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나누는 기쁨 ㉢ 글읽기와 사진읽기
 ― 좋은 글·사진에 앞서 좋은 내 삶·사랑이어야



 소 귀에 불경을 읽는다는 옛말이 있습니다. 돼지한테는 문학이나 예술이 부질없다는 말이 있습니다. 소나 돼지를 깔보면서 읊는 말이 아닙니다. 소한테는 불경이란 참으로 쓸모가 없을 뿐더러, 돼지한테도 문학이나 예술은 쓸데가 없기 때문에 하는 말입니다.

 저는 모나리자 그림을 그렇게까지 대단하다고 여기지 않습니다만, 아무리 아름다운 모나리자 그림이라 할지라도 이 그림을 알아보지 못한다면 아무 값을 하지 않습니다. 누군가는 모나리자 그림을 벽종이로 삼을 수 있고, 누군가는 불쏘시개로 삼을 만하겠지요. 벽종이로 삼는 사람한테는 벽종이로 좋다고 느낄 테고, 불쏘시개로 삼는 사람은 불쏘시개로 쓸 만하다고 여길 테니까요.

 주명덕 님 사진이라고 알아보아야 사진이 좋다거나 주명덕 님 사진이 좋다고 말할 수 없습니다. 아무개 사진이라고 알아보기에 앞서 사진이 좋다고 느낄 수 있어야 하고, 사진이 좋다고 느꼈는데 알고 보니 아무개 님 사진이더라 하고 느낄 수 있어야 합니다.

 아라키 님 사진책을 장만해야 아라키 님 사진을 헤아릴 수 있지 않습니다. 아라키 님 사진책을 장만하지 않더라도 아라키 님 사진을 사랑할 수 있는 마음가짐이어야 비로소 아라키 님 사진을 헤아립니다.

 《태백산맥》을 처음부터 끝까지 읽었다 해서 《태백산맥》이라는 문학이 내 마음속에 촉촉히 아로새겨지지 않습니다. 한 줄만 읽더라도 이 작품을 내 가슴속에 깊이 아로새길 수 있습니다. 《토지》를 읽은 사람이 박경리라는 분을 다 안다 말할 수 있으려나요. 그러나 박경리 님을 곁에서 오래오래 모신 분이라 할지라도 박경리 님을 하나도 모른다 말할 수 있습니다.

 눈을 뜨고 ‘맛나 보이는’ 밥을 먹을 때랑 눈을 감고 ‘누군가 떠 주는’ 밥을 먹을 때에는 어떻게 다르려나요. 눈으로 보면서 먹어야 참맛이고, 눈을 못 뜬 채 자리에 드러누워 밥술을 받으면 거짓맛이려나요.

 사진밭이든 그림밭이든 글밭이든 ‘전문가’란 없습니다. ‘작가’라든지 ‘선생님’이라든지 ‘프로페셔널’이라든지 ‘아마추어’라든지 있을 수 없습니다. 사진을 하는 사람이면 그저 사진을 하는 사람입니다. 글을 쓰는 사람이면 그예 글을 쓰는 사람입니다.

 백만 권이 팔린 책을 하나 내놓은 사람이라 해서 대단하거나 훌륭하거나 뛰어난 글쟁이가 아닙니다. 대학교수라거나 사진잔치를 백 차례 열었다거나 사진책을 열 권 내놓았다거나 나라밖에서 이름을 날린다 하거나 사진상을 여러 차례 탔다고 해서 놀랍거나 멋지거나 아름다운 사진쟁이가 아닙니다.

 글을 쓰는 사람은 누구나 훌륭합니다. 사진을 찍는 사람은 누구나 아름답습니다. 다문 한 사람이 읽을 글을 쓰더라도, 아니 남한테 보이지 않고 나 스스로 읽는 글을 쓰더라도 훌륭합니다. 꼭 한 사람한테 선물하는 사진을 찍더라도, 아니 그냥 내 방에 얌전히 붙여놓을 사진을 찍더라도 아름답습니다.

 소한테는 불경이 아닌 여물이 반갑습니다. 여물보다는 들판에 스스로 자라는 풀이 훨씬 반갑습니다. 돼지한테는 피카소 그림보다 정갈한 돼지우리가 고맙습니다. 정갈한 돼지우리보다는 너른 들판과 축축한 웅덩이가 고맙습니다.

