게 살필 수 있으면 참으로 좋을 테고, 어차피 나눌 말이라면 한결 따스하면서 살가이 펼칠 때에 더욱 좋습니다. 군더더기 없도록 돌아보면 더 좋고, 너무 길거나 너무 짧지 않은 알맞춤한 길이로 말을 하거나 글을 쓰면 참으로 좋아요.

 다음으로 하나를 더 살핀다면, 내가 쓰는 말이 참말 우리말답다 할 만한지 살핀다면 아주 고맙습니다. 이 대목까지 바라기는 몹시 어렵습니다. 왜냐하면, 오늘을 살아가는 말사랑벗은 영어를 더 잘 쓰거나 한자 지식을 더 익히거나 갖가지 자격증을 더 갖추도록 내몰리거든요. 바쁘고 힘든 나머지 말사랑벗 스스로 말사랑벗이 날마다 쓰는 말글을 사랑스럽거나 아름다이 건사할 겨를이 없어요. 대학입시로도 바쁠 뿐더러, 대학입시가 아니라 이 일 저 일 아주 고단할 텐데, ‘참말 우리말다운지’를 살피라 하는 일은 무거운 굴레를 뒤집어씌우는 셈입니다.

 이리하여, 말하기와 글쓰기 밑틀은 딱 세 가지로만 듭니다. 더 기운을 낼 수 있거나 더 사랑을 쏟을 수 있을 때에 비로소 “우리말 바르게 손보기”를 읽으면서 생각을 기울여 주셔요. 괜히 섣부른 지식쌓기로 “우리말 바르게 손보기”를 읽다가는 머리가 핑핑 돕니다. ‘우리말 달인’이 되자며 읽을 “우리말 바르게 손보기”가 아니에요. ‘우리말 깨끗이 지키기’를 하자는 “우리말 바르게 손보기” 또한 아닙니다. 말사랑벗 스스로 깨끗하다고 느끼는 삶을 사랑하면서 지내면, 저절로 우리말을 깨끗하게 지킵니다. 나 스스로 맑으면서 고운 삶을 돌본다면, 내 넋과 말은 시나브로 맑으면서 고운 결을 이을 수 있어요.

 “우리말 바르게 손보기”는 말꼬리잡기가 아닙니다. 어떤 사람이 ‘얄궂게 말을 하거나 글을 쓴다’ 해서 “당신은 뭔데 말을 요로코롬 하우?” 하고 따지자는 말꼬리잡기가 아니에요. 우리말을 바르게 손보면서 내 삶을 바르게 추스르자는 “우리말 바르게 손보기”입니다. 우리말을 바르게 손보는 가운데 내 마음밭을 알차게 일구겠다는 “우리말 바르게 손보기”예요. 책을 읽을 때에 더 깊이 읽으면서 더 제대로 헤아리자는 “우리말 바르게 손보기”입니다. 내가 늘 쓰는 우리말이 얼마나 우리말다운가를 톺아보면서 내 꿈을 한껏 알뜰히 보살피고프다는 “우리말 바르게 손보기”입니다.

 이 말은 맞고 저 말은 그릇되니까 엉터리라 일컫는 “우리말 바르게 손보기” 또한 아닙니다. 이렇게만 써야 하고 저렇게는 써서는 안 된다는 “우리말 바르게 손보기”도 아니에요.

 우리말이 어느 만큼 우리말다운가를 살피면서, 우리말다움을 빛내는 길이란 어떻게 찾아서 걸어가야 즐거운가를 함께 어깨를 겯고 생각하자는 “우리말 바르게 손보기”로 삼아 읽어 주면 좋겠습니다. “이 상자에 담아.”랑 “이 박스에 담아.”를 놓고 본다면, “이 상자에 담아.”로 써야 알맞고 올바르지만, “이 박스에 담아.”라 말하는 사람을 함부로 깎아내리거나 손가락질해서는 안 됩니다. 나 스스로 즐거이 옳고 바르게 말하면서 착하고 참다이 살아가면 됩니다. 내 삶을 사랑하면서 내 꿈을 빛내는 길에서 함께할 “우리말 바르게 손보기”입니다. (4344.1.17.달.ㅎㄲㅅㄱ)
 

(최종규 . 2011 - 10대와 통하는 우리말 바로쓰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