낮은 山이 낫다
남난희 지음 / 학고재 / 2004년 6월
평점 :
절판



 가난하고 어리숙하며 미련한 사람이 낫다
 [책읽기 삶읽기 10] 남난희, 《낮은 산이 낫다》



 밤에는 늘 몇 차례 잠을 깬다. 아이가 자면서 오줌을 누느라 젖은 기저귀를 갈아 주려고 잠을 깨고, 아이가 오줌을 누지 않았더라도 새벽에는 으레 깬다. 새벽 두 시부터 시간마다 한 번씩 깬다.

 몸이 괜찮다면 새벽 두 시에 기지개를 켜고 일어나 글쓰기를 한다. 몸이 조금 무거우면 세 시에 일어나고, 아무래도 찌뿌둥하다면 네 시에 일어난다. 몸이 제법 무거우면 다섯 시에 일어나고, 몸이 퍽 고단하면 여섯 시에 일어난다. 고뿔이 들었다든지 어디가 아프다면 일곱 시에 일어난다.

 오늘은 다섯 시에 일어난다. 어젯밤 아이하고 좀더 신나게 놀면서 일찍 잠들었다면 세 시나 네 시쯤에는 일어났겠지. 쌀쌀해진 바람을 맞으며 아이를 자전거에 태워 살짝 마을을 돈 다음 들어와 책도 읽으며 열 시 즈음 잠들었기에, 네 시나 세 시에 잠을 깨기는 했지만 아이가 오줌을 눈 줄 알면서도 일어나지 못한다.

 도시에서 살던 때에도 이 같은 새벽에 일어나 조용히 글쓰기를 했다. 그런데 도시에서 살던 때에는 희뿌윰히 밝아 오는 빛살을 느끼며 일어난다든지, 하늘에 걸린 달이 드리우는 빛무늬를 받으며 일어난 적이 없다. 고요히 잠든 골목동네에 오토바이를 타고 신문이나 우유를 돌리는 사람들 소리, 웃집 젊은이가 늦게까지 술을 마시고 비적비적 섬돌을 밟으며 중얼중얼 올라가는 소리, 깊은 새벽에도 시끄럽게 골목을 내달리는 자동차 소리 때문에 깨곤 한다. 몸이 먼저 날씨와 때를 느끼어 받아들이기 앞서, 갖은 소리와 불빛이 내 몸을 건드린다.

 새벽 두어 시든 서너 시든 조용히 잠자리에서 일어나 이불을 얌전히 깔아 놓는다. 시골집은 많이 추우니까 이불을 바닥에 잘 깔아 놓아 따스함이 날아가지 않도록 해 주어야 한다. 발소리를 죽이며 큰방으로 나오고, 쉬를 누러 바깥으로 나온다. 달빛과 별빛이 앞마당으로 쏟아진다. 깊은 새벽 하늘을 올려다본다. 이우는 보름달이 몹시 밝다. 어제도 밝고 그제도 밝더니 오늘 또한 참 밝다. 둘레에 다른 빛이 없기 때문일까. 날이 꽁꽁 얼면 달빛이 더 밝다고 했더니, 오늘은 어제보다 달이 살짝 이울었으나 빛무늬는 훨씬 널따랗게 퍼진다. 올망졸망 별빛 또한 참으로 반짝반짝 밝다. 이렇게 밤빛이 곱고 좋은데, 굳이 한국전력에 전화해서 등불 하나 세워 달라 할 까닭이 없다. 멧기슭 집이라 밤손님이 들까 걱정스럽다는 어르신 말씀이 있으나, 가난한 멧기슭 집까지 뭔가를 얻으러 찾아들 밤손님이라면 얼마나 배를 곪는다는 소리일까. 아니, 예까지 뭔가를 훔치고 돌아갈 생각으로 찾아올 밤손님이라면 얼마나 다리가 아플까. 버스도 전철도 택시도 없는 이런 멧기슭에.

 멧기슭에서 젊은 나날 꿈을 길어 올리다가 그예 멧사람으로 살아가는 남난희 님이 쓴 《낮은 산이 낫다》(학고재,2006)를 읽었다. 이 책에 앞서 《하얀 능선에 서면》(수문출판사,1990)을 읽었다. 《하얀 능선에 서면》은 꽤 팔리거나 읽혔는지 헌책방마실을 할 때에 어렵잖이 한 권씩 보곤 한다. 산을 타는 이야기는 그닥 좋아하지 않아 여러 해 동안 《하얀 능선에 서면》을 들추지 않았다. 어느 날 문득 ‘이 책이 왜 이렇게 자주 보일까’ 하는 생각이 들어, 그럼 한번 구경이라도 할까 싶어 처음으로 들추어 보는데, 뜻밖에 이야기가 아주 좋았다. 늘 손에 쉽게 닿는 자리에 있으나 돌아보지 않던 책인데, 생각해 보면 내 곁에서 내 손길이 뻗기를 오래도록 기다리던 책이 아니었나 싶다.

