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새로쓰기 생각 고쳐쓰기
처음 쓴 글은 처음 쓴 그대로 좋습니다. 처음 이 글을 쓰던 느낌과 생각과 마음을 돌아볼 수 있습니다. 나중에 고쳐서 쓴 글은 고쳐서 쓴 대로 좋습니다. 내가 이제까지 걸어온 길을 새삼 깨닫는 가운데, 앞으로도 힘차고 씩씩하게 걸어가자며 새삼스레 다짐할 수 있습니다.
새로 써야 할 글이 많으나, 자꾸자꾸 예전 글을 들추며 손질합니다. 예전 글에서 어리숙하거나 모자란 대목이 많다면, 이제부터 어리숙하거나 모자란 대목을 가다듬어 새롭게 태어나듯 살아가면 좋으련만, 그예 예전 글을 깎고 다듬으며 추스릅니다.
예전 글은 고치지 말아야 할까 싶으면서, 예전 글을 되읽어야 할 때면 더없이 슬퍼 그예 손질하고야 맙니다. 이냥저냥 나 혼자 되새기는 자리에 썼다든지, 누리집에 올렸던 글이라면 그때그때 지나치지만, 이 글을 종이로 담는 책으로 내놓으려 할 때에는 여러 차례 되읽으면서 수없이 고쳐씁니다.
옆지기하고 이야기를 나누며 곰곰이 생각합니다. 여러 날 여러 달 여러 해에 걸쳐 생각합니다. 새로 읽을 책처럼 새로 쓸 글이 많은 사람이 자꾸만 지난 삶에 얽매이는 일은 달가울 수 없습니다. 그러나 다시 읽는 책처럼 다시 읽는 글이라 할 때에는 지난 삶을 놓아 버리지 못합니다.
아무래도 내 목숨이 백 해 이백 해 이어지기라도 할 듯 여기기 때문일까요. 한 해 두 해 나이를 먹으며 지난해와 지지난해와 지지지난해 발자국이 남우세스럽거나 부끄럽다고 느끼기 때문이려나요. 그렇다고 지나온 삶을 모두 고친다거나 돌이킬 수 없습니다. 아흔 나이까지 살아간다면 여든아홉 나이에 쓴 글마저 남우세스럽거나 부끄럽겠지요. 그러나 아흔에는 아흔 그대로 살아내야 할 테지요. 아흔에는 아흔 나이에 쓸 글을 써야겠지요.
다만, 한 가지를 생각합니다. 한 사람이 쓴 모든 글을 모든 사람한테 읽힐 수 없고, 읽혀야 하지 않습니다. 한 사람이 쓸 책으로는 꼭 한 권이면 넉넉할는지 모릅니다. 내가 나 스스로 흐뭇하면서 내 아이와 내 아이가 낳아 기를 아이한테도 흐뭇할 ‘우리 말 바로쓰기 사전’을 선물한다 할 때에는 이 사전에 담을 글조각 하나를 열 번이고 백 번이고 고쳐쓰고 싶습니다. 한 권 내놓은 뒤에는 고쳐쓰지 않겠습니다. 첫 한 권이 버거워 그예 고쳐쓰고 맙니다.
가만히 보면, 나부터 내 모자라거나 어루숙한 모습까지 두루 사랑하거나 아끼지 못하는 셈입니다. 나부터 내 모자라거나 어수룩한 모습까지 골고루 사랑하거나 아낀다면 섣불리 글을 고쳐쓰지 않겠지요. 모자라거나 어수룩한 대로 새로운 글을 쓰고 새로운 하루를 맞이하며 새로운 밥을 차리면서 집식구들 오순도순 시골살이 즐기겠지요. (4343.12.29.물.ㅎㄲㅅ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