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 우리말 착하게 가꾸기 ㉤ 살려쓰면 좋은 우리말 : 일말


 낱말책에는 ‘밥하기’하고 ‘밥짓기’라는 낱말이 안 실립니다. 이 책을 여기까지 읽은 말사랑벗들은 이제 어렴풋이 느끼리라 생각하는데, 남녘땅에서 낱말책에 안 실린 낱말은 글로 적바림할 때에 어떻게 해야 한다고 했는지 떠오르나요.

 낱말책에 안 실린 낱말 ‘밥하기’하고 ‘밥짓기’는 남녘나라 말법에 따른다면 ‘밥 하기’하고 ‘밥 짓기’처럼 띄어서 적어야 맞습니다.

 그러나 저는 이 두 가지 낱말을 띄어서 적지 않습니다. 이 나라에서 살아가는 수많은 여느 사람들 또한 두 가지 낱말을 띄지 않습니다. 그저, 책이나 신문 같은 데에서는 두 낱말을 으레 띄어 놓습니다.

 ‘밥하다’라는 낱말은 낱말책에 실립니다. 그래서 ‘낱말책에는 안 실린 낱말’이기는 하지만 ‘밥하기’는 살그머니 붙인 채 적바림해도 틀리지는 않습니다. 낱말 씨끝이 바뀐다고 여기면서 ‘밥하- + -기’로 여기면 됩니다.

 ‘일하다’와 ‘놀다’라는 낱말도 낱말책에 실립니다. 이리하여 ‘일하기’랑 ‘놀기’ 또한 넉넉히 붙여서 쓸 만합니다.

 날마다 먹는 밥이요, 날마다 내 손으로든 어머니 손으로든 할머니 손으로든 아버지 손으로든 밥을 차려서 나란히 먹거나 혼자 먹거나 합니다. 그런데, 이렇게 날마다 누구나 먹는 밥이고, 날마다 누구나 밥상을 차리지만, 정작 ‘밥하기’ 같은 낱말은 낱말책에 실리지 못합니다. ‘밥짓기’하고 ‘밥짓다’ 같은 낱말도 매한가지입니다.

 낱말책에는 ‘요리(料理)’라는 낱말이 실립니다. 요리를 하는 사람은 ‘요리사’입니다. 한자말 ‘요리’ 뜻풀이를 찾아보면 “여러 조리 과정을 거쳐 음식을 만듦”으로 나옵니다. 다시금 ‘조리(調理)’라는 낱말을 찾아봅니다. 이 한자말은 “요리를 만듦”을 뜻한답니다.

 다시금 무언가 어렴풋이 느낄 말사랑벗이 있으려나 궁금합니다. “요리를 만듦”이 ‘조리’라 한다면, 이 말풀이는 엉터리입니다. 왜냐하면 ‘요리’란 “음식을 만듦”이라고 풀이했기 때문입니다. 이런 말풀이를 살피면 “조리 = 음식을 만듦을 만듦”이 되고 말아요. 거꾸로 ‘요리’ 말풀이도 엉망입니다. “여러 음식을 만드는 과정을 거쳐 음식을 만듦”이 ‘요리’가 되거든요.

 한 번쯤 곰곰이 짚어 볼 일입니다. 우리네 낱말책은 낱말풀이가 이다지도 얄궂은데 왜 도무지 바로잡히지 않을까요. 우리들은 우리말을 담은 낱말책을 뒤적일 때에 이 같은 낱말풀이가 얄궂다고 느끼기는 하는가요. 우리는 우리 삶을 알뜰살뜰 낱말책에 담아서 즐거이 나누는 길을 걸을 수 없는가요.

 요리를 하는 사람은 요리사라면, 밥을 하는 사람은 ‘밥꾼’이나 ‘밥지기’입니다. 살림을 하는 사람이 살림꾼이듯, 밥짓기 하는 사람은 밥꾼이거나 ‘밥짓기꾼’입니다. 농사를 짓기에 농사꾼이라면, 농사를 짓는 일이란 ‘농사짓기’나 ‘농사하기’입니다. 사람들 누구나 밥을 먹으려면 농사를 지어야 하니까, 밥하기와 밥짓기라는 낱말만큼 대수로우면서 소담스럽다 할 낱말이 ‘농사짓기’하고 ‘농사하기’이지만 이 낱말도 낱말책에는 안 실립니다. 그래도 밥만 먹고 살 수 없다(?)고 여기기 때문인지, 고기를 잡는다는 ‘고기잡이’는 낱말책에 실려요. 옛말로 ‘농사(農事)’는 ‘여름지이’라 했고, 농사짓는 사람을 일컬어 ‘여름지기’라 했습니다. 어쩌면 토박이말로 ‘여름지이’와 ‘여름지기’와 ‘여름짓다’를 살릴 수 있을 테고, 이러한 낱말을 살린다면 아주 반갑습니다. 다만, 살리는 낱말은 살릴 낱말이고, 두루 쓰는 낱말은 두루 쓰기 좋도록 가꾸어야 아름답습니다.

 우리 둘레 말삶을 더 돌아보면, ‘식수(食水)’나 ‘생수(生水)’란 낱말은 버젓이 쓰이면서 낱말책에 냉큼 실리지만, ‘마실물’이나 ‘먹는샘물’ 같은 낱말은 여태껏 낱말책에 안 실립니다. ‘생수’는 일본말이기에 ‘먹는샘물’로 고쳐써야 한다고 정부에서 틀을 세운 지 한참 지났으나, 이러한 틀을 낱말책에 알뜰히 담지 못해요. 그나마, ‘먹을거리’는 낱말책에 실어 놓으나, ‘마실거리’는 낱말책에 없습니다. 고작 ‘음료수(飮料水)’ 한 마디만 실립니다.

 여느 자리에서 여느 삶을 꾸리는 여느 사람이 일하고 놀며 복닥이면서 주고받는 말마디가 제대로 사랑받지 못합니다. 말글학자는 말글학자대로 사랑하지 않고, 여느 자리에서 살아가는 여느 사람인 우리들 또한 알맞고 착하게 사랑하지 않습니다.


1. 손빨래 : 빨래는 예부터 손으로 했습니다. 기계로 빨래하던 사람은 아무도 없었습니다. 이 나라에 빨래기계가 들어온 지 몇 해쯤 되었으려나요. 기껏 스무 해 남짓 되었을까 싶고, 서른 해나 마흔 해 앞서만 해도 빨래란 으레 손빨래입니다. 오늘날에는 손으로 빨래하는 일이 거의 자취를 감추다 보니, 사람이 손으로 하는 빨래는 ‘빨래’가 아닌 ‘손빨래’가 됩니다. 발로 밟는 이불빨래를 가리켜 ‘발빨래’라 하지 않는데, 여느 빨래만큼은 ‘손빨래’가 되고 맙니다. 기계로 빨면서 ‘기계빨래’라 하지 않을 뿐더러, 빨래를 해 주는 기계는 ‘빨래기계’가 아닌 ‘세탁기(洗濯機)’이고, 빨래를 해 주는 곳은 ‘빨래집’이 아닌 ‘세탁소(洗濯所)’입니다. 


2. 아이키우기 : 모든 어버이는 아이를 낳아 기릅니다. 내 아이를 낳아 기르든 다른 살붙이나 이웃 아이를 보살피든 어버이 되는 사람은 아이를 맡아 기르며 돌봅니다. 아이를 키우니까 ‘아이키우기’요, 아이를 기른다면 ‘아이기르기’이며, 아이를 돌본다면 ‘아이돌보기’인데, 학문이나 보건이나 복지로 넘어서면 ‘육아(育兒)’가 됩니다. 


3. 구멍가게 : 조그마한 가게라서 구멍가게입니다. 요즈막에는 ‘나들가게’라는 이름을 붙여 마을 작은 살림터를 돕는다고 합니다. ‘나들가게’라는 낱말도 좋습니다. 마을에 있기에 ‘마을가게’라 할 만하고, ‘동네가게’라 해도 잘 어울립니다. ‘수퍼’나 ‘수퍼마켓’은 미국에서 찾을 노릇입니다. 


4. 저잣거리 : 크고작은 도시와 온 나라 시골마다 ‘마트(mart)’가 치고 들어왔습니다. 시골에서마저 농협은 ‘하나로’라는 고운 이름을 앞에 달기는 하나, 뒤꼭지에는 ‘마트’를 붙여 ‘하나로마트’입니다. 아직 시골 저자는 ‘장(場)마당’이라 하는데, 날마다 가게를 여는 장삿집이 모인 도시에서는 ‘저자’나 ‘저잣거리’라는 이름이 사라지고 ‘재래시장(在來市場)’이라는 이름만을 씁니다. 


5. 밥집 : 머리카락을 손질하거나 깎을 때에는 머리집이나 머리방에 갑니다. 책을 볼 때에는 책집이나 책가게나 책방에 갑니다. 차를 마시려고 찻집에 갑니다. 술을 자시는 어른은 술집에 가요. 밥을 밖에서 사다 먹을 때에는 ‘밥집’에 갑니다. 


6. 밤샘 : 지난날에는 공장 일꾼들한테 밤새도록 일을 시키며 들볶았습니다. 오늘날에는 밤새도록 일을 하지 않으면 먹고살기에 빠듯하거나 아이를 가르치기에 벅차다고 합니다. 이른바 ‘철야(徹夜)’와 ‘야근(夜勤)’입니다. 더 많이 벌어 더 많이 쓰지 않고서는 버틸 수 없는 나날이 되고 맙니다. 일도 공부도 놀이도 온통 밤샘입니다. 밤일이요 밤공부요 밤놀이입니다. 


7. 풀약 : 나와 내 살붙이가 먹을 밥을 거두는 땅이라 한다면 그리 안 넓어도 되고, 애써 풀약을 칠 까닭이 없습니다. 자동차를 굴려야 하고, 아이들을 대학교까지 넣어야 하며, 온갖 물건을 사들여야 하니까 더 넓은 땅을 일구어 더 많은 곡식을 거두어야 하고, 이러는 동안 풀베기나 풀뽑기를 손으로 할 수 없어 풀약을 칩니다. 풀은 풀약을 먹으면서 죽고, 풀하고 이웃한 곡식은 풀약을 함께 먹고 자라면서 사람들 몸뚱이에 수은이며 납이며 카드뮴이며 차곡차곡 쌓입니다. 삶이 고단하면서 살림살이가 고단하고, 살림살이가 고단하다 보니 일거리가 고단하고, 일거리가 고단한 탓에 넋 또한 고단한 만큼, 나날이 나누는 말마저 고단하고야 맙니다. (4343.12.31.쇠.ㅎㄲㅅㄱ)

(최종규 . 2011 - 10대와 통하는 우리말 바로쓰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