 《낮은 산이 낫다》라는 책을 읽으면 “서구의 알피니즘이 들어오면서 산은 도전의 대상이 되었다. 더 빨리, 더 힘든 곳을 향하여 끊임없이 오르게 되었다 … 아이와 함께 산을 오르면 아이의 동심이 부러워진다. 아이는 온몸으로 산과 만난다. 나무를 껴안기도 하고, 뒹굴기도 하고, 천방지축으로 날뛰기도 한다(11쪽).”는 대목이 나온다. 남난희 님은 ‘겨울 백두대간 걷기’를 여자로서는 꽃등으로 해냈다고 한다. 여자로서는 꽃등으로 하든 남녘에서 꽃등으로 하든 그다지 대단한 일이 되지 않는다. 첫째이건 둘째이건 막째이건 무슨 대수랴. 백두대간을 타든 동네 뒷산을 타든 다를 바 없다. 어떤 길을 얼마나 걷든 똑같이 산을 가슴으로 받아들이는 삶이다. 남난희 님 《하얀 능선에 서면》을 읽으면서 ‘이분은 참 멧사람이구나’ 하고 느꼈다. 그래, 헌책방에서 《하얀 능선에 서면》을 한참 서서 읽다가 책값을 셈하자니, 헌책방 할배가 넌지시 한 말씀 했다. “이거, 참 재미있는 책이지? 이 사람 참 재미있는 양반이더구만. 좋은 책이지.” 그 뒤로 이 책을 몇 권 더 장만해서 둘레에 선물해 보는데 이 책을 받은 벗님 가운데 이 책을 읽었다는 이야기를 듣지 못한다. 아무래도 ‘그냥 산 타는 이야기’쯤으로 여길는지 모르고, 다른 읽을거리가 많아 바빠기 때문일는지 모른다.

 남난희 님은 《낮은 산이 낫다》에서 당신 삶이 찬찬히 무르익은 한결 고즈넉한 이야기를 들려준다. “우리 나라 고무신은 참 좋다. 우선 ‘가격이 싸고 어디서나 쉽게 신고 벗을 수 있고 발이 편하고 비교적 질기며 보기도 좋다. 간편하게 세탁하여 빨리 신을 수도 있고, 신다가 버려도 그리 아깝지 않고 재활용도 가능하다’ 등 장점이 무수히 많다(27쪽).”는 대목을 읽으며 피식 웃는다. 아주 맞는 소리이니까. 산을 탈 때에도 고무신이 퍽 좋다. 산을 고무신을 신고 한참 타다가 나중에는 신을 벗어 가방에 넣고 맨발로 타면 더욱 좋다. 모르기는 모르지만 남난희 님도 고무신을 신고 산을 타다가 맨발로 바꾼 적이 잦지 않을까. 나는 2004년에 고무신을 처음 신었는데 이때에 한 켤레 값이 3000원이었다. 2009년까지 이 값이었는데 2010년에 접어드니 장마당에서 고무신을 구경하기 어렵다. 고무신은 플라스틱신과 견주어 딱딱해서 시골에서도 잘 안 신으니까 공장에서 더 안 만든다고 했다. 2004년에 3000원 하던 값은 1000원인가 1500원 오른 값이라고 했다. 남난희 님이 고무신을 처음 신던 무렵에는 한 켤레에 1000원이나 1500원쯤 하지 않았으랴 싶다. 그때에도 웬만한 운동신은 2만 원을 웃돌았을 테니까 고무신 한 켤레를 신어 한두 해 보내면 신값을 얼마나 아끼는 셈일까. 고무신을 신으며 늘 느끼지만, 고무신 생김새가 참 곱다. 고무신은 신는 동안 차츰 닳는데, 닳아 가는 생김새 또한 꽤 곱다. 여느 운동신은 신을수록 모양이 뒤틀리고 망가지면서 볼품이 없다.

