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 우리말 착하게 가꾸기 ㉠ 왜 말하는가 돌아보고, 애써 글쓰는 삶


 우리 식구들 살아가는 멧골집 둘레에는 가게가 없습니다. 시골집만 있는데, 가까운 이웃집조차 꽤 멉니다. 도시에서 살다가 시골로 온 만큼, 우리 집 아이는 때때로 얼음과자나 까까 노래를 부르곤 하며, 애 아빠인 저는 보리술 생각이 날 때가 있습니다. 그렇지만 걸어서 다녀올 구멍가게나 편의점이란 아예 없을 뿐더러, 얼음과자나 보리술을 파는 곳까지 낮에 걸어서 찾아가자면 오가는 데에만 한 시간 반쯤 걸립니다.

 바라보기에 따라 다른데, 우리 살림집은 오늘날 문명하고 동떨어졌다 할 만하지만, 여느 시골은 다 이와 같아요. 굳이 가게에 들러야 할 일이 없고, 집에서 모든 일을 다 봅니다. 가게에 갈 일이란 때때로 오일장에 맞추어 읍내로 가면 넉넉합니다.

 가끔 아이랑 도시로 마실을 나와 보면, 길가에 가게가 끊이지 않는 모습을 보며 눈이 아프다고 느낍니다. 참말 도시에서는 가게를 꾸려야 살아남고, 가게에서 물건을 사야 살아갑니다.

 그런데, 가게마다 간판을 어떻게 붙이는지 찬찬히 살펴보신 적 있나요?

 얼마 앞서 아이하고 둘이 서울마실을 하고 집으로 돌아오는 길인데, 창전동 골목 한켠에서 ‘커피가게’라는 찻집을 하나 보았습니다. 커피를 파는 집이라 ‘커피가게’일 텐데, 이곳은 아예 이름이 ‘커피가게’였어요. 흔히들 ‘커피숍’이라 하잖아요. 더구나 알파벳으로 ‘coffee shop’이라 적기 일쑤이고요. 어른들이랑, 또 동무들이랑 길거리를 다니면서 커피집 간판을 가만히 살펴보셔요. 하나같이 알파벳으로 간판을 적어 놓는답니다.

 이와 달리, 김밥집 가운데 간판에 알파벳 한 글자라도 적어 놓는 집은 없습니다. 한자조차 적어 넣지 않아요. 국밥집이나 분식집이나 여느 밥집도 마찬가지예요. 여느 밥을 파는 가게 가운데 간판에 영어나 한자를 적어 넣는 곳은 없어요. 그리고, 머리방이라든지 햄버거집이라든지 튀김닭집은 으레 영어를 많이 적어 넣습니다. 그러나, 시골마을 머리방은 오로지 한글로만 적어 놓더군요. 간판에 영어를 적어 넣는 집하고 간판에 한글만 있는 집하고 무엇이 다를까를 곰곰이 생각해 보셔요. 그리고, 글만 한글인지 속뜻까지 우리말인지를 함께 헤아려 보셔요.

 저는 우리 말사랑벗들이 착한 마음과 참다운 넋과 고운 얼을 사랑하면서 살아간다면 고맙다고 여깁니다. “우리말이 온누리에서 가장 훌륭한 말이야.”라든지 “한글만큼 멋지며 알찬 글이란 없지.” 같은 생각으로 말과 글을 생각하거나 아끼려 하지 않으면 고맙겠다고 여깁니다. 그저 내 삶으로 받아들이면서 보듬어 주면 좋겠어요. 그예 내가 사랑할 삶이듯 내가 사랑할 말이라고 헤아리면서 껴안을 수 있으면 좋겠어요.

 나 스스로 마주하는 이웃이 누구인가에 따라, 또 내가 가게 임자라 할 때에 어떤 손님을 맞이하려 하는가에 따라 말과 글이 달라져요. 시골 읍이나 면에서 시골 농사꾼을 손님으로 맞이할 신집에서 ‘shoe’ 같은 말을 섣불리 간판에 적지 않겠지요. 서울 강아랫마을 같은 데 가게에서는 시골 농사꾼을 손님으로 맞아들일 까닭이 없을 테니까 갖가지 알파벳을 잔뜩 적어 놓겠지요.

 착하게 생각하며 착하게 살아가려는 사람이라면 착하게 말을 합니다. 참답게 생각하며 참다이 살아가려는 사람이라면 참다이 글을 써요. 곱게 생각하며 고이 살아가고픈 사람이라면 고이 이야기꽃을 피웁니다.
 

(최종규 . 2011 - 10대와 통하는 우리말 바로쓰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