 사진쟁이 쿠델카가 훌륭하다면 여러모로 이름나거나 손꼽히는 작품 때문에 훌륭하지 않습니다. 쿠델카라는 사진쟁이가 내놓은 사진이나 책을 들여다보면서 나 스스로 가슴에서 뭉클하게 움직이는 무언가 있을 때에 훌륭합니다. 사진쟁이 전민조가 좋다면 이렁저렁 좋다 하는 작품이나 바지런한 삶자락 때문에 좋지 않습니다. 전민조라는 사진쟁이가 이룬 사진이나 책을 살피면서 나 스스로 따순 사랑과 예쁜 믿음을 느낄 때에 좋습니다.

 글은 내 삶에 맞추어 내 결에 따라 읽습니다. 사진 또한 내 삶에 걸맞게 내 눈썰미로 읽습니다. 어떠한 비평가가 들려주는 이야기나 잣대에 따라 문학을 읽을 수 없습니다. 어느 전문가가 밝히는 이야기나 실마리에 따라 사진을 읽을 수 없어요. 오로지 내 가슴으로 읽는 글이고, 오직 내 마음으로 읽는 사진입니다.

 내 삶을 차분히 읽으면서 글 한 줄 기쁘게 읽습니다. 내 삶터를 곰곰이 읽으면서 사진 한 장 즐거이 읽습니다.

 좋은 글이 있다 해서 누구나 이 좋은 글을 좋게 읽어내지 못합니다. 좋은 글이 아닌 나쁜 글이라 할지라도 내가 일구는 내 삶이 좋은 삶일 때에는 나쁜 글이라 하더라도 따숩게 보듬으면서 좋은 길로 이끄는 한편, 이 나쁘다는 글에서도 좋은 넋을 길어올립니다.

 좋은 사진이 있다지만 누구나 이 좋은 사진이 얼마나 좋은지를 깨닫지 못합니다. 좋은 사진이 아닌 나쁜 사진이라 할지라도 내가 가꾸는 삶이 좋은 삶일 때에는 나쁜 사진을 보면서도 좋은 사진을 배우는 가운데, 이 나쁘다는 사진이 걸어가면 아름다울 좋은 길을 살피면서 서로서로 오붓하게 어깨동무를 합니다.

 우리는 이론으로 문학을 하지 못합니다. 우리는 이론으로 사진을 찍을 수 없습니다. 잘 쓴 글이란 없고, 잘 찍은 사진이란 없습니다. 글 잘 쓰기를 가르칠 수 없고, 사진 잘 찍기를 물려줄 수 없어요. 그런데 모든 글은 다 잘 쓴 글이며, 모든 사진은 몽땅 잘 찍은 사진이에요. 사랑스러운 삶을 꾸린다면 누구나 잘 쓴 글이면서 잘 찍은 사진입니다. 믿음직한 삶을 여민다면 언제나 잘 쓴 글이고 잘 찍은 사진입니다. 너그러운 삶을 엮는다면 한결같이 잘 쓴 글이요 잘 찍은 사진일밖에 없어요.

 이론이 아닌 삶으로 문학을 합니다. 이론 아닌 삶으로 문학을 받아들입니다. 이론이 아닌 삶으로 사진을 찍거나 배우거나 말합니다. 평론가가 입에 침이 마르도록 추켜세우기 때문에 사진 작품 하나를 천만 원을 들여 장만해서 큰방 너른 벽에 붙이지 않습니다. 내가 보기에 좋은 사진이요 아름다운 작품이기에 조그마한 사진일지라도 책상맡에 붙여놓고 날마다 수없이 들여다봅니다.

 왜 숱한 사람들이 ‘나한테 사랑스러운 님(아이이든 짝꿍이든 어머니이든 동무이든 연예인이든)’ 모습이 담긴 사진을 수첩이나 지갑에 넣고 다닐까요. 왜 수많은 사람들이 당신 아이나 손주 사진을 벽에 붙여놓으려나요. 잘 찍은 사진이라서 갖고 다니거나 붙이겠습니까. 훌륭하다는 사진이라서 간직하거나 자랑하겠습니까.

 얼굴이 예쁘장한 사람이 ‘아름다운’ 사람이 아닙니다. 삶이 귀여운 사람이 ‘아름다운’ 사람입니다. 얼굴을 가꾸는 사람이 아니라 삶을 가꾸는 사람이 ‘아름다운’ 사람이요, 그럴듯한 겉치레 솜씨를 배우면서 선보이려는 사진은 아름다울 수 없는 사진입니다. 사진을 읽을 때부터 겉모습이 아닌 속모습을 읽어야 합니다. 사진읽기부터 옳게 하는 사람이 사진찍기를 신나게 즐기고 재미나게 나눕니다. 사랑을 먹으며 태어나는 글이고, 사랑을 받으며 꽃피우는 사진입니다. (4343.12.29.물.ㅎㄲㅅㄱ)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