 “얼마 전 그 병원에서 출산한 산모는 의사의 퇴근 시간에 맞추기 위해 서둘러 수술을 했다고 한다 … 나는 이 이후로 병원에 가지 않았다 … 산중에서 맞는 봄은 또 얼마나 찬란한지. 새소리에 단잠을 깨고, 일출을 보고 돌아오는 길에 만나는 갓 돋아난 잎들, 갓 피어난 얼레지와 제비꽃은 또 얼마나 예쁜지 … 정말 가능하다면 이곳에서 아이를 낳고 싶었다. 이렇게 충만하고, 이렇게 따뜻하고, 이렇게 깨끗한 곳에서 아이를 낳을 수만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95∼100쪽).” 하는 글월을 읽는다. 농사짓는 착한 사람이 옹기종기 모인 시골마을도 좋고, 이웃집이 멀찍이 떨어져 있는 멧기슭도 좋으며, 바다랑 이웃하는 마을도 좋다. 꼭 알맞게 모여 마을을 이룬 시골일 때에 살기 좋다. 살기 좋은 마을이라면 아이를 낳기에도 좋으며, 아이를 낳아 키우기에도 좋다. 아이는 새소리에 귀를 기울이고 풀벌레소리에 귀를 쫑긋한다. 바람이 나뭇잎을 흔드는 소리를 느낄 수 있고, 구름이 흐르는 모양을 느긋하게 올려다볼 수 있다. 도시에서 서른 해쯤 살아오는 동안 도시사람 가운데 구름 구경을 느긋하게 하는 사람을 본 적은 다섯 번이 채 안 된다. 도시에서는 구름도 하늘도 바람도 무지개도 별도 달도 해도 느긋하게 올려다보며 마주하는 사람이 몹시 드물다. 아니지. 도시에서는 자연을 가까이할 수 없다. 도시에서 살며 자연을 가까이하려 든다면 돈벌이에 뒤처질밖에 없고 끝없는 다툼과 겨루기에서 밀릴밖에 없다. 도시에서는 자연일랑 까맣게 잊어야 한다. 도시에서는 자연은 어린이한테 읽히는 ‘자연그림책’이나 ‘생태도감’ 같은 책으로만 읽히면 된다. 날마다 몸에 넣는 밥이 바로 자연임을 느낄 수 없고, 언제나 나를 살도록 하는 님이 자연임을 깨달을 수 없다. 가난한 사람들 동네라는 골목동네 사람들이 자그마한 꽃그릇에 자그마한 꽃이나 푸성귀를 기르는 도시농업을 진작부터 해 왔지만, 한국에서 환경운동이니 무어니 하는 사람들은 한국땅 골목동네 ‘도시 생태 농업’을 느끼지 못하면서 으레 쿠바로 가느니 생태도시 아바나라느니 떠들기만 한다.

 “장난감이 넘치는 도시 아이들이 얼마나 가지고 놀지는 모르겠지만, 본인이 직접 만든 물건을 선물하는 기쁨은 받는 기쁨보다 더 클 것이다 … 이 세상의 모든 사람들이 땅의 위대함을 보고 배운다면 참 살 만한 세상이 되지 않을까 싶다(125, 222쪽).” 하고 읊는 글월을 두고두고 곱씹는다. “이곳에서 살다 보니 농사짓는 사람들의 마음이 어떠한지 조금은 알 듯하다. 땡볕 아래서 밭매기를 하지 않고 편하게 잡초를 죽일 수 있는 방법을 아는데, 땀을 흠뻑 흘리며 풀을 뽑는 고생은 하지 못한다는 것을 이해 못하는 것도 아니다. 농산물이 깨끗하고 충실해야만 제값을 받을 수 있으니 농약과 화학비료, 제초제를 안 칠 수 없어서 그렇게밖에 못하는 것이다(69쪽).” 같은 글월을 되씹는다. 시골사람은 농사를 지으며 풀약과 비료와 항생제를 써야 한다. 푸성귀나 곡식을 기르든, 고기소나 고기돼지나 고기닭을 기르든 매한가지이다. 도시사람은 먹을거리를 장만할 때에 커다란 마트에서 더 값싸게 파는 물건을 장만할밖에 없다. 시골사람은 오롯이 유기농사를 짓기 힘들고, 도시사람은 생활협동조합을 함께하며 생협 물건을 쓰기 어렵다. 모두 똑같은 걱정을 안고 똑같은 굴레에 빠져 허덕인다. 서로 만날 길이 없고 서로 사귈 틈이 없다. 함께 어깨동무할 짬이 없고 함께 손을 맞잡을 마음이 없다.

 이리하여 남난희 님은 “낮은 산이 낫다”고 말하는데, 이 말을 알아들으며 살아갈 도시사람이나 시골사람은 어디에 얼마나 있으려나. 가난한 사람이 낫고, 적게 배운 사람이 나으며, 못생기거나 키가 작거나(또는 멀대 같거나) 힘이 여린 사람이 나은데, 이 흐름을 알아채며 오순도순 어깨를 겯을 사람은 이 나라에 얼마나 되려나. 글솜씨가 어리숙한 사람이 낫고, 착한 사람이 나으며, 미련한 사람이 나은 줄, 이 땅에서는 얼마나 알아들으며 헤아릴 수 있으려나. (4343.10.27.물.ㅎㄲㅅㄱ)


― 낮은 산이 낫다 (남난희 글,학고재 펴냄,2004.6.28./